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삶의 질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부동산 규제 완화 지지에 미치는 영향: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Fairness on Support for Real Estate Deregulati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Prospect of Upward Social Mobi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203 - 213  

노민정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삶의 질 저하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삶의 질 저하로 인한 불만감의 고조는 외부 사회 시스템의 공정성에 대한 귀책을 가중시키고, 이러한 공정성 측면의 평가절하는 그러한 불공정성을 바로 잡기 위한 정부의 인위적 개입, 즉 정부 주도의 시장 규제 강화에 대한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삶의 질 저하로 인한 공정성 차원의 평가절하는 개인의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일 때 보다 더 증폭될 수 있다. 불공정한 사회 시스템의 운영으로 인한 개인적 타격이 보다 크게 예상될 때, 즉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일 때 사적 차원의 삶의 질 저하문제는 공적 차원의 공정성 문제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총 6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활용해 이러한 예측들에 대한 검증을 시도했으며, 분석 결과는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성 문제가 최근 쟁점 사안으로 부상하게 된 데 대한 기저 원인을 구체적으로 조망해 볼 기회를 제공하여 주며 나아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혹은 강화에 대한 지지가 공정성 및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에 어떻게 영향받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는데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ecline in quality of life on perceived fairness and support for real estate deregulation. The rise of dissatisfaction due to th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life can increase the blame for the unfairness of the external social system, which may boost sup...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6)

  1. L. D. Ordonez, T. Connolly, and R. Coughlan, "Multiple Reference Points in Satisfaction and Fairness Assessment,"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Vol.13, No.3, pp.329-344, 2000. 

  2. 허세연, "한국인 60%, 자식이 부모보다 가난해질 것," 한국경제, 2021년 8월 26일. 

  3.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한눈에 보는 우리나라 100대 통계지표: 경제성장률, Retrived from:http://ecos.bok.or.kr/jsp/vis/keystat/#/detail. 

  4. 금현섭, "정부역할과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데이터 세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보지식정책연구소 서베이연구센터 [연구수행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KOSSDA) [자료제공기관], 2020-09-24, A1-2018-0060,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8-0060-V1.0 

  5. Y. Longo, I. Coyne, S. Joseph, and P. Gustavsson, "Support for a General Factor of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00, pp.68-72, 2016. 

  6. F. A. Huppert and T. T. So, "Flourishing across Europe: Application of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Defining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10, No.3, pp.837-861, 2013. 

  7. C. L. Keyes,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3, No.3, pp.539-548, 2005. 

  8. A. J. Howell, "Flourishing: Achievement-Related Correlates of Students' Well-Being,"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4, No.1, pp.1-13, 2009. 

  9. E. Diener, J. F. Helliwell, and D. Kahneman (Ed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ell-Being,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0. M. L. Kern, L. Waters, A. Adler, and M. White, "Assessing Employee Wellbeing in Schools Using a Multifaceted Approach: Associations with Physic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Thriving," Psychology, Vol.5, pp.500-513, 2014. 

  11. 봉원영, 정구철, "기독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영적 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566-579, 2016. 

  12. E. Diedericks and S. Rothmann, "Flourish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Effects on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Outcomes," South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Vol.45, No.1, pp.27-41, 2014. 

  13. T. M. Gilmor and H. L. Minton, "Internal versus External Attribution of Task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Locus of Control, Initial Confidence and Success-Failure Outcome," Journal of Personality, Vol.42, No.1, pp.159-174, 1974. 

  14. P. R. Blake, K. McAuliffe, J. Corbit, T. C. Callaghan, O. Barry, A. Bowie, L. Kleutsch, K. L. Kramer, E. Ross, H. Vongsachang, R. Wrangham, and F. Warneken, "The Ontogeny of Fairness in Seven Societies," Nature, Vol.528, pp.258-261, 2015. 

  15. 김윤희, 김준환,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접근," 부동산경영, 제17호, pp.101-118, 2018. 

  16. 이원우, "규제개혁과 규제완화: 올바른 규제정책 실현을 위한 법정책의 모색," 저스티스, 제106호, pp.355-389, 2008. 

  17. 최병선, "정부주도의 경제사회 운영과 행정윤리," 행정논총, 제39권, 제4호, pp.81-111, 2001. 

  18. 김태동, "부동산 개혁으로 건강한 자본주의를," 황해문화, 제3호, pp.87-105, 2019. 

  19. 이원재, 고동현, 김민진, "부동산 자산 격차 현상: 대책이 필요하다," 시선집중 GS&J, 제294호, pp.1-12, 2021. 

  20. 김상준, "나도 집 샀는데, 넘사벽 '껑충'...고소득자.저소득자 '251배' 차이," 머니투데이, 2022년 4월 5일. 

  21. 이의준, 김경민, "부동산 조세 및 대출 규제가 법인의 수도권 주택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56권, 제7호, pp.128-140, 2021. 

  22. 김효연, "국내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법적 규제의 개선방향-과잉대출 규제 및 금융소비자 보호를 중심으로," 경제법연구, 제12권, 제1호, pp.225-260, 2013. 

  23. 김태규, 부동산 규제 정책이 아파트 가격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4. 진상준, 김재태, "개발이익환수의 공정성과 방안 모색," 부동산법학, 제25권, 제4호, pp.73-91, 2021. 

  25. 김성률, "부동산 규제제도의 법적 쟁점에 대한 소고: 9. 13.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7-45, 2018. 

  26. 정승영, 정지선,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의 주요 쟁점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세법연구, 제24권, 제3호, pp.269-311, 2018. 

  27. K. Laurin, G. M. Fitzsimons, and A. C. Kay, "Social Disadvantage and the Self-Regulatory Function of Justice Belief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00, No.1, pp.149-171, 2011. 

  28. I. Plante, P. A. O'Keefe, and M. Theoret, "The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and Expectancy-Value Theories in Predicting Achievement-Related Outcomes: A Test of Four Theoretical Conceptions," Motivation & Emotion, Vol.37, No.1, pp.65-78, 2013. 

  29. C. M. Ringle, S. Wende, and J. M. Becker, SmartPLS 3. Boenningstedt: SmartPLS. Retrieved from https://www.smartpls.com, 2022. 

  30. J. F. Hair, G. T. M. Hult, C. M. Ringle, and M. Sarstedt,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2nd edition, Sage publications, 2016. 

  31. A. F. Hayes, The Process Macro for SPSS, SAS, and R. Retrived from: http://processmacro.org/download.html, 2021. 

  32.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ition, NY: The Guilford Press, 2018. 

  33.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34. 곽영신, 류웅재, "불평등 사회 속 공정 담론의 다차원성: 청년 공정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5권, 제5호, pp.5-45, 2021. 

  35. 성시영, 정용덕, "한국에서의 공정성 문제 제기 요인,"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2호, pp.93-114, 2012. 

  36. 지광석, 김태윤, "규제의 정당성에 대한 모색: 시장실패의 치유 vs. 거래비용의 최소화.경감,"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2호, pp.261-289, 201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