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전후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utoring Program on Learning Satisfaction in COVID-19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5, 2022년, pp.179 - 185  

임명재 (한서대학교 항공관광학과) ,  이상훈 (한서대학교 융합교양학부) ,  김영기 (한서대학교 교육혁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대학 정책 내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방향에 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이전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대학생 33명, 코로나19 이후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코로나19 이전 H대학의 핵심역량의 구성 요인 중 자기혁신, 도전, 소통, 조화, 성실, 문제해결과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코로나19 이후 핵심역량의 자기혁신, 도전, 소통, 조화, 성실, 문제해결과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이전을 살펴보면, 핵심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높은 설명력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도전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인의 각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를 살펴보면, 핵심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높은 비율로 설명력 확보되었고, 핵심역량의 구성 요인 중 자기혁신, 조화는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도전이 학습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대학생에게 대면으로 진행할때는 도전요인을 강조가 필요하고, 비대면으로 진행할 때는 도전요인보다는 자기혁신요인이나 조화요인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and comparative studies in university policy by examining how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utoring programs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33 universi...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1)

  1. J. Y. Hwang. (202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ental Student's about Online Classes Based on Non-face-to-face Education Course, Journal of Digital Convengence, 20(2), 289-297. DOI : 10.14400/JDC.2022.20.2.289 

  2. J. W. Zhao & H. J. Park. (2022).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Anxiety and Dietary Lifestyles on the Drone Food Delivery Service Attitude. Journal of Digital Convengence, 20(2), 175-184. DOI : 10.14400/JDC.2022.20.2.175 

  3. G. Y. Park & J. M. Lee. (2021). A Qualitative Study of Online Synchronous Peer Tutoring for Freshmen at Un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of Tute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2), 583-605. DOI : 10.22251/jlcci.2021.21.22.583 

  4. B. K. Sun., B. S. Kim & J. O. Jung. (2009).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tudent Initiated Learning Community(Peer Tutor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2(4), 126-134. DOI : 10.18108/jeer.200912.4.126 

  5. M. N. Choi. (2015). The analysis of awareness about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of peer tutoring according to tutor and tutee's characters in peer tutoring of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3), 190-207. http://www.riss.kr/link?idA101715950 

  6. Y. K. Kim & H. D. Song. (2015). The effects of Tutees' Perceived a Tutor Competency Level on Learning Outcome in Peer Tutoring Progr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5), 229-250. http://www.riss.kr/link?idA105112065 

  7. J. L. Arco-Tirado, F. D. Fernandez-Martin & M.Hervas-Torres. (2020). Evidence-based peer-tutoring program to improve students' performance at the university. Studies in Higher Education, 45(11), 2190-2202. DOI : 10.1080/03075079.2019.1597038 

  8. H. H. Jeong. (2020). Qualitative study of tutee's experiences in peer tutoring organized by institut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4), 327-358. DOI : 10.24159/joec.2020.26.4.327 

  9. O. B. Kim & H. J. Kim. (2017). Identifying Predicting Variables of the Tutees' Learning Flow in Tutoring Progra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2), 563-584. DOI : 10.24159/joec.2020.26.4.327 

  10. M. J. Kim & H. S. Kim. (2007).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mplement of Web-Based Peer Tutoring. The Journal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Media 13(1), 49-73. http://www.riss.kr/link?idA75435096 

  11. Y. J. Joo & J. Y. Kim. (2003). An Inquiry into Tutors Roles and Competencies in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4(1), 19-39. http://www.riss.kr/link?idA40006512 

  12. C. Johns & M. Mils. (2021). Online mathematics tutor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s. Primus, 31(1), 99-117. DOI : 10.1080/10511970.2020.1818336 

  13. H. O, Heo, S. J. Woo & E. S. Kang. (2002). The Effect of Peer Tutoring and Learner Characterist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Comput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5(4), 19-29. http://www.riss.kr/link?idA106199319 

  14. S. Y. Yang, Y. S. Park, M. S. Jang, H. A. Ahn & K. Y. Kim. (2021).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o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9), 141-164. DOI : 10.22251/jlcci.201818.9.141 

  15. H. E. Lee, J. I. Park, E. J. Kim, J. Y. Kim & T. W. Chung. (2020). An Analysis of the Tutors' Perception of Experiences in College Peer Tutoring Programs: Based on CQR-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4), 67-98. DOI : 10.22251/jlcci.2020.20.24.67 

  16. M. H. Kang, M. J. Kim, B. K. Kim & J. W. You. (2013).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1st Century Skill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5(2), 373-402. DOI : 10.17927/tkjems.2013.25.2.373 

  17. H. J. Lee. (2021).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Core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4), 33-43. DOI : 10.22251/jlcci.2021.21.14.33 

  18. M. Y. Cho & M. Y. Kim. (2018). A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Effects of Self-Directe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164-170. DOI : 10.5762/KAIS.2018.19.3.161 

  19. K. H. Lee & H. S. Choe.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s and Systems of Hanseo University. Hanseo University Educational Innovation Institute. 

  20. Kmac.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s and Systems of Hanseo University. Hanseo University Educational Innovation Institute. 

  21. M. J. Im, A. K. Yang, D. M. Im, J. S. Mun, S. H. Lee, C. N. Ko, G. W. Sim & J. M. Park. (2019). Performance Report of the Education Innovation Institute of Hanseo University in 2019. Hanseo University Educational Innovation Institut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