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감성지능교육의 콘텐츠 방향성 탐색
Exploring the Content Direction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6, 2022년, pp.78 - 91  

황백민 (전남대학교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협동과정) ,  정정호 (전남대학교 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이 증강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서 감성지능교육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 감성지능의 발달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제안은 2~7세 어린이용 증강현실 유형은 마킹 인식 기술을 갖춘 실내 활동에 적합하다. 정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대형 스크린을 선택하고, 학습내용은 이모티콘 인형 또는 이모티콘 도서를 권장한다. 7~11세 어린이는 비 마커 인식 기술 실내 활동에 적합하며 적극적인 조작으로 정서조절과 정서 인식을 유도할 수 있다. 학습 내용은 '입체미술 교수 콘텐츠' '온라인 클래식 뮤지컬'을 권장한다. 11세 이후 아동은 비마커 인식 기술 야외 활동에 적합하고 자연과 사회에 대한 상호작용을 통해 감성지능의 각 요소를 향상시킨다. 학습 내용은 '미술을 통한 숲 놀이 활동' 'EQ 연극놀이'를 권장한다. 본 논문을 통해 어린이 증강현실 감성지능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ugmented reality education content is overlooked. Therefo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Th...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2)

  1. 김혜나, Kim Hannah, "증강현실기반 교육 연구 동향: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3호, pp.397-407, 2018. 

  2. 李??, AI.未?, 浙江人民出版社, 2018. 

  3. 김도헌,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시대의 미래 학습,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연결, 확장, 정서의 개념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제16권, 제1호, pp.1-25, 2020. 

  4. C. Papoutsi, A. Drigas, and C. Skiani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for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skills[J]," Int. J. Recent Contrib. Eng. Sci. IT (IJES), Vol.9, No.3, pp.35-53, 2021. 

  5. H. Gardner,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OUGHT, 1983. 

  6. C. Saarni, "Relationships Become," Socioemotional development, Vol.36, p.115, 1990. 

  7.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No.3, pp.185-211, 1990. 

  8. J. D. Mayer and P.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Vol.3, p.31, 1997. 

  9.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995. 

  10. T. Tillmann, R. Krishnadas, J. Cavanagh, and K. V. Petrides, "Possible rheumatoid arthritis subtypes in terms of rheumatoid factor, depression, diagnostic delay and emotional expression: An exploratory case-control study," Arthritis Research & Therapy, Vol.15, R45, 2013. 

  11. N. S. Schutte, J. M. Malouff, and D. W. Hine, "The association of ability and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with alcohol problems,"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Vol.19, pp.265-265, 2011. 

  12. M. Mikolajczak, H. Avalosse, S. Vancorenland, R. Verniest, M. Callens, N. van Broeck, A. Mierop,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of emotional competence and health," Emotion, Vol.15, pp.653-567, 2015. 

  13. I. Kotsou, D. Nelis, J. Gregoire, and M. Mikolajczak, "Emotional plasticity: Conditions and effects of improving emotional competence in adulthoo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6, pp.827-839, 2011. 

  14. 박재환, 안지영,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교육," 예술 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8권, 제5호, pp.885-892, 2018. 

  15. 한동균,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의 필요성과 방안," 한국초등교육, Vol.32, 특별호2, pp.55-71, 2021. 

  16. 김근혜,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유아 감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1, pp.63-84, 2022. 

  17. 홍민희, "유.아동 감성지능 발달을 위한 숲 프로그램의 미술지도에 관한 연구," 아동미술교육, Vol.16, pp.89-117, 2017. 

  18. 이혜진, "아동의 감성지능 발달을 위한 입체미술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7~10세의 자기감정조절능력을 중심으로)," 아동미술교육, Vol.16, pp.43-60, 2017. 

  19. 이승섭, 김경식, 한유미, "유아용 감각 인형 및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35, No.2, pp.36-40, 2016. 

  20. 황수경,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생의 감성지능 키우기," 미래교육연구, Vol.5, No.3, pp.17-26, 2015. 

  21. P. Milgram and F. Kishino,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Vol.77, No.12, pp.1321-1329, 1994. 

  22. 정효남,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융합형 교육콘텐츠 설계 및 구현, 상명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23. C. H. Chen, I. J. Lee, and L. Y. Lin, "Augmented reality-based self-facial modeling to promote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6, pp.396-403, 2015. 

  24. R. Liu, J. P. Salisbury, A. Vahabzadeh, and N. T. Sahin, "Feasibility of an autism-focused augmented reality smartglasses system for social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coaching," Frontiers in pediatrics, Vol.5, p.145 2017. 

  25. L. Lopez-Faican and J. Jaen, "EmoFindAR: Evaluation of a mobile multiplayer augmented reality game for primary school children," Computers & Education, Vol.149, 103814, 2020. 

  26. A. Ruiz-Ariza, R. A. Casuso, S. Suarez-Manzano, and E. J. Martinez-Lopez, "Effect of augmented reality game Pokemon GO on cognitive perform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adolescent young," Computers & Education, Vol.116, pp.49-63, 2018. 

  27. V. V. Osadchyi, H. B. Varina, K. P. Osadcha, O. V. Kovalova, V. V. Voloshyna, O. V. Sysoiev, and M. P. Shyshkina,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future specialists of socionomic professions under the conditions of adaptive learning," CEUR Workshop Proceedings, 2021(7). 

  28. 안희숙, 최유미,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증강현실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교육적 특성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제10권, 제4호, pp.152-169, 2014. 

  29. A. Evangelista, L. Ardito, A. Boccaccio, M. Fiorentino, A. M. Petruzzelli, and A. E. Uva, "Unveiling the technological trends of augmented reality: A patent analysis," Computers in Industry, Vol.118, 103221, 2020. 

  30. O. Bau and I. Poupyrev, "REVEL: tactile feedback technology for augmented reality,"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TOG), Vol.31, No.4, pp.1-11, 2012. 

  31. J. Flaks, A. Bar-Zeev, and J. Tardif, U.S. Patent No. 8,767,968. Washington, DC: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14. 

  32. T. Narumi, S. Nishizaka, T. Kajinami, T. Tanikawa, and M. Hirose, "Augmented reality flavors: gustatory display based on edible marker and cross-modal interaction,"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93-102, 2011(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