$\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Perform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7 no.4, 2022년, pp.137 - 143  

Kim, Kyung-Sook (Dept. of Social Welfare, Chosun Coullege of Science &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점을 반영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 그리고 직무열의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검토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정책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식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열의는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열의, 직무소진에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g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oretical and policy discuss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by review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silience, job burnout, and job enthusiasm so far, reflecting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on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를 수행하는 생활지원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미흡한 상황에서 생활지원사에 회복 탄력성, 직무소진 그리고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생활지 원사의 특성과 연결하여 이론적·정책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렇듯 생활지원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점을 반영하여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 그리고 직무열의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검토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생활지원사의 특성과 연결하여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정책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생활지원사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에 대한 인식분석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 이렇듯 생활지원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점을 반영하여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 그리고 직무열의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검토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생활지원사의 특성과 연결하여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정책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p<0.
  •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 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p<0.
  •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의 직무열의는 직무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무열의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p<0.
  •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의 직무열의는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라는 <가설 4>;를 검증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eong. E. J., "A Study on the Labor Environment and Status of Elderly Care Living Support Workers", Graduate School of Sogangl University, 2021. 

  2. K.S.S.,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in Life Supporters for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With priority given to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Graduate School of Hangyoung University, 2021. 

  3. Ryu. J.k.,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etary care experience of elderly life supporters", Graduate School of CHA University, 2021. 

  4. Park, J. Y.Yeom, D. M., "An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 Care Management Supporters Under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Vol. 7, No. 1, 2021. 3, pp.97-136. 

  5. Yang, J. S.Kim, K.H., "A Study on the Labor Environment and Status of Elderly Care Living Support Workers", Journal of Case Management Researc, Vol. 12, No. 1, 2021. 3, pp.23-45. 

  6. Jeong. E. J., "A Study on the Labor Environment and Status of Elderly Care Living Support Workers", Graduate School of Sogangl University, 2021. 

  7. Ju.K.H.Le.I.J.Kim.D.S.,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Burnout by Life Support Worker for Care Services for Elder",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2, No. 4, 2021. 

  8. Moon. I. O.Park. S. K. Jung. J. M.,"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4, 2013, pp.525-535. 

  9. Kang. M. K., "T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Job Engagement, Organization Commitment for Cabin Crews", Graduate School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20. 

  10. Lee. M. S., "The Effects of Salesperson's 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Work Engagement and Adaptive Selling Behavior: Focused on Job Demands-Resources Theory", Journal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Vol. 7, No. 4, 2020, pp.2383-5656. 

  11. Kim. J. H.,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eople Who Work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Graduate School of Sungshin University, 2021. 

  12. Kim, S. H.,"The Effects of Resilience of Police Officer on Burnout", Journal of Korean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Paper, Vol. 14, No. 3, 2017, pp.23-40. 

  13. Shin. Y. J., "TInflu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on Job Burnout and Job Performance", Graduate School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20. 

  14. Nam. K. O., "Influence of home visiting care givers' resilience on their burnout-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2020. 

  15. Jang. M.Y.Lee, S.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Job Engage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Multi-Group Analysis by Emotional Labor Intensit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9, No. 6, 2020, pp.39-62. 

  16. KIM. S.S. AN. S.I,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between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Vol. 36, No. 2, pp.73-89. 

  17.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 ursing Measurement, Vol. 1, No. 2, 1993, pp.165-178. 

  18. Kahn, W. 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3, No. 4, 1990, pp.692-724. 

  19. Maslach, C., & Jackson, S. 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 No. 2, 1981, pp.99-113. 

  20. Schaufeli, W. B., & Bakker, A.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 25, No. 3, 2004, pp.99-113. 

  21. Moon. I. O.Park. S. K. Jung. J. M.,"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4, 2013, pp.525-535. 

  22. Kang. M. K., "T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Job Engagement, Organization Commitment for Cabin Crews", Graduate School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20. 

  23. Lee. M. S., "The Effects of Salesperson's 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Work Engagement and Adaptive Selling Behavior: Focused on Job Demands-Resources Theory", Journal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Vol. 7, No. 4, 2020, pp.2383-5656. 

  24. Kim. J. H.,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eople Who Work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Graduate School of Sungshin University, 2021. 

  25. Kim, S. H.,"The Effects of Resilience of Police Officer on Burnout", Journal of Korean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Paper, Vol. 14, No. 3, 2017, pp.23-40. 

  26. Shin. Y. J., "TInflu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on Job Burnout and Job Performance", Graduate School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20. 

  27. Nam. K. O., "Influence of home visiting care givers' resilience on their burnout-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2020. 

  28. Jang. M.Y.Lee, S.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Job Engage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Multi-Group Analysis by Emotional Labor Intensit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9, No. 6, 2020, pp.39-62. 

  29. KIM. S.S. AN. S.I,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between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Vol. 36, No. 2, 2021, pp.73-89. 

  30. Kang. M. K., "T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Job Engagement, Organization Commitment for Cabin Crews", Graduate School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20. 

  31. Nam. K. O., "Influence of home visiting care givers' resilience on their burnout-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