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 의제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xploring Education Facility Environment Agenda in the Post COVID-19 Era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21 no.1, 2022년, pp.11 - 23  

최형주 (한국교육개발원) ,  조진일 (한국교육개발원) ,  신은경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보다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한 미래 교육시설환경 관련 핵심 영역과 영역별 의제를 발굴, 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 수립 시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관련 정책, 보고서, 자료집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뉴딜 및 미래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탐색하고, 미래 교육시설환경 분야의 핵심 영역을 탐색하였으며, 일선 교육 현장과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의 핵심 영역으로 5개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총 33개의 의제(그린 영역 8개, 스마트 영역 9개, 공간혁신 영역 9개, 학교시설 복합화 4개, 기타(안전) 영역 3개)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New Deal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and furthermore, to provide basic data to discover and present a desirable future educational facility environment-related agenda that will help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the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33)

  1. 계보경(2020). 언택트 시대,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균형점. 행복한교육 2020년 6월호. 교육부. 

  2. 관계부처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3. 교육부(2020.7.).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안). 

  4. 교육부(2020.10.5.).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안). 

  5. 교육부(2021.2.).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종합 추진계획(안). 

  6. 교육부(2020.7.17.). 교육부,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발표[보도자료]. 

  7. 교육부(2021.4.20.).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발표[보도자료]. 

  8. 김진숙(2020). 코로나19가 던진 교육 혁신 방향과 과제. 서울교육. 서울특별시 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특별기획, 10-19. 

  9. 김태완(2020).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화 정책시리즈 ;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것들 NEW THINGS, 13장 뉴노멀 시대 미래교육 방향과 과제, 334-361. 

  10.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진단, 421호, 경기연구원. 

  11. 윤종혁(2021a). 코로나19 위기, 미국의 교육격차 해소 전략과 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1월호, 26. 

  12. 윤종혁(2021b). 코로나19 재난 이후 영국 정부의 교육재건대책. 월간 제주교육, 2021년 2월호, 28. 

  13. 윤종혁(2021c). 코로나 이후 '일본형 학교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2월호, 29. 

  14. 윤종혁(2021d). 미국 바이든 정부의 신 '교육 뉴딜' 정책과 개혁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6월호, 28. 

  15. 윤종혁(2021e). 포스트 코로나 교육체제와 영국 정부의 개혁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6월호, 29. 

  16. 윤종혁(2021f). 미국의 교육뉴노멀 사회 실현을 위한 새로운 변화. 월간 제주교육, 2021년 11월호, 28. 

  17. 윤종혁(2021g). 일본 레이와시대의 교육실천: GIGA스쿨 구상의 성과와 과제. 월간 제주교육, 2021년 9월호, 28. 

  18. 마이클 혼, 헤더 스테이커(2017). 블렌디드 : 학교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온.오프라인의 결합/장혁, 백영경 역, 서울: 에듀니티, 원저: Horn, M. & Staker, H.(2015). Blended: Using Disruptive Innovation to Improve School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 조진일, 이상민, 최형주, 홍선주, 계보경, 박관수, 강혁진(2020).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III) : 학교의 대지 조건과 배치 및 평면 유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 조진일, 최형주, 홍선주, 안태연(2020).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9(1), 13-24. 

  21. 최상덕, 김주섭, 최동선, 박승재, 서영인, 최수진, 문보은, 박근영, 김나영, 이호준, 최형재, 허영준, 최수정(2020). 해방 100년,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교육체제의 대전환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0-4-01. 

  22. 황규호(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교육과정연구, 38(4), 83-106. 

  23.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4. 강호원(2016). 영국의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 현황. 기획기사(2016.4.27.), 해외교육동향.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센터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nTbBoardArticleSeq150075, 검색일 2021.7.2.) 

  25. 김현준(2016). 미국의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 현황. 기획기사(2016.4.27.), 해외교육동향.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센터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nTbBoardArticleSeq150073, 검색일 2021.7.2.) 

  26. 에듀인뉴스(2020.7.25.).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뉴노멀시대, 교육의 리부팅(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58, 검색일 2021.3.31.) 

  27. 최연구(2020). 미래의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09013&memberNo15194331, 검색일 2021.3.31.) 

  28. 프레시안(2020.5.25.).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교육의 '뉴노멀'은?(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52509170549331, 검색일 2021.3.31.) 

  29. 권순정(2020).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과제 :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그리고 학교의 역할(http://webzine-serii.re.kr/%EC%BD%94%EB%A1%9C%EB%82%9819-%EC%9D%B4%ED%9B%84-%EA%B5%90%EC%9C%A1%EC%9D%98-%EA%B3%BC%EC%A0%9C-%EC%9E%AC%EC%A1%B0%EB%AA%85%EB%90%98%EB%8A%94-%EA%B2%A9%EC%B0%A8%EC%99%80-%EB%B6%88%ED%8F%89%EB%93%B1/, 검색일 2022.1.26) 

  30. Roy, U. K.(2020). Rise of new teaching methods post Covid-19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https://www.indiatoday.in/education-today/featurephilia-story/rise-of-new-teaching-methods-post-covid-19-in-higher-education-institutes-1739746-2020-11-10, 검색일 2021.4.9.) 

  31. 日本文部科學省 (2020). 文部科學白書(https://www.mext.go.jp/content/20210720-mxt_soseisk01-000016965_2-12.pdf, 검색일 2021.12.9.) 

  32. 日本文部科學省(2021a). 「令和の日本型?校?育」の構築を目指して-全ての子供たちの 可能性を引き出す, 個別最適な?びと, 協?的な?びの?現 (中央敎育審議會答申) 심의회답신(2021.1.26.) ; https://www.mext.go.jp/content/20210126-mxt_syoto02-000012321_2-4.pdf(검색일 2021.4.1.) 

  33. 日本文部科學省(2021b). これからの高等?校施設の在り方について- 特色.魅力ある?育 と生徒の多?な?びを支える環境づくりを目指して. ?校施設の在り方に?する 調査?究協力者?議. 2021年 5月(https://www.mext.go.jp/content/20210518-mxt_sisetuki-000014912_6.pdf, 검색일 2021.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