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 성향, 환경, 과정, 산물의 상관 분석 및 과학 창의성 상·하위 학생의 창의 성향과 환경의 차이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and Environment between Higher-Level and Lower-Level Students in Scientific Creativit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2, 2022년, pp.395 - 417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 성향, 환경, 과정, 산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 과정과 산물을 측정하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창의 성향과 환경에 관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5명에 투입하였다. 검사 도구에서 창의 성향은 인지적 성향과 정의적 성향으로, 창의 환경은 가정환경과 학교 환경으로 구성된다. 또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탐구하기 위하여 창의 과정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았으나 창의 산물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4명의 학생과 창의 산물 점수가 가장 높은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성향 및 환경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는 면담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 성향과 환경이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생 면담 결과,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공통적인 창의 성향 특징으로 미래의 성공을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 참을 수 있다는 점, 주변 사람들의 말을 비판적으로 듣는다는 점이 있었다. 셋째,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은 자유로운 의견을 존중해주는 가정환경에 있지만, 과학 창의성이 낮은 학생은 자신의 의견을 무시 혹은 그에 반응하지 않는 가정환경에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과학 창의성 교육의 정의적, 환경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environment, process, and product a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for different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evaluated 105 fifth graders' responses to two tests: i) the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creative proces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81)

  1. 강정하, 최인수(2008). 과학적 창의성과 시각예술적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2), 201-237. 

  2. 강현철(2013).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87-594. 

  3. 김명숙, 한기순(2008).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8(1), 23-52. 

  4. 김미숙(2005). 중학생 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교육심리연구, 19(2), 477-503. 

  5. 김민주, 임채성(2018).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교사 평가, 객관적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7(4), 440-454. 

  6. 김민주, 임채성(2019).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39-452. 

  7. 김민주, 임채성(2021).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4), 520-544. 

  8. 김민주, 임채성(2022).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1), 33-49. 

  9. 김영정(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인지과학, 13(4), 81-90. 

  10. 김영채(2012).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과 특수성: 쟁점과 TTCT 창의력 검사의 분석. 사고개발, 8(1), 1-29. 

  11. 명전옥(1996). 과학교육에서 태도 연구의 개선방안: LISREL 을 활용한 연구 방법. 초등과학교육, 15(2), 327-345. 

  12. 박상범, 박병기(2007).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 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1(4), 905-922. 

  13.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4. 서민규(2012).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교양교육 연구, 6(3), 221-247. 

  15. 성진숙(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외 적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19-237. 

  16. 송영욱, 김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17. 신문승(2010).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3(3), 267-291. 

  18. 유경훈(2010). 창의적 산출물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정의.환경적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연구. 아시아교육 연구, 11(3), 71-95. 

  19. 유경훈, 박춘성(2013). 초중고 학생의 창의성 발달 특성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3(2), 43-60. 

  20. 윤회정, 박은미, 김지영, 이윤하, 방담이(2015). 중학생들 의 과학적 창의성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9(4), 1005-1025. 

  21. 이병희, 임웅(2010). 과학 영재의 창의적 행동 발현 변인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 영재와 영재교육, 9(2), 127-144. 

  22. 이송이(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24(2), 61-71. 

  23.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24. 임채성(2012). 뇌기반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0(4), 429-452. 

  25.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26.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27. 조연순, 정지은(2012).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333-352. 

  28. 조연순, 최경희(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29-343. 

  29. 조혜진, 김은진, 이형철(2011). e-PBL을 활용한 과학 독서 논술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74-82. 

  30. 최성연, 김성연, 김성원(2007).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72-284. 

  31.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2. Adolf, J. (1982). Creative thinking through scienc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32 785). Retrieved September 1, 2008, from http://eric.ed.gov 

  33. Albert, R. S., & Runco, M. A. (1989). Independence and cognitive ability in gifted and exceptionally gifted boy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8, 221-230. 

  34. Amabile, T. M., Collins, M. A., Conti, R., Phillips, E., Picariello, M., Ruscio, J., & Whitney, D. (2018).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UK: Routledge. 

  35.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36.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3-177. 

  37. Baer, J. (2014). Creativity and divergent thinking: A task-specific approach.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38. Baer, J., & Kaufman, J. C. (2005). Whence creativity? Overlapping and dual-aspect skills and traits. In J. C. Kaufman & J. Baer (Eds.), Creativity across domains: Faces of the Muse (pp. 313-320). Mahwah, New Jersey: Lau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9. Batey, M., & Furnham, A. (2006).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 critical review of the scattered literatur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32, 355-429. 

  40. Beghetto, R. A. (2006). Creative self-efficacy: Correlates in middle and secondary studen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4), 447-457. 

  41. Brown, T. A., & Moore, M. T. (201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R. H. Hoyle (Ed.), Handbook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p. 361-379). New York, NY: Guilford Press. 

  42. Craft, A., Jeffrey, B., & Leibling, M. (Eds.).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London: A&C Black. 

  43. Csikszentmihalyi, M. (1990). The domains of creativity. In M. A. Runco & R. S. Albert (Eds.), Theories of creativity, London: Sage 

  44. Dogan, I., & Ozdamar, K. (2017). The effect of different data structures, sample sizes on model fit measures. Communications in Statistics-Simulation and Computation, 46(9), 7525-7533. 

  45. Eysenck, H. J. (1995). Creativity as a product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ternational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p. 231-247). Boston, MA: Springer. 

  46. Farrington-Darby, T., & Wilson, J. R. (2006). The nature of expertise: A review. Applied ergonomics, 37(1), 17-32. 

  47. Feist, G. J. (1998).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i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4), 290-309. 

  48. Feldhusen, J. F., Denny, T., & Condon, C. F. (1965). Anxiety, divergent thinking,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6(1), 40. 

  49. Gray, C. E. (1966). A measurement of creativity in Western civiliz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68(6), 1384-1417. 

  50.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51. Han, K. S., & Marvin, C. (2002). Multiple creativities? Investigating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6(2), 98-109. 

  52. Harrington, D. M., Block, J. H., & Block, J. (1987). Testing aspects of Carl Rogers's theory of creative environments: Child-rearing antecedents of creative potential in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4), 851-856. 

  53.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54. Huang, T. C. (2019). Do different learning styles make a difference when it comes to creativity? An empirica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00, 252-257. 

  55. Jauk, E., Benedek, M., Dunst, B., & Neubauer, A. C.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New support for the threshold hypothesis by means of empirical breakpoint detection. Intelligence, 41(4), 212-221. 

  56. Knowles, M. S., Holton III, E. F., & Swanson, R. A. (2005). The adult learner (6th ed.). Burlington, MA: Elsevier. 

  57. Lubart, T. I. (1999). 17 Creativity across cultures. Handbook of creativity, 339-350.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Lubart, T. I., & Sternberg, R. J. (1995). An investment approach to creativity: Theory and data. In S. M. Smith, T. B. Ward, & R. A. Finke (Eds.), The creative cognition approach (pp. 271-302). Cambridge, MA: MIT Press. 

  59. MacCallum, R. C., Widaman, K. F., Preacher, K. J., & Hong, S. (2001).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6(4), 611-637. 

  60. Mansfield, R. S., & Busse, T. V. (1981).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 Scientists and their work. Chicago: Nelson-Hall. 

  61. Meador, K. S. (2003). Thinking creatively about science: Suggestions for primary teachers. Gifted Child Today, 26(1), 25-29. 

  62. Mohamed, A. (2006). Investigating the scientific creativity of fifth-grad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63. Reiter-Palmon, R., Robinson-Morral, E. J., Kaufman, J. C., & Santo, J. B. (2012). Evaluation of self-perceptions of creativity: Is it a useful criter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2-3), 107-114. 

  64. Rhodes, M. (1961). An analysis of creativity. The Phi delta kappan, 42(7), 305-310. 

  65. Ross, J. A. (2006).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tility of self-assessment.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1(1), 10. 

  66. Runco, M. A. (2003). Education for creative potential.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3), 317-324. 

  67. Runco, M. A. (2006).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San Diego: Academic Press. 

  68. Sawyer, R. K. (1999). The emergence of creativity. Philosophical psychology, 12(4), 447-469. 

  69. Sawyer, R. K. (2012). Extending sociocultural theory to group creativity. Vocations and Learning, 5(1), 59-75. 

  70. Selby, E. C., Shaw, E. J., & Houtz, J. C. (2005). The creative personality. Gifted Child Quarterly, 49(4), 300-314. 

  71. Simonton, D. K. (1999). Origins of genius: Darwinian perspectives on creativ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2. Simonton, D. K. (2004). Exceptional creativity and chance: Creative thought as a stochastic combinatorial process. Beyond knowledge: Extracognitive aspects of developing high ability, 39-72. UK: Routledge. 

  73. Simonton, D. K. (2012). Assessing scientific creativity: Conceptual analyses of assessment complexities. Commissioned paper, The Science of Science and Innovation Policy Conferenc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74. Sitzmann, T., Ely, K., Brown, K. G., & Bauer, K. N. (2010). Self-assessment of knowledge: A cognitive learning or affective measure?.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9(2), 169-191. 

  75. Squalli, J., & Wilson, K. (2014). Intellige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Intelligence, 46, 250-257. 

  7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Free Press. 

  77. Sun, J. (2005). Assessing g oodness of fit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7(4), 240-256. 

  78. Taylor, C. W. (1988). Various approaches to and defin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99-121).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 C., & Shepardson, C. A. (2002). Assessing creativity.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80. Urban, K. K. (2003). Toward a componential model of creativity. In D. Ambrose, L. M. Cohen, & A. J. Tannenbaum (Eds.), Creative intelligence: Toward theoretic integration (pp. 81-112). Cresskill, NJ: Hampton Press. 

  81. Yoo, Y., Kang, Y., & Kim, J. (2013).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 creativity and general creativity, meta-cognitio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7(1), 10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