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물질의 개념과 예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ter and its Exampl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1, 2022년, pp.150 - 161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물질은 대표적인 과학의 기본 개념이지만 추상성으로 인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개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개념과 물질 및 물질이 아닌 것의 예에 대한 이해를 학년에 걸쳐 조사하고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3학년부터 6학년 학생 총 418명이었으며, 자유응답식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물질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주요 개념은 '물체를 이루는 재료', '보고 만질 수 있는 것', '고체, 액체, 기체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재료 관점의 설명 비율은 줄어들고, 상태 관점의 설명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물질을 무게와 부피를 가진 것으로 설명하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 둘째, 학생들이 제시한 물질의 예는 대부분 고체였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액체와 기체 상태의 예도 늘어났다. 그러나 오히려 고학년에서 물체와 물질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들이 늘어나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물질이 아닌 것의 예로 물체, 액체, 기체가 언급되는 가운데 다른 학년에 비해서 6학년 학생들은 물질이 아닌 것의 예를 더 잘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개념은 그들이 제시하는 물질 및 비물질의 예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ter is a basic concept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during their science classes. However, many difficulties are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matter due to its abstraction. In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atter and the examples o...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7)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 구영옥, 김효남(2000).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물질에 관한 이해. 초등과학교육, 19(1), 113-129. 

  3. 김도욱(2018). 의미네트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물질 개념체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7(1), 39-53. 

  4. 노태희, 한수진, 박지애(2010).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지식과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42-53. 

  5. 박종호(2018). 물질, 계절 변화에 대한 예비초등, 초등, 중등교사들의 개념 비교. 수산해양교육연구, 30(1), 167-175. 

  6. 백성혜, 조부경, 김효남(2000). 유치원, 초등, 중등학교 과학 교재의 '물질의 성질' 관련 학습 내용 전개에 대한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27-541. 

  7. 백성혜, 최정인, 박은주(2013). 초등학교 3학년 "물질의 상태" 단원에 제시된 예의 기능별 유형 분석 및 학생들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273-1284. 

  8. 신남수, 고은정, 최취임, 정대홍(2014). Learning Progression을 적용한 중고등학생의 "물질의 입자성"에 관한 지식과 미시적 표상에 대한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37-447. 

  9. 이을수, 박종호(2008). 초등학생 및 교사들의 물질 상태에 대한 개념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2(1), 183-199. 

  10. 이재원, 이병진, 노태희(2018). 물질의 특성에 대한 중학생의 거시적 개념과 미시적 개념의 비교. 대한화학회지, 62(3), 243-252. 

  11. 최봉윤, 김성규, 공영태(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화학물질에 대한 이해도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3(2), 233-256. 

  12. 최정인, 백성혜(2015).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한 개념변화에 초등교사들의 토론이 미치는 영향과 분류활동 결과의 분석. 대한화학회지, 59(4), 320-335. 

  13. 홍미영, 전경문(200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개념에 대한 고찰. 대한화학회지, 51(1), 65-72. 

  14. Dickinson, D. K. (1987). The development of a concept of material kind. Science Education, 71 (4), 615-628. 

  15. Durmus, J., & Bayraktar, S. (2010). Effect of conceptual change texts and laboratory experiments on four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ter and change concep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5), 498-504. 

  16. Eskilsson, O., & Hellden, G. (2003). A longitudinal study on 10-12-year-olds' conceptions of the transformations of matter.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4(3), 291-304. 

  17. Hadenfeldt, J. C., Liu, X., & Neumann, K. (2014). Framing students' progression in understanding matter: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2), 181-208. 

  18. Harrison, A., & Treagust, D. (2002).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Challenges in understanding the submicroscopic world. In J. Gilbert, O. de Jong, D. F. van Driel, & J. H. van Driel (Eds.),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pp. 189-212). Dordrecht: Kluwer. 

  19. Krnel, D., Watson, R., & Glazar, S. A. (1998). Survey of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3), 257-289. 

  20. Krnel, D., Watson, R., & Glazar, S. A. (2005).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matter': A cross-age study of how children describe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 367-383. 

  21. Liu, X., & Lesniak, K. M. (2005). Students' progression of understanding the matter concept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89(3), 433-450. 

  22. McMullin, E. (1978). The concept of matter in modern philosophy. Notre Dame, I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3.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20). Science Syllabuses Lower Secondary Express Course Normal (Academic) Course: Implementation starting with 2021 Secondary One Cohort. 2020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24.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 .C. 

  25. Smith, C., Carey, S., & Wiser, M. (1985). On differentiation: A case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ize, weight, and density. Cognition, 21, 177-237. 

  26. Smith, C., Maclin, D., Grosslight, L., & Davis, H. (1997). Teaching for understanding: A study of students' preinstruction theories of matter and a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wo approaches to teaching about matter and Density. Cognition and Instruction, 15(3), 317-393. 

  27. Stavy, R. (1991). Children's ideas about matter.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1(6), 240-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