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량작물 생산에 대한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 - 전문가 설문조사 연구
Development of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for Food Crop Production in Korea-The Path Forward Based on Expert Feedback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7 no.1, 2022년, pp.27 - 40  

송기은 (경상국립대학교 농학과) ,  정재경 (경상국립대학교 농학과) ,  조승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김재윤 (국립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심상인 (경상국립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4차산업혁명의 선도사업으로 농업 부분의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사업을 지정하였다. 이에 한국 작물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식량작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작물 분야 및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관련자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은 한국 농업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발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개발에 따른 핵심 인력 양성 및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설비 구축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농업 선진국들의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연구 및 개발 수준은 현장 적용 및 검증 단계, 실용화 단계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개발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고령화나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해선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고 농민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기술 교육이 필요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장비-데이터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소비자와 다른 농산업 현장에도 적용되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은 기후변화 대응, 농업의 친환경성 증진, 노동력 부족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작물 생산 능력 제고를 통한 식량 안보 강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ilding self-sustainable rural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through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innovation is one of the major goals of the Korea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s a part of the nation's 4th industry revolution. To identify areas for improving and effectively investing in t...

주제어

표/그림 (21)

참고문헌 (18)

  1. Cho, K. J., K. Y. Kim, S. Y. Kim, and W. M. Yang. 2015. Survey of ICT status and new design of on-roof green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pp. 355-356 (in Korean). 

  2. Choi, Y. C. and Y. H. Jang. 2019. Smart far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6(3) : 9-16. 

  3. Joo, J. Y. and J. C. Oh. 2018. Development of lora wireless network based water supply control system for bare ground agriculture. Korea institu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13 : 1373-1378. 

  4. Jung, H. Y. 2021. An empirical study on establishing microgrid in outdoor smart farm. Master thesis, Graduate Schoo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 Kim, B. R., M. G. Lee, J. H. Heo, and S. H. Song. 2018.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plan for expansion. KREI Research Report. pp. 1-338. 

  6. Kim, G. H. 2019. Design and construction of urban-type energy self-supporting smart-farm service model. JKIICE. 23 : 1305-1310. 

  7. Kim, Y. G., J. Y. Park, and Y. G. Park. 2016.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success factors of smart farms. KERI. pp. 1-74. 

  8. Kim, Y. Y. 2017. The study about the effect on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income by using ICT.BT and the types of the 6th agricultural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2015. Progress direction and Project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R&D to realize smart-agriculture. p. 3-36. Seoul, Korea (in Korean). 

  1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3.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smart agriculture. p. 16-27. Naju, Korea (in Korean). 

  1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Smart farm operation status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research.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11-1541000-001674-0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4. Strategies of new ICT convergence of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 pp. 1-34. Seoul, Korea (in Korean). 

  13. Newman, D. 2018. Top six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in agriculture. Forbes. May. 2018, https://www.forbes.com/sites/danielnewman/2018/05/14/top-six-digital-transformation-trends-in-agriculture. 

  14. Park, J. Y. and M. Y. Heo, 2016. Trend of smart farm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34(1) : 70-75. 

  15. Sadiku, M. N. O., T. J. Ashaolu, and S. M. Musa. 2020. Emerging technologies in agri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Advances. 1 : 31-34. 

  16. Suh, D. S., Y. J. Kim, and E. J. Kim. 2021. A plan to establish precision agricultural system to enhanc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KREI Research Report. pp. 1-206. 

  17. Yeo, U. H., I. B. Lee, K. S. Kwon, T. W. Ha, S. J. Park, R. W. Kim, and S. Y. Lee. 2016. Analysis of research trend and core technologies based on ICT to materialize smart-farm.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5(1) : 30-41. 

  18. Yun, N. G., J. S. Lee, G. S. Park, and J. Y. Lee. 2017. Policy and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Korean smart farm.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2) : 19-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