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An Analysis Reflecting on the Science core Competency of Certification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2, 2022년, pp.325 - 337  

채희인 (평택청아초등학교)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부터 도입된 과학핵심역량이 검정 교과서에 반영된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과학핵심역량교육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시행에 시사점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검정을 통과한 7종의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 반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검정 교과서 선정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네 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초등학교 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과서 전체에 1586개의 과학핵심역량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역량별 반영 비율을 살펴보면 탐구 > 사고 > 의사소통 > 문제해결 > 참여 순이었다. 교과서별로 평균 227개를 반영하고 있었으며, 영역별로 살펴보면 생물 영역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사들은 이전의 과학교육과 과학핵심역량교육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핵심역량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과학적 사고력에 대한 인식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핵심역량교육이 실현된 교육과정으로 정착되기 위하여 교과서가 핵심역량교육의 취지에 맞게 구성되어 실제적인 변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을 실행하는 구성원들의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the efficient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ScC) education by examining the state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analyzing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32)

  1. 강명희, 김민정, 김보경, 유지원(2013). 21세기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25(2), 373-402. 

  2. 고은정, 정대홍(2014). 과학교과서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3. 김현섭, 이태교, 방경현(2019).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통합과학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현장과학교육, 13(1), 63-77. 

  4. 박기문, 최유현, 홍준희, 이규녀, 문성환, 태진미, 이경표, 민봉기, 노경숙(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5. 박재근(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분석. 생물교육, 47(4), 509-521. 

  6. 박재진(2014).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 개발 및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4(4), 509-541. 

  7.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학연구, 25(3), 1-21. 

  8. 송경오, 박민정(2007).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34(4), 155-183. 

  9. 송신철, 심규철(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교과역량 분석. 생물교육, 48(1), 1-9. 

  10.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이상하, 박도영, 박상욱, 최인봉, 구남욱, 이은경(2014). 미래사회 핵심역량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평가정책의 방향.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이지성(2015). 우리는 불행하게 살도록 교육받았다. http://www.seoulpost.co.kr/news/30745. 

  13. 이현주, 하지훈, 곽영순(202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22(2), 1-23. 

  14. 채희인(2017). 과학핵심역량의 재구조화에 기반한 초등과학 수업전략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안양. 

  15. 채희인, 노석구(2015).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23-40. 

  16. 최상덕, 서영인, 황은희, 최영섭, 장상현, 김영철(2013).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 생태계 구축(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최현미, 김현섭(2020).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중학교 과학1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분석. 현장과학교육, 14(3), 353-364. 

  18. 하지훈, 신영준(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19. Barzilai, S., & Zohar, A. (2014). Reconsidering personal epistemology as metacognition: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9(1), 13-35. 

  20. Griffin, F., Care, E., & McGaw, B. (2012). The changing role of education and schools. In F. Griffin, B. McGaw, & E. Care (Eds.),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p. 1-15). New York: Springer. 

  21.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a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69-190). Mahwah, NJ: Erlbaum. 

  22. Holmes, G., & Hooper, N. (2000). Core competence and education. Higher Education, 40, 247-258. 

  23.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MA: Addison-Wesley. 

  24. Krippend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25. Lucia, A. D., & Lepsinger, R. (1999).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6.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7. Moore, D. R., Cheng, M. I., & Dainty, A. R. (2002). Competence, competency and competencies: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sations. Work Study, 51(6), 314-319. 

  28.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 : 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29. Pring, R. (1995). Closing the gap: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preparation. London: Hodder & Stoughton. 

  30.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31. Trilling, B., & Feda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2. Weber, R. P. (1985). Basic content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