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 잠재 프로파일에 따른 심리 및 생물사회적 변인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Psychological and Biosocial Variables Based i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mong College Stud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165 - 178  

정수동 (경성대학교 심리학과) ,  이수진 (경성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질 및 성격 프로파일 잠재집단의 심리적 및 생물사회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기질 및 성격검사의 일곱 가지 변인을 중심으로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둘째, 도출된 세 잠재집단의 심리적 및 생물 사회적 특성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287명으로 Cloninger의 기질 및 성격검사,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아침형 조합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삶의 만족 척도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7가지 기질 및 성격 요인을 활용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3개의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변인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 및 부정정서와 생물사회적 변인인 일주기유형, 수면의 질, 그리고 삶의 질에서 잠재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타고난 기질 요인인 위험회피와 후천적으로 개발 가능한 성격 요인인 자율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적응적이고 성숙한 성격에 대한 심리 및 생물사회적 변인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nd bi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s latent profile group, first, the latent group was identified with the seven variable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nd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sychological an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 조합 잠재집단에 따른 심리적 변인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 및 부정 정서와 생물 사회적 변인인 일주기유형, 수면의 질, 그리고 삶의 질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질 및 성격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동질의 집단별로 구분하여 취약적응 집단, 보통적응 집단, 양호적응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 가능한 부분인 성격과 그렇지 않은 부분인 기질의 개념을 조합 차원으로 접근하고,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사람 중심 접근 (person-centered approach) 통계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질 및 성격의 다양한 잠재집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정서 및 부정 정서와 같은 심리적 변인, 일주기유형, 수면의 질, 삶의 질과 같은 생물사회적 변인의 탐색을 통해 기질 및 성격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 Cloninger, Svrakic과 Przybeck(1993)은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감정적 자극에 대한 자동적 반응을 기질 (temperament)로, 후천적으로 학습되는 능동적이고 합리적인 반응을 성격(character)으로 구분하였다 [1-3]. 이를 통해 인간의 기질 및 성격특성을 선천적인 생물학적 특성과 후천적인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기질 및 성격의 발달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4][5].
  • 또한, 이러한 기질 및 성격 조합을 심리적 및 생물사회적 요인을 활용하여 특성을 통합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 가능한 부분인 성격과 그렇지 않은 부분인 기질의 개념을 조합 차원으로 접근하고,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사람 중심 접근 (person-centered approach) 통계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질 및 성격의 다양한 잠재집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정서 및 부정 정서와 같은 심리적 변인, 일주기유형, 수면의 질, 삶의 질과 같은 생물사회적 변인의 탐색을 통해 기질 및 성격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C. R. Cloninger, D. M. Svrakic, and T. R. Przybeck,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50, No.12, pp.975-990, 1993. 

  2. 김보경, 민병배,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25권, 제1호, pp.221-236, 2006. 

  3. 이수진, 채한, "기질 및 성격검사의 통합의학적 활용,"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제25권, 제3호, pp.213-224, 2014. 

  4. C. R. Cloninger and K. M. Cloninger, "Person-centered therapeu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person centered medicine, Vol.1, No.1, pp.43-52, 2011. 

  5. C. R. Cloninger, T. R. Przybeck, D. M. Svrakic, and R. D. Wetzel,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St. Luois, Missouri: Center for Psychobiology of Personality, 1994. 

  6. C. R. Cloninger, "Temperament and personality,"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Vol.4, No.2, pp.266-273, 1994. 

  7. C. R. Cloninger, D. M. Svrakic, and T. R. Przybeck,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50, No.12, pp.975-990, 1993. 

  8. T. A. Wehr, "The durations of human melatonin secretion and sleep respond to changes in daylength (photoperiod),"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73, No.6, pp.1276-1280, 1991. 

  9. C. R. Cloninger, Feeling good: the science of well-be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0. 이수진, 김민진, 신희은, 여정미, 정수동, 정은정, 채한, "기질 및 성격 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의 국내 연구동향: 1998-2018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0호, pp.537-549, 2021. 

  11. 김명숙, 오현숙,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4호, pp.513-530, 2015. 

  12.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서울:(주) 마음사랑, 2007. 

  13. C. R. Cloninger, "A systematic method for clinical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variants: A proposal,"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4, No.6, pp.573-588, 1987. 

  14. J. A. Gray, "Perspectives on anxiety and impulsivity: a commentar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21, No.4, pp.493-509, 1987. 

  15. H. Sjobring, "Personality structure and development. A model and its applicat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Supplementum, Vol.244, pp.1-20, 1973. 

  16. C. R. Clininger and K. M. Cloninger, "Person-centered therapeu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person centered medicine, Vol.1, No.1, pp.43-52, 2011. 

  17. G. L. Engel,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a challenge for biomedicines," Science, Vol.196, No,4286, pp.129-136, 1977. 

  18.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K-CERQ) 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773-1794, 2013. 

  19. J. J. Gross, "Emotion regual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Vol.39, No.3, pp.281-291, 2002. 

  20. 설정훈, 박수현, "해군 장병의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4권, 제2호, pp.553-578, 2015. 

  21. 이나빈, 민정아, 채정호, "우울장애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희망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약 차이," 우울조울병, 제9권, 제2호, pp.78-86, 2011. 

  22. 조문한, 오현숙, 김영직, "기질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4호, pp.1015-1034, 2017. 

  23. S. Izadpanah, M. Schumacher, E. A. Arens, M. Stopsack, I. Ulrich, M. Hansenne, H. J. Grabe, and S. Barnow, "Adolescent harm avoidance as a longitudinal predictor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adulthood: The mediating role of inhibitory control," Journal of adolescence, Vol.52, pp.49-59, 2016. 

  24. 김윤희,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기질 및 성격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5. C. R. Cloninger and A. H. Zohar, "Personality and the perception of health and happines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28, No.1-2, pp.24-32, 2011. 

  26. K. Josefsson, M. Jokela, C. R. Cloninger, M. Hintsanen, J. Salo, T. Hintsa, L. Pulkki-Raback, and L. Keltikangas-Jarvinen, "Maturity and change in personality: developmental trend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adult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25, No.3, pp.713-727, 2013. 

  27. A. Adan, S. N. Archer, M. P. Hidalgo, L. Di Milia, V. Natale, and C. Randler, "Circadian typology: a comprehensive review," Chronobiology international, Vol.29, No.9, pp.1153-1175, 2012. 

  28. I. Merokanto, T. Lahti, E. Kronholm, M. Peltonen, T. Laatikainen, E. Vartiainen, V. Salomaa, and T. Partonen, "Evening types are prone to depression," Chronobiology international, Vol.30, No.5, pp.719-725, 2013. 

  29. G. Prat and A. Adan, "Relationships among circadian typology, psychological symptom, and sensation seeking," Chronobiology international, Vol.30, No.7, pp.942-949, 2013. 

  30. 공자영, 강태욱, 문은수, 박제민, 이병대, 이영민, 정희정, "기분장애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일주기유형과 문제음주 행동과의 관련성," 생물치료정신의학, 제24권, 제3호, pp.194-201, 2018. 

  31. 김정기, "Circadian Rhythm과 심리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3권, 제1호, pp.129-140, 1998. 

  32. 김정기, 송혜수, "수면 일주기 리듬의 개인차에 따른 수면습관, 심리적 적응 및 학업수행의 차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3호, pp.631-648, 2007. 

  33. 김정기, 조경자, "일주기성 유형과 우울 수준간의 관계: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2호, pp.355-370, 2010. 

  34. 남기은, 이성희, 지옥영, "대학생의 수면의 양과 질이 대인일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기연구를 이용한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3권, 제2호, pp.583-593, 2018. 

  35. 박환진, 이혜경, 신용진, 이건석, "일주기 유형에 따 39삶의 만족도와 양극성 경향," 생물정신의학, 제22권, 제3호, pp.135-139, 2015. 

  36. 박천일, 강지인, 남궁기, 김세주, "젊은 성인에서 일주기유형과 기질 및 성격의 관련성," 생물정신의학, 제21권 제3호, pp.93-98, 2014. 

  37. J. A. Horne and O. Ostberg,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 -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obiology, Vol.4, No.2, pp.97-110, 1976. 

  38. M. E. Jewett, R. E. Kronauer, and C. A. Czeisler, "Light-induced suppression of endogenous circadian amplitude in humans," Nature, Vol.350, No.6313, pp.59-62, 1991. 

  39. I. Tsaousis, "Circadian preferences and personality traits: A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24, No.4, pp.356-373, 2010. 

  40. L. Mecacci and G. Rocchetti, "Morning and evening types: stress-related personality aspec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5, No.3, pp.357-542, 1998. 

  41. I. Tankova, A. Adan, and G. Buela-Casal, "Circadian typolog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 review,"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6, No.5, pp.671-687, 1994. 

  42. L. Mecacci, A. Zani, G. Rocchetti, and R. Lucioli, "The relationships between morningness- eveningness, ageing and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7, No.6, pp.911-913, 1986. 

  43. C. Langford and A. I. Glendon, "Effects of neuroticism, extraversion, circadian type and age on reported driver stress," Work & Stress, Vol.16, No.4, pp.316-334, 2002. 

  44. 노효련, "대학생들의 생활 스트레스, 수면 유형, 수면의 질 간의 관계 분석: 기숙사 거주 학생들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9권, 제2호, pp.1011-1024, 2017. 

  45. J. H. Park. H. An, E. S. Jang, and S. Chung,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and dysfunctional sleep-related cognitions on the severity of insomnia," Psychiatry research, Vol.197, No.3, pp175-279, 2012. 

  46. J. F. Diaz-Morales, K. S. Jankowski, C. Vollmer, and C. Randler, "Morningness and life satisfaction: further evidence from Spain," Chronobiology international, Vol.30, No.10, pp.1283-1285, 2013. 

  47. M. Drenzo, M. Stolarski, and G. Matthews, "An in-depth look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morningness-eveningness and well-being: evidence for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Chronobiology international, Vol.36, No.1, pp.96-109, 2019. 

  48. K. S. Jankowski, "Morningness/ evening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a Polish sample," Chronobiology International, Vol.29, No.6, pp.780-785, 2012. 

  49. K. S. Jankowski, "Is the shift in chronotype associated with An alteration in well-being?," Biological Rhythm Research, Vol.46, No.2, pp.237-248, 2015. 

  50. K. Goth, C. R. Cloninger, and K. Schmeck, Das Temperament und Charakter Inventar Kurzversion fur Erwachsene-TCI R Kurz, Frankfurt: JW Goethe University, Dept. of Psychology, 2003 

  51.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서울:(주) 마음사랑, 2007. 

  52.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53. D. Watson, L. A. Clark, and A. Telleg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No.6, pp.1063-1070, 1988. 

  54. 이유정,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55. 이현희, 김은정,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4호, pp.935-946, 2003. 

  56. 박홍석, 이정미, "정적정서 부적정서 척도 (PANAS)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5권, 제4호, pp.617-641, 2016. 

  57. C. S. Smith, C. Reilly, and K. Midkiff,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4, No.5, pp.728-738, 1989. 

  58. L. Torsvall and T. Akerstedt, "A diurnal type scale: construction, consistency and validation in shift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Vol.6, No.4, pp.283-290, 1980. 

  59. 윤진상, 신상문, 국승희, 이형영, "아침형-저녁형의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조합척도의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6권, 제1호, pp.122-134, 1997. 

  60. 국승희, 윤진상, 이형영, "아침형-저녁형의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 조합척도의 교차 타당화," 신경정신의학, 제38권, 제2호, pp.297-305, 1999. 

  61. D. J. Buysse, C. F. Reynolds III, T. H. Monk, S. R. Berman, and D. J. Kupfer,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Vol.28, No.2, pp.193-213, 1989. 

  62. J. J. Pilcher, D. R. Ginter, and B. Sadowsky,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42, No.6, pp.583-596, 1997. 

  63. 손승일, 김도형, 이미영, 조용원, "피츠버그 수면 품질 지수의 한국판의 신뢰성과 타당도," 수면과 호흡, 제16권, 제3호, pp.803-812, 2012. 

  64.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65. 이은경,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6. V. Ramaswamy, W. S. DeSarbo, D. J. Reibstein, and W. T. Robinson, "An empirical pooling approach for estimating marketing mix elasticities with PIMS data," Marketing science, Vol.12, No.1, pp.103-124, 1993. 

  67. D. A. Pastor, K. E. Barron, B. J. Miller, and S. L. Davis,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32, No.1, pp.8-47, 2007. 

  68. K. L. Nylund, T. Asparouhov, and B. O. Muthen,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14, No.4, pp.535-569, 2007. 

  69. J. M. Antunez, J. F. Navarro, and A. Adan, "Morningness-eveningnes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young healthy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68, pp.136-142, 2014. 

  70. S. Lee, J. E. Park, S. J. Cho, I. H. Cho, Y. J. Lee, and S. J. Kim, "Association between morningness -eveningness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community-dwelling Korean adults," Asia-Pacific Psychiatry, Vol,6, No.1, pp.77-82, 2014. 

  71. C. Randler and L. Saliger, "Relationship between morningness-eveningness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dimensions in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No.2, pp.148-15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