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균형 및 인지에 관한 상관관계분석
Correlation of motor function, balance, and cognition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7 no.1, 2020년, pp.56 - 65  

박지원 (삼육서울병원 물리치료실) ,  이병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수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상우 (창동 인터넷 중독예방 상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dividuals affected by stroke present with changes in motor function, balance, and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correlation between motor function, balance, and cognition in patients with stroke. Design: cross-sectional study design. Methods: 67 stroke patients in th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균형, 인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인지 기능이 신체 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초기 뇌졸중환자의 재활 프로그램 계획시 초기에 인지기능을 평가하여 중재 프로그램에 신체적 기능과 균형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시 인지훈련을 병행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신체기능, 균형, 인지 기능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 한 결과, 첫째 신체기능과 균형, 인지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
  • 각 근육에서 최대 등척성 수축 시 발생하는 저항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의 굴곡근 및 외전근의 근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견관절 굴곡근과 외전근의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중립자 세를 취하고 목이나 체간의 움직임 없이 견관절 고정하였으며 상완 이두근에 의한 대상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꿈치를 핀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 검사 방법으로 고정된 지지면 위에 양 발을 어깨너비로 벌린 기립 자세에서, 주먹을 쥐고, 팔꿉관절신전, 어깨관절 90°전방 굴곡한다. 시작 자세에서 어깨의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된 막대와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지를 최대로 뻗어 균형을 잃지 않고 5초간 유지한 상태로 세 번째 손허리뼈 원위부의 처음 지점을 기록한 후 처음과 마지막 지점 간의 거리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균형의 한계를 잘 측정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균형 장애를 찾아내거나, 시간경과에 따른 균형 수행력의 변화를 검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기능적 뻗기 검사를 변수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재검사 신뢰도 및 측정자간 신뢰도는 ICC=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주된 임상 증상 중 하나인, 운동기능 저하로 인한 기능 제한, 편측의 근긴장도 증가와 근력 저하로(Trombly와 Ma, 2002) 인한 운동 능력의 감소(Carr et al., 1985)가 균형 능력 및 인지 기능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환자의 균형능력 증진과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이란 뇌로 전달되는 혈액공급이나, 뇌 조직에 출혈이 발생하여 뇌의 혈액 공급 장애가 나타나는 뇌혈관 질환으로(Sims와 Muyderman, 2010) 우리나라의 경우 암, 심장질환과 함께 3대 사망원인이며 전체원인의 8.3%를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19).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MMSE의 구성 요소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형 간이 정신 상태 검사(Korean-Mini Mental State Exanmination; K-MMSE)를 사용하였다 MMSE는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Folstein 등, 1983). 지남력, 기억, 주의 집중 및 계산, 기억회상,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 Chronbach’s a는 0.98을 보였다(Chau 등, 2014).
뇌졸중 발생 이후의 중추신경계의 회복 과정은? 특히 뇌졸중 발생 이후의 중추신경계는 급성기인 3개월 이내에는 자연적 회복기전(post-lesion reparative mechanism)에 의하여 어느 수준까지는 자연적인 회복은 가능하지만 만성기로 갈수록 회복의 정도는 미미해 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뇌 손상 후 운동기능의 장애는 만성기(보통 12개월 후)이후에는 더 이상 호전이 없는 경우가 많아 영구적인 장애를 남기게 된다(Langdon과 Corbett,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통계청. 2018년 사망원인통계. 2019. 

  2. Adlard PA, Perreau VM, Cotman CW. The exercise-induced expression of BDNF within the hippocampus varies across life-span. Neurobiol Aging 2005;26(4):511-520. 

  3. Appelros P, Andersson AG. Changes i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 after stroke: lacunar infarction predicts cognitive decline. Eur J Neurol 2006;13(5):491-495. 

  4. Barclay-Goddard R, Stevenson T, Poluha W, et al. Force platform feedback for standing balance train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4;(4):CD004129. 

  5.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6.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1080. 

  7. Brosseau L, Tousignant M, Budd J, et al.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and criterion validity of the parallelogram and universal goniometers for active knee flexion in healthy subjects. Physiother Res Int 1997;2(3):150-166. 

  8.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175-180. 

  9. Chau PH, Tang MW, Yeung F, et al. Can short-term residential care for stroke rehabilitation help to redu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troke survivors? Clin Interv Aging 2014;9:283-291. 

  10. Colcombe SJ, Erickson KI, Scalf PE, et al. Aerobic exercise training increases brain volume in aging human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6;61(11):1166-1170. 

  11. Cotman CW, Berchtold NC. Physical activity and the maintenance of cognition: learning from animal models. Alzheimers Dement 2007;3(2Suppl):S30-37. 

  12. Cotman CW, Berchtold NC, Christie LA. Exercise builds brain health: key roles of growth factor cascades and inflammation. Trends Neurosci 2007;30(9):464-472. 

  13. Dean CM, Shepherd RB.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1997;28(4):722-728. 

  14. DeLisa JA, Little JW. Electrodiagnosis and recovery of function. Am J Phys Med Rehabil 1988;67(2): 44-49. 

  15.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M192-197. 

  16. Duncan PW, Studenski S,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predictive validity in a sample of elderly male veterans. Gerontol 1992;47(3):M93-98. 

  17. Erickson KI, Kramer AF. Aerobic exercise effects on cognitive and neural plasticity in older adults. Br J Sports Med 2009;43(1):22-24. 

  18. Fabel K, Fabel K, Tam B, et al. VEGF is necessary for exercise-induced adult hippocampal neurogenesis. Eur J Neurosci 2003;18(10):2803-2812. 

  19. Folstein MF, Robins LN, Helzer JE.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rch Gen Psychiatry 1983;40(7):812. 

  20. Green AF, Rebok G, Lyketsos CG. Influence of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n cognition and functional status with aging. Int J Geriatr Psychiatry 2008;23(9):972-978. 

  21. Gregson JM, Leathley MJ, Moore AP, et al.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muscle tone and muscle power in stroke patients. Age Ageing 2000;29(3):223-228. 

  22. Harley C, Boyd JE, Cockburn J, et al. Disruption of sitting balance after stroke: influence of spoken outpu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6;77(5):674-676. 

  23. Heckman JD, Greene WD. The clinical measurement of joint motion.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1994. 

  24. Hendrich A, Nyhuis A, Kippenbrock T, et al. Hospital falls: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for clinical practice. Appl Nurs Res 1995;8(3):129-139. 

  25. Kim SC, Hur YG. The Effect of Treadmill and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Hemiplegia Patients. J Korean Phys Ther Sci 2018;25(1):31-43. 

  26. Kraft E. Cognitive function, physical activity, and aging: possible biological links and implications for multimodal interventions. Neuropsychol Dev Cogn B Aging Neuropsychol Cogn 2012;19(1-2):248-263. 

  27. Kramer AF, Erickson KI. Capitalizing on cortical plasticity: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on and brain function. Trends Cogn Sci 2007;11(8):342-348. 

  28. Langdon KD, Corbett D. Improved working memory following novel combinations of physical and cognitive activit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2;26(5):523-532. 

  29. Lephart SM, Henry TJ. Func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upper and lower extremity. Orthop Clin North Am 1995;26(3):579-592. 

  30. Michaelsen SM, Dannenbaum R, Levin MF. Task-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 on arm recovery in stroke: randomized control trial. Stroke 2006;37(1):186-192. 

  31. Mullick AA, Subramanian SK, Levin MF. Emerging evidence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deficits and arm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meta-analysis. Restor Neurol Neurosci 2015;33(3):389-403. 

  32. Ottenbacher K. Cerebral vascular accident: som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forms. Am J Occup Ther 1980;34(4):268-271. 

  33. Paolucci S, Grasso MG, Antonucci G, et al. Mobility status after inpatient stroke rehabilitation: 1-year follow-up and prognostic factor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8. 

  34. Piek JP, Dyck MJ, Nieman 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coordination, executive functioning and atten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rch Clin Neuropsychol 2004;19(8):1063-1076. 

  35. Pohjasvaara T, Erkinjuntti T, Ylikoski R, et al. Clinical determinants of poststroke dementia. Stroke 1998;29(1):75-81. 

  36. Radak Z, Hart N, Sarga L, et al. Exercise plays a preventive role against Alzheimer's disease. J Alzheimers Dis 2010;20(3):777-783. 

  37. Rockwood K, Howlett S, Fisk J, et al. Lipid-lowering agents and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that does not meet criteria for dementia, in relation to apolipoprotein E status. Neuroepidemiology 2007;29(3-4):201-207. 

  38. Roh JS.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on balance of patient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Studies in Korea. J Korean Phys Ther Sci 2017;24(1):59-68. 

  39. Shin JW, Kim KD. The effect of enhanced trunk control on balance and falls through bilateral upper extremity exercises among chronic stroke patients in a standing position. J Phys Ther Sci 2016;28(1):194-197. 

  40. Sims NR, Muyderman H. Mitochondria, oxidative metabolism and cell death in stroke. Biochim Biophys Acta 2010;1802(1):80-91. 

  41. Trombly CA, Ma HI.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I: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 activities. Am J Occup Ther 2002;56(3):250-259. 

  42. van Nes IJ, Nienhuis B, Latour H, et al. Posturographic assessment of sitting balance recovery in the subacute phase of stroke. Gait Posture 2008;28(3):507-512. 

  43. van Praag H. Exercise and the brain: something to chew on. Trends Neurosci 2009;32(5):283-290. 

  44. van Praag H, Shubert T, Zhao C, et al. Exercise enhances learning and hippocampal neurogenesis in aged mice. J Neurosci 2005;25(38):8680-8685. 

  45. Vaynman S, Ying Z, Gomez-Pinilla F. Hippocampal BDNF mediates the efficacy of exercise on synaptic plasticity and cognition. Eur J Neurosci 2004;20(10):2580-2590. 

  46. Zwecker M, Levenkrohn S, Fleisig Y, et al.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ognitive FIM instrument, and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relation to functional outcome of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3):342-3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