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댓잎 추출물이 구강미생물에 미치는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 of bamboo leaves extract on oral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4, 2022년, pp.653 - 657  

황혜정 (건양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복지학과) ,  김도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강경희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 및 경제적 부담을 야기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대표 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은 S. mutans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구강 병원성 미생물에는 면역 반응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구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가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 질환을 조절하기 위해서 대나무 잎 추출물(BLE)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THP-1, oral fibroblasts, S mutans 배양액에 댓잎 추출물을 0-8% 농도별로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단핵세포주와 구강섬유아세포에서 BLE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BLE 농도에 따른 S. mutans의 항균효과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BLE가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al disease causes a significant health and economic burden worldwide, significantly reducing people's quality of life. Dental caries, a representative oral disease, is caused by S. mutans. Oral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in lipopolysaccharide (LPS), which can cause an immune response and cause...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6)

  1. Jorn A Aas et al. (2005). Defining the normal bacterial flora of the oral cavity.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3(11):5721-32. DOI : 10.1128/JCM.43.11.5721-5732.2005 

  2. W. J. Loesche. (1986). Role of Streptococcus mutans in human dental decay. Microbiology Reviews, 50(4), 353-380. DOI : 10.1128/mr.50.4.353-380.1986 

  3. J. M Lovegrove. (2004). Dental plaque revisited: bacteria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the New Zealand Society of Periodontology, (87), 7-21. 

  4. S. H. Shin & O. J. Baek (2020).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Extract Against Oral Microb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 454-459. DOI : 10.5392/JKCA.2020.20.12.454 

  5. P. James et al. (2017). Chlorhexidine mouthrinse as an adjunctive treatment for gingival health.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8676. DOI : 10.1002/14651858.CD008676.pub2 

  6. S. Okabe et al. (2017). Stimulatory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bamboo grass (Folin solution) on gastric acid secretion in pylorus-ligated rats.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25(5), 608-9. DOI : 10.1254/jjp.25.608. 

  7. C. Hu et al.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in vitro.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8(8), 3170-6. DOI : 10.1021/jf0001637 

  8. J. H. Yang et al. (2017).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tiadipogenic Properties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Extract and Its Major Constituent Flavonoi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5(31), 6665-6673. DOI : 10.1021/acs.jafc.7b02203 

  9. Y. Zhang et al. (2008).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our flavone C-glycosides from antioxidant of bamboo leaves by macroporous resin colum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Chemistry, 107(3), 1326-1336. DOI : 10.1016/j.foodchem.2007.09.037 

  10. G. O. Jung, S. Y. Seo & S. U. Yoon. (2020).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Extract Against Oral Microb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 454-459. DOI : 10.5392/JKCA.2020.20.12.454 

  11. J. J. Crall et al. (2018). A Life Course Health Development Perspective on Oral Health. Handbook of Life Course Health Development, 299-320. DOI : 10.1007/978-3-319-47143-3_13 

  12. K. M. Kopydlowski et al. (1999). Regulation of macrophage chemokine expression by lipopolysaccharide in vitro and in vivo. The Journal of Immunology, 163(3), 1537-44. 

  13. O. J. Park, M. K. Cho, C. H. Yun & S. H. Han. (2015). Lipopolysaccharide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induces the expression of chemokines MCP-1, MIP-1α, and IP-10 via similar but distinct signaling pathways in murine macrophages. Immunobiology, 220(9), 1067-74. DOI : 10.1016/j.imbio.2015.05.008 

  14. Z. Liu et al. (2018). Role of ROS and Nutritional Antioxidants in Human Diseases. Frontiers in Physiology, 9, 477. DOI : 10.3389/fphys.2018.00477 

  15. Y. Miyake & M. Hiramitsu (2011). Isolation and extra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against oral bacteria from lemon pee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8(5), 635-9. DOI : 10.1007/s13197-011-0330-3 

  16. G. C. Chae et al.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a capillaris THUNB on oral bacteria.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34(2), 169-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