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정치성향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태도극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of Political Orientation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Polariz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4, 2022년, pp.261 - 272  

이민규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김정훈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 420명을 대상으로 정치성향의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 및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 관계에서 태도극화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적 노출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극화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극화는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유튜브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와 온라인 정치참여를 높이고 선택적 노출에 의해 태도극화가 강화될수록 온라인 정치참여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exposure, attitude polarization, and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420 YouTube political video users.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polar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exposure and online political par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51)

  1. 임지훈, "정치 실종에 이념대립.양극화 심화...대한민국이 갈라졌다," 서울경제, 2021(1.3). 

  2. 장승진, 한정훈, "유튜브는 사용자들을 정치적으로 양극화시키는가?: 주요 정치 및 시사 관련 유튜브 채널 구독자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현대정치연구, 제14권, 제2호, pp.5-35, 2021. 

  3. J. T. Jost, "The End of the End of Ideology," American Psychologist, Vol.61, No.7, pp.651-670, 2006. 

  4. J. Kerr, C. Panagopoulos, and S. V. Linden, "Political Polarization on COVID-19 pandemic Response in the United St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79, 110892, 2021. 

  5. J. N. Druckman, E. Peterson, and R. Slothuus, "How Elite Partisan Polarization Affects Public Opinion Forma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107, No.1, pp.57-79, 2013. 

  6. J. Green, J. Edgerton, D. Naftel, K. Shoub, and S. J. Cranmer, "Elusive Consensus: Polarization in Elite Communication on the COVID-19 Pandemic," Science Advances, Vol.6, No.28, eabc2717, 2020. 

  7. P. S. Hart, S. Chinn, and S. Soroka, "Politicization and Polarization in COVID-19 News Coverage," Science Communication, Vol.42, No.5, pp.679-697, 2020. 

  8. M. Motta, D. Stecula, and C. Farhart, "How Right-leaning Media Coverage of COVID-19 Facilitated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 in the US. Canad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53, No.2, pp.335-342, 2020. 

  9. S. Iyengar and J. McGrady, Media and Politics: A Citizen's Guide, W. W. Norton Publications, 2007. 

  10. 이소영, "한국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 21세기정치학회보, 제27권, 제4호, pp.1-29, 2017. 

  11. I. B. Dylko, "How Technology Encourages Political Selective Exposure," Communication Theory, Vol.26, No.4, pp.389-409, 2016. 

  12. N. Jung, Y. Kim, and H. G. de Zuniga,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and Efficacy 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14, No.4, pp.407-430, 2011. 

  13. 김하늬, 정낙원, "정치적 태도 극화 및 적대감 증가 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탐색 연구: 커뮤니케이션 변인, 정치참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43호, pp.45-82. 2016. 

  14. 함민정, 이상우, "유튜브 정치동영상의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태도극화: 정치성향별 내집단 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157-169, 2021. 

  15. 김선호, 김위근, "유튜브의 대약진," 한국언론재단 미디어 이슈, 제5권, 제3호, 2019. 

  16. 박지현, 나은영, "정치적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적 이용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영향: 집단에 대한 편향의 매개효과와 비판적 사고 성향.공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5권, 제5호, pp.112-154, 2021. 

  17. 민영, "선택적 뉴스 이용: 정파적 선택성과 뉴스 선택성의 원인과 정치적 함의,"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2호, pp.7-34, 2016. 

  18. H. Rheingold,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Reading, Massachusetts: Addison-Wesley, 1993. 

  19. E. Ferrara, O. Varol, C. Davis, F. Menczer, and A. Flammini, "The Rise of Social Bot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9, No.7, pp.96-104, 2016. 

  20. G. Pennycook, T. D. Cannon, and D. G. Rand, "Prior Exposure Increases Perceived Accuracy of Fake New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147, No.12, pp.1865-1880, 2018. 

  21. S. Kiousis and M. McCombs, "Agenda-Setting Effects and Attitude Strength political figures during the 1996 Presidential Elec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1, No.1, pp.36-57, 2004. 

  22. G. Evans and A. Need, "Explaining Ethnic Polarization over Attitudes Towards Minority Rights in Eastern Europe: A Multilevel Analysis," Social Science Research, Vol.31, pp.653-680, 2002. 

  23. R. Karlsen, K. Steen-Johnsen, D. Wollebaek, and B. Enjolras, "Echo Chamber and Trench Warfare Dynamics in Online Debates,"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2, No.3, pp.257-273, 2017. 

  24. R. Huckfeldt, J. M. Mendez, and T. Osborn, "Disagreement, Ambivalence, and Engagement: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Heterogeneous Network," Political Psychology, Vol.25, pp.65-95, 2004. 

  25. C. S. Taber and M. Lodge, "Motivated Skepticism in the Evaluation of Political Belief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50, pp.755-769, 2006. 

  26. R. L. Holbert, R. K. Garrett, and L. S. Gleason, "A New Era of Minimal Effects? A Response to Bennett and Iyengar,"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0, No.1, pp.15-34. 2010. 

  27. 김혜정, 온라인 공간에서의 뉴스 미디어 이용 및 의사소통 행위가 유권자의 정치적 양극단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8. 신유진, 유튜브(YouTube)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한 필터버블(filter bubble)현상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9. D. C. Funder and D. J. Ozer, "Evaluating Effect size in Psychological Research: Sense and Nonsense," Advances in Methods and Practice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2, No.2, pp.156-168, 2019. 

  30. J. Duckitt and K. Fisher, "The Impact of Social Threat on Worldview and Ideological Attitudes," Political Psychology, Vol.24, No.1, pp.199-222, 2003. 

  31. J. C. Peterson, K. B. Smith, and J. R. Hibbing, "Do People Really Become More Conservative as They Age?," The Journal of Politics, Vol.82, No.2, pp.600-611, 2020. 

  32. 장석준, "정치 유튜브방송 이용과 정치대화, 정치효능감, 정치참여간의 영향 관계분석,"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57권, pp.89-132, 2020. 

  33. Pew Research Center, News Use across Social Media Platforms 2020, 2021. 

  34. A. Finlayson, "YouTube and Political Ideologies: Technology, Populism and Rhetorical Form," Political Studies, Vol.70, No.1, pp.62-80, 2022. 

  35. G. L. Hanson, P. M. Haridakis, and R. Sharma, "Differing Uses of YouTube during the 2008 U.S. Presidential Primary Election," Electronic News, Vol.5, No.1, pp.1-19, 2011. 

  36. S. W. Lee, A. Nanz, and R. Heiss, "Platform-dependent Effects of Incidental Exposure to Political News on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27, 107048, 2022. 

  37. 오대영,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학습효과: 정치효능감, 정치관심도,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97-115, 2018. 

  38. S. Iyengar and K. S. Hahn, "Red Media, Blue Media: Evidence of Ideological Selective in Media Us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9, No.1, pp.19-39, 2009. 

  39. S. Knobloch-Westerwick, Choice and Preference in Media Use: Advances in Selective Exposure Theory and Research, Routledge, 2014. 

  40. M. McPherson, L. Smith-Lovin, and J. M. Cook, "Birds of a Feather: Homophily in Social Networks,"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7, pp.415-444, 2001. 

  41. J. Buder, L. Rabl, M. Feiks, M. Badermann, and G. Zurstiege, "Does Negatively Toned Language Use on Social Media Lead to Attitude Polariz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16, 106663, 2021. 

  42. S. Ahmed and T. Gil-Lopez, "Incidental news exposure on social media and political participation gaps: Unraveling the role of education and social network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68, 101764, 2022. 

  43. 금희조, 조재호,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의 종류와 대화 채널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호, 제3호, pp.452-481, 2015. 

  44.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2017. 

  45. 최진호, 적대적 미디어 지각과 정치 유튜브 시청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선택적 노출, 언론 불신, 태도극화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46. S. Iyengar and G. Lelkes, "Affect, Not Ideology: A Social Identity Perspective on Polariza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76, No.3, pp.405-431, 2012. 

  47. J. C. Turner and P. J. Oaks, "The Signification of the Social Identity Concept for Socia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sm, Interactionism, and Social Influenc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25, No.3, pp.237-252, 1986. 

  48. J. C. Turner, M. A. Hogg, P. J. Oakes, S. D. Reicher, and M. S. Wetherell, "Rediscovering the Social Group: A Self-Categorization Theory. Blackwell, Oxford, England, 1987. 

  49. C. R. Sunstein, #Republic: Divided Democracy in the Age of Social Me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NY, 2017. 

  50. N. J. Stroud, "Polarization and Partisan Selective Expo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0, No.3, pp.556-576, 2010. 

  51. M. Prior, "Media and Political Polarization,"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16, pp.101-12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