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방송 콘텐츠를 통해 인식된 정치인 이미지가 유권자의 정치적 신념일치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21년 4·7 서울시장 재·보궐선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oliticians' Images Triggered by YouTube Contents on Voters' Agreement of Political Beliefs and Voting Intention :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Mayor's re-election, in 2021 April 7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350 - 366  

김종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전예솔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7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유튜브 방송 콘텐츠를 통하여 인식된 정치인 이미지, 정치적 신념일치, 투표의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거주 20대 이상 유권자를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치인 이미지 요인 중 도덕성, 리더십, 행정력은 정치적 신념일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인과의 정치적 신념일치는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인 이미지 요인 중 정치적 능력, 소통력은 투표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치인의 도덕성, 리더십, 행정력 모두 정치적 신념일치를 매개로 하여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치인 이미지, 정치적 신념일치, 유권자의 투표의도의 관계를 유튜브 방송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써 정치적 신념일치와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미치는 정치인 이미지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의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politicians, political belief agreement, and voting intention recognized through YouTube content, centering on the 4·7 Seoul Mayor's E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voters in their 20s or older livi...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60)

  1. 박영득.이재묵, "SNS 활용과 정치참여: 한국 제20대 총선 분석," 연구방법논총, 제2권, 제1호, pp.1-22, 2017. 

  2. 구자현, 정치인의 이미지와 투표참여의 관계연구: SNS 활동, 의사결정, 병리현상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 J. Stromback and A. Shehata, "Media malaise or a virtuous circle? Explo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news media exposure, political news attention and political interest."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Vol.49, No.5, pp.575-597, 2010. 

  4. 박선희, "인터넷 정치뉴스의 이용: 이용패턴과 이용자 특성,"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3호, pp.436-463, 2004. 

  5. 금혜성,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보, 제10권, 제2호, pp.189-220, 2011. 

  6. 박근영, "뉴미디어의 소비가 선거에서 지지후보자 변경에 미치는 영향: 2014년 서울시장선거의 예,"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1호, pp.29-55, 2015. 

  7. W. Moon and S. B. Lee,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eta-analysis of current research in Kore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59, No.4, pp.133-162, 2015. 

  8. 금준경, "국내 언론사의 유튜브 생존 전략:오리지널콘텐츠 라이브, 서브 채널에 승부 걸다," 신문과 방송, 제6권, 2018. 

  9. 이희은, "유튜브의 기술 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27권, 제2호, pp.5-46, 2019. 

  10. 장석준, "정치 유튜브방송 이용과 정치대화, 정치효능감, 정치참여 간의 영향 관계분석,"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57권, pp.89-132, 2020. 

  11. M. M. Hussain, "Journalism's digital disconnect: The growth of campaign content and entertainment gatekeepers in viral political information," Journalism, Vol.13, No.8, pp.1024-1040, 2012. 

  12. V. Gueorguieva, "Voters, MySpace, and YouTube: The impact of alternative communication channels on the 2006 election cycle and beyond,"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26, No.3, pp.288-300, 2008. 

  13. A. Poppen, Crush on Obama: A Case Study on the Impact of YouTube-Videos on Political Campaigning, GRIN Verlag, 2014. 

  14. L. D. Ricke, The impact of YouTube on US politics. Lexington Books, 2014. 

  15. G. J. Gulati and C. B. Williams, "Congressional candidates' use of YouTube in 2008: Its frequency and rational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Politics, Vol.7, No.2-3, pp.93-109, 2010. 

  16. S. W. Oh, "The algorithm of Youtube's media orientation," Kwanhun Journal, Vol.61, No.1, pp.11-17, 2019. 

  17. 정원엽, "유튜브 선거 운동과 21대 총선 콘텐츠 양상," 언론중재, Vol.154, pp.4-23, 2020. 

  18. 송정은, 장원호, "유투브 (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홍콩의 10-20 대 유투브(YouTube) 이용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55-169, 2013. 

  19. M. Yawn, E. Kevin, B. Bob, and F. K. Kim, "How a presidential primary debate changed attitude of audience members," Political Behavior, Vol.20, No.2, pp.155-181, 1998. 

  20. S. J. Best and H. Clark, "Maximizing Minimal Effect: The impact of early primary season debates on voter preferences," American Politics Quarterly, Vol.27, No.4, pp.450-467, 1999. 

  21. M. Yawn and B. Bob, "Debate-induced opinion change: What matters?," American Politics Quarterly, Vol.28, No.2, pp.270-285, 2000. 

  22. P. R. Schrott and D. J. Lanoue, "The power and limitations of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Assessing the real impact of candidate performance on public opinion and vote choice," Electoral Studies, Vol.32, No.4, pp.684-692, 2013. 

  23. 김리현, 유튜브에서의 정치인 채널 시청이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 외적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유튜브 신뢰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4. 김수영, 정치인의 유튜브 메시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5. 엄혜진, 지방자치단체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일치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광역시장에 대한 재투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6. 김영수, "정보의 불일치성과 정치인의 이미지 변화: 홍보에 따른 정치인 스키마 변화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Vol.49, pp.7-27, 2000. 

  27. W. Lippmann, The world outside and the pictures in our heads, 1992. 

  28. S. Penrod, Social Psychology, NJ: Prentice-Hall, 1983. 

  29. R. S. Sigel, "Effect of partisanship o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andidate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4, No.2, pp.483-496, 1964. 

  30. J. C. McCroskey, P. R. Hamilton, and A. N. Weiner, "The effect of interaction behavior on source credibility, homophily, and interpersonal attrac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 No.1, pp.42-52, 1974. 

  31. D. R. Kinder, "Presidential character revisited," Political cognition, Vol.19, p.474, 1986. 

  32. A. H. Miller, M. P. Wattenberg, and O. Malanchuk, "Schematic assessments of presidential candidate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24, No.3, pp.521-540, 1986. 

  33. 전희락, "정치인 이미지 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플라시보 효과와 노시보 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6, pp.303-344, 2010. 

  34. K. Boulding, The imag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6. 

  35. S. Walgrave and K. De Swert, "Where does issue ownership come from? From the party or from the media? Issue-party identifications in Belgium, 1991-2005."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Vol.12, No.1, pp.37-67, 2007. 

  36. L. L. Kaid, Television and politics in evolving European democracies, Nova Publishers, 1999. 

  37. 김연주, 김하나, "유권자의 호감도와 지지 의도 향상을 위한 정치인 이미지 요인 분석: 유명인의 정치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30권, 제8호, pp.135-166, 2019. 

  38. S. Kiousis, P. Bantimaroudis, and H. Ban, "Candidate Image Attributes Experiments on the Substantive Dimension of Second Level Agenda Setting,"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4, pp.414-428, 1999. 

  39. D. D. Nimmo and R. L. Savage, "Candidates and their Images: Concepts, Methods, and Findings." Goodyear Publishing Company, 1976. 

  40. S. W. Rosenberg, L. Bohan, P. McCafferty, and K. Harris, "The Image and the Vote: The Effect of Candidate Presentation on Voter Preference,"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33, No.4, pp.108-127, 1986. 

  41. 이준웅,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한국언론학보, Vol.43, No.2, pp.243-284, 1998. 

  42. 김현주, "대통령 후보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한국방송학보, Vol.12, pp.45-74, 1999. 

  43. 이강형, "유권자의 정치후보에 대한 감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46, No.5, pp.73-104, 2002. 

  44. 이강형, "정치후보의 텔레비전 토론이 후보 이미지 형성 및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4-29, 2003. 

  45. M. B. Holbrook and R. Batra,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4, pp.404-420, 1987. 

  46. 차영란, "정치 PR 전략으로서의 SNS 메시지: 21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pp.208-223, 2020. 

  47. 김진주, 윤종빈,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이념 갈등 표출에 관한 연구: 제21대 총선 유튜브 개표방송의 라이브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Vol.24, No.1, pp.101-135, 2021. 

  48. 김진영,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표참여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32, pp.113-146, 2006. 

  49. 김정기,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유권자의 직무수행평가와 투표지지-2002년 6.13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Vol.19, No.1, pp.211-232, 2005. 

  50. 최승범, 이환범, "기초자치단체 시장 연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9권, 제1호, pp.285-309, 2006. 

  51. 이효성, "유튜브의 정보추구 동기 및 이용이 투표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21대 총선에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대통령 책임 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58권, pp.183-222, 2020. 

  52. 조현걸, 박창규, "6.4지방선거에서 선거공약이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8권, 제2호, pp.209-245, 2000. 

  53. A. Campbell, E. C. Philip, E. M. Warren, and E. S. Donald, The American Vote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54. M. S. Lewis-Beck and T. Rice, Forecasting Elections, Washington DC: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1992. 

  55. T. Iversen, "Political leadership and representation in West European democracies: A test of three models of voting,"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pp.45-74, 1994. 

  56. 길정아, "정부신뢰와 정부불신, 그리고 투표 참여: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에 따른 차별적 유인." 의정연구, Vol.57, pp.103-139, 2019. 

  57. 송종길, 박상호, 한동준, "2007년 대통령선거 기간 중 TV 토론이 유권자의 정치인 이미지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9, pp.73-103, 2010. 

  58. 장승진,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 정당 편향 유권자의 특성과 투표선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Vol.24, No.2, pp.22-52, 2015. 

  59.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60.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Vol.21, No.2, pp.230-258, 199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