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성과 및 과제: 보건 교과목 고등학생의 참여경험
Effects and Challenges of Cluster Curriculum of Gyeonggi-do Province in Korea: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Healt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3, 2022년, pp.105 - 112  

양혜경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통해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성과 및 과제를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결과 '경쟁적 환경에서 최선의 선택', '보건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다양한 보건세계에 대해 경험해 보고 싶은 욕구', '비정규 교과과정 운영의 한계', '기분 좋은 상상을 하게 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보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보건의료계열에 대한 정보습득을 통해 진로의 방향설정 및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는 성과는 있었으나, 수업운영 및 실습을 포함한 보건의료의 세부전공에 대한 교과내용의 보완은 개선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성과 및 과제를 공유함으로써 진로교육의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cluster curriculum through the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cluster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opics such as "Best Choice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Change in Heal...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19)

  1. C. H .Lee, H. H. Jeon. "Exploring digital capabilit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20(14). 311-338. 2020. 

  2. G. H. Lee, H.R. Jeon, Y. J. Choi.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College Admission Typ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omparison between General Admission and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8(3). 77-106. 2017. 

  3. D. H. Choi, Y. S. Kwon, H. J. Jeong et al. "2019 Curriculum Cluster Operation Teacher's Business Manual". Curriculum support department.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8. 

  4. I. S. Lee. "A qualitative study on paradoxes in implemneting the carrer and admission policies for general high schools : Based on the theory of policy of deborah stone". J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5(5). 51-84. 2017. 

  5. H. N. Choi, E. G. Oh, J. Y. Lee. "The Image of Nurses in Newspaper Articles during COVID-19 Era". JKCA. 21(11). 626-637. 2021. 

  6. G. B. Jo. The Explo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luster as Student-Centered Curriculum. Educational research. 73. 151-167. 2018. DOI : 10.17253/swueri.2018.73..008 

  7. G. B. Jo, B. B. Gi, H. J. Lee. "A Self-Study o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77. 75-95. 2020. 

  8.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 3, No. 20, pp. 77-101. 2006. 

  9. Lincoln, Y. Guba, E,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10. S. Y. Ru. "How is the nurse image perception?: Comparison between major and non-major students". J of Digital Convergence. 12(10). 353-361. 2014. 

  11. E. K. An, G. H. Choi. "A comparative study on the tourism education Satisfaction of Tourism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Specializes High School: Focusing on High School Tourism". Hotel Tourism Research. 10(1). 21-29. 2008. 

  12. S. Y. Kim et al. An Investigation of Factors Which Influence Physical Therap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KAUTPT. 11(3). 71-84. 2004. 

  1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school Health Act. Student Health Management No, 9.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2022. https://www.law.go.kr 

  14. H. K. Kim, S. D. Oh. "Future directions of school health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and practice in korea". J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4). 217-228. 2007. 

  15. S. Y. Lee, H. S. Yo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Virtual University System." J of the Korean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6(12). 3577-3588. 1999. 

  16. B. R. Jo. "A Study on CQI Form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lass. J of Digital Convergence, 18(5), 115-125. 2020. 

  17. S. E. Moon, Y. J. Kim, Kim S. Y. Kim. "Current condi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lasses in the pubic health curricula".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4(6). 961-966. 2014. DOI: org/10.13065/jksdh.2014.14.06.961. 

  18. S. M. Park, I. S. Park, H. Kim, K. D. Kim, T. S. Lee. "Glob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Challenges: Korea Introduction and operation status analysis of the university course elective system". Korea Academy of Elementary Education Conference. 381-395. 2008. 

  19. Davis MH, Amin Z, Grande JP, O'Neill AE, Pawlina W, Viggiano TR, et al. "Case studies in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29(7): 717-722. 2007. DOI: org/10.1080/014215907016914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