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Identifying Latent Classes of the SNS Addiction Tendencies in Married Women and Testing Determinants of the Clas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1, 2020년, pp.603 - 614  

손보영 (선문대 상담산업심리학과) ,  조효진 (서울시립대 교육대학원) ,  장문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과)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계층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연령, 성인애착, 소외 두려움에 대한 외적동기, 결혼만족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SNS를 사용하고 있는 기혼여성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총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들의 SNS중독 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3개의 집단은 '고위험군', '잠재위험군', '저위험군'으로 세 가지 하위 영역(집착 및 금단, 과잉소통과 몰입, 과도한 소비)에서 모두 점수가 높았던 '고위험군'은 전체의 24.51%를 차지하였고, 하위 영역들에서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이는 '잠재위험군'은 44.33%로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잠재계층 분류에 있어서 연령을 제외한 다른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에 특성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며 집단별 특성에 따른 상담과 교육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이후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에 대한 표준화된 도구개발 등을 통해 다양한 연구 확대가 필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SNS addictive tendencies of married wome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dult attachment, extrinsic motivation of the fear of missing out and marriage satisfaction. A total of 300 married women who have been using SNS participa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중년층에서 SNS를 이용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12] 스마트기기 사용능력과 관련 있는 변수인 연령이 SNS 중독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 SNS 중독 유형에 있어서 이들의 연령이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처럼 내부적 기준이 아닌 외부의 기준으로 자신에 대해 평가하는 외적 동기는 다른 두 요인과는 달리 SNS 상에서의 타인과의 즉시적, 객관적 비교를 통해 소외되지 않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는데 이는 SNS에 집중하는 행동을 하게 만들어 SNS 중독 상태로 이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 중 소외에 대한 외적 동기를 기혼여성들의 SNS 중독 유형을 구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실제로 SNS 중독 경향성의 특징과 변인을 연구한 문헌들에 따르면 외로운 감정을 잘 느끼거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할 때 SNS 중독 경향성이 높고[7], SNS를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오히려 현실에서 대인관계와 관련된 문제가 심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대된 SNS 이용자들 중 기혼여성들의 SNS 중독 유형과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반대로 SNS활동에 집중하는 행동으로 인해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고 정신적·육체적 외도, 결별, 별거, 이혼 등의 부정적 관계 경험을 하게 되며[31], 친밀한 관계의 질을 저하시켜 낮은 결혼만족도를 보고하기도 한다[32]. 따라서 부부관계의 질은 SNS 과다 사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므로 결혼 관계에서 느끼는 만족감이 기혼여성의 SNS 중독 유형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고려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SNS 중독 양상에 대한 하위집단에 있어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유형 분류에 있어 애착, 소외두려움에 대한 외적동기, 결혼만족도 수준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에 대한 요약 과 SNS중독경향성을 지닌 기혼여성을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에의 시사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기혼여성들의 SNS 중독 수준에 대한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다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연령, 애착, 소외 두려움에 대한 외적동기, 결혼만족도가 SNS 중독 하위 유형을 분류함에 있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SNS에 대한 범주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설문 시작 전에 SNS의 정의를 ‘온라인 공간에서 공통의 관심이나 활동을 지향하는 사람들끼리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교환 및 공유를 통해 사용자 간 사회적 관계망을 생성하고 이를 강화해주는 온라인 서비스’로 밝히고 이에 해당하는 유형(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모든 문항에 빠짐없이 응답한 경우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설문 완료 시에 이에 대한 소정의 대가를 제공하였다. 이에 총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2. 김정화, 이영호, "대학생 집단의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10호, pp.27-52, 2018. 

  3. 정소영, 김종남,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1호, pp.147-166, 2014. 

  4. K. S. Young, Facebook Addiction Disorder?, The Center for Online Addiction: Bradford, PA, USA, 2009. 

  5. 유계숙, 김은희, "기혼 성인남녀의 인터넷,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심리, 부부관계 관련변인," 한국가족복지학, 제20권, 제1호, pp.5-26, 2015. 

  6. 김미례,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761-777, 2007. 

  7. 이정화, 김호영, 강정석,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33권, 제2호, pp.154-164, 2017. 

  8. 전혜성, 홍구표, "대학생의 SNS 이용특성과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 한국컴퓨터게임학회지, 제30권, 제1호, pp.41-47, 2017. 

  9. J. F. Maddux and D. P. Desmond, "Addiction or dependece?," Addiction, Vol.95, No.5, pp.661-665, 2000. 

  10. 송혜진, 오세연, "쇼핑중독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제3권, 제1호, pp.334-245, 2013. 

  11. 박웅기,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31-49, 2014. 

  12. 신지형, 주재욱, 김윤화, 하형석, 2015 한국미디어패널조사, http://stat.kisdi.re.kr/m/Library/Library_detail2.aspx?Division2&seq1000&menucod e0402&menutitle&ipage1 

  13.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1969. 

  14.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2,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1973. 

  15. 박지수, 서영석,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0권, 제4호, pp.1239-1269, 2018. 

  16. K. A. Brennan, C. L. Clark, and P. R. Shaver,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Guilford Press, 1998. 

  17. P. J. Flores,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김갑중, 박춘삼 역, (2010).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서울: 눈, 2004. 

  18. 신가영, 양수진,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제26권, pp.149-171, 2019. 

  19. D. Blackwell, C. Leaman, R. Tramposch, C. Osborne, and M. Liss, "Extraversion, neuroticism, attachment style and fear of missing out as predictors of social media use and addi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16, pp.69-70, 2017. 

  20. 최윤영, 서영석, "불안전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충동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3호, pp.749-772, 2015. 

  21. B. Honari and A. A. Saremi,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obsessive love styl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65, No.6, pp.152-159, 2015. 

  22. 이선경, 김정규, "불안정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5권, 제3호, pp.317-334, 2019. 

  23. 권예진, 김다빈, 서보경,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47-59, 2019. 

  24. J. P. Abel, C. L. Buff, and S. A. Burr, "Social media and the fear of missing out: Scale development and assessment,"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s Research (JBER), Vol.14, No.1, pp.33-44, 2016. 

  25. A. K. Przybylski, K. Murayama, C. R. DeHaan, and V. Gladwell, "Motiv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fear of missing ou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No.4, pp.1841-1848, 2013. 

  26. 주은선, 전소연, 심솔지,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248-261, 2018. 

  27. 김의진,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여가경험,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8. 선경선, 기혼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현황, 순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9. 김남희,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의 관계: 성별과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0.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8. 

  31. S. Valenzuela, D. Halpern, and J. E. Katz, "Social network sites, marriage well-being and divorce: Survey and state-level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6, pp.94-101, 2014. 

  32. P. Kerkhof, C. Finkenauer, and L. D. Muusses, "Relational consequences of compulsive Internet use: A longitudinal study among newlywed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7, No.2, pp.147-173, 2012. 

  33. 오윤경,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4. 서경현, 조성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1호, pp.239-250, 2013. 

  35.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6. D. K. Synder, "Mult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of the Family, Vol.42, No.4, pp.96-109, 1979. 

  37. 권정혜, 채규만, "부부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2호, pp.207-218, 2000. 

  38. H, Akaike,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Vol.19, pp.716-723, 1974. 

  39. G. Schwartz, "Estimating dimenstions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Vol.6, pp.461-464, 1978. 

  40. L. Sclove,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Vol.52, pp.333-343, 1987. 

  41. G. McLachlan and D. A. Peel, Finite Mixture Models, New York, NY: Willey. 2000. 

  42. Y. Lo, N. R. Mendell, and D. B. Rubin,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Vol.88, pp.767-778, 2001. 

  43. H. Hix-Small, K. Marks, J. Squires, and R. Nickel, "Impact of implementing developmental screening at 12 and 24 months in a pediatric practic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Vol.120, No.2, pp.381-389, 2000. 

  44. G. K. Nylund, T. Asparouhov, and B. Muthen,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Vol.14, pp.535-569, 2007. 

  45. D. K. Iwamoto, W. Corbin, and K. Fromme, "Trajectory classes of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Addiction, Vol.105, No.11, pp.1912-1920, 2010. 

  46. B. Muthen, "Latent variable analysis,"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pp.345-368, 2004. 

  47. T. Jung and K. A. S. Wickrama,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2, No.1, pp.302-317, 2008. 

  48. 김하늘, 유제민, "성인애착, 유기도식 및 중독성격과 관계중독성 집착행동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9호, pp.485-507, 2017. 

  49. 조화진, 서영석,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2호, pp.471-490, 2011. 

  50. S. E. Flores, 페이스북 심리학 (안진희 역), 서울: 책세상, 2015. 

  51. F. Lopez and K. Brennan, "Dynamic processes underlying adult attachment organization:Toward an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healthy and effective sel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3, pp.283-300, 2000. 

  52. 장문영, 조효진, 문화정, "기혼여성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6호, pp.1143-1172, 2020. 

  53. 정병완,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1호, pp.183-201, 2015. 

  54. 최승미.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및 외도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1호, pp.55-75, 2015. 

  55. 이정은, 양수, "주부의 인터넷 중독 정도와 부부의 의사소통 및 결혼만족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28-437,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