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도움과 요양보호사 도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Restriction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and care worker assista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545 - 556  

강동훈 (선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 및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5차 자료(2020년)를 기반으로, 65세 이상 노인 4,21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은 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과 노인의 우울 간에 가족의 도움은 노인의 우울을 완화하는 조절변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과 노인의 우울 간에 요양보호사의 도움은 노인의 우울을 완화하는 조절변수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함의를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nsure that the help of family members and caregivers has a controlling effect in the process of restriction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e 15th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technical statistics, average difference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먼저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 그 가운데 일상생활 가족 및 요양보호사 도움이 노인의 우울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가족은 일상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가장 전형적인 사적 지원체계이고, 요양보호사의 경우 일상생활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 공공의 측면에서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전형적인 직업군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전통적인 사적 도움체계인 ‘가족’과 공적 도움체계인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의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에 있다
  •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제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가족의 도움과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노인의 우울 간에 조절 효과를 발생시키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선행 연구와, 제한된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돕기 위한 사적 및 공적 활동이 노인의 우울을 완화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근거로 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가족 및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노인의 우울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연구가설 1.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가족에 의한 일상생활 도움은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노인의 우울 간에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 연구가설 3.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생활 도움은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노인의 우울 간에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 연구가설 1.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이윤경, 김세진, 황남희, 임정미, 주보혜, 남궁은하, 이선희, 정경희, 강은나, 김경래, 2020년 전국노인실태 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3. 곽윤복, 고성희, 김현경, "노인의 알코올 사용 우울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9호, pp.221-228, 2012. 

  4. 박선애, 허준수,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교성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2호, pp.79-108, 2013. 

  5. 박완규, 노년기 학대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 M. Waerna, E. Rubenowitzb, and K. Wihelmsonb, "Predictors of suicide in the old elderly," Gerontology, Vol.49, No.5, pp.328-334, 2003. 

  7. B. M. Byrne, S. M. Stewart, and P. W. Lee, "Validat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for hong kong community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Vol.4, No.3, pp.199-216, 2004.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DSM-V), 2013. 

  9. 강동훈, "노인의 박탈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8권, 제1호, pp.197-245, 2019. 

  10. 임연옥, 윤현숙, "노년기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 사회적 지지, 삶에 대한 통제감, 우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1호, pp.123-149, 2017. 

  11. 장영은, 김신열, "사회적 관계망 기능이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4호, pp.1-24, 2015. 

  12. 최영대, 신승연,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속감의 조절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13호, pp.155-180, 2014. 

  13. 강초록, 조영태, "사회적 차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35권, 제3호, pp.1-27, 2012. 

  14. D. R. Jahn, K. C. Cukrowicz, K. Linton, and F. Prabhu,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old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Vol.15, No.2, pp.214-220, 2011. 

  15. C. K. Ra and Y. Cho, "Differentiated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components on suicidal ideation across age groups in South Korea," BMC Public Health, No.13, pp.1-8, 2013. 

  16. A. K. Shah and T. De, "Suicide and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ic Clinical Practice, No.2, pp.3-17, 1998. 

  17. 김현순, 김병석,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01-219, 2008. 

  18. 오세근, 조준, 김영희, 최정민, "노인의 우울감과 죽음불안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43-254, 2012. 

  19. 전봉천, 대도시 노인의 삶의 질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0. 민경진, 황진수,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호, pp.221-246, 2007. 

  21.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53-368, 2009. 

  22. 손용진,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장애가 있는 노인의 우울증 조절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8권, 제3호, pp.53-69, 2018. 

  23. 김경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2호, pp.49-77, 2018. 

  24. 신은숙, 조영채,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 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01-210, 2012. 

  25. 이소영, "재가노인의 건강행위 관련 특성,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89-501, 2010. 

  26. B. J. Kim and Y.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on among older Korean immigrants," Educational Gerontology, No.41, pp.417-427, 2015. 

  27. 노유자, 김춘길, "가정노인과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활동능력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59-278, 1995. 

  28. 이현심, 남희수, "농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여주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제17권, 제4호, pp.957-984, 2010. 

  29. 유호신, "전국 법정복지대상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치매와의 상관관계," 간호학회지, 제31권, 제1호, pp.139-149, 2001. 

  30. 이금재, 박혜숙, "재가도시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여성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21-230, 2006. 

  31. 배숙경, 이은진, 엄태영,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5-30, 2012. 

  32. 통계청, http://kosis.kr 

  33. 김동배, 손의성,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25권, 제4호, pp.167-187, 2005. 

  34. 백옥미,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결정요인: 앤더슨 모형의 적용,"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호, pp.1-27, 2011. 

  35. 주수산나, 전혜정, 최봄이,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제38권, 제1호, pp.243-259, 2018. 

  36. 송민선, 김남초, 이동한, "우울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20-26, 2008. 

  37.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13호, pp.7-35, 2002. 

  38. 강희숙, 김근조,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6권, 제4호, pp.451-459, 2000. 

  39. M. D. Gayman, R. J. Turner, and M. Cui, "Physical limita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exploring the nature of the associa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3, No.4, pp.219-228, 2008. 

  40. 김예순, 남영희, "장애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 :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9-27, 2020. 

  41.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471-484, 2010. 

  42. 박광희, 한혜경,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11권, 제1호, pp.43-61, 2002. 

  43. 김희경, 이현주, 주영주, 박순미,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04-215, 2009. 

  44. 박선영, "일 지역사회 저소득 노인의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78-90, 2009. 

  45. 조성남, 이동원, 원영희, 고령화 사회와 중상층 노인의 사회활동, 집문당, 1998. 

  46.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No.1, pp.385-401, 1977. 

  47. 문수경, 정재은, 손의성, "중풍장애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사회참여와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제24호, pp.223-248, 2008. 

  48. 도복늠, 성기월, 최두희, "노인의 정서적 지지와 우울 정도," 경북의대지, 제36권, 제4호, pp.645-656, 1995. 

  49. 강은나, 이윤경, 임정미, 주보혜, 배혜원, 2019년도 장기요양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50.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7, 2020/9/7. 

  5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693754#home, 2018/6/21. 

  52. 양난주, 김은정, 남현주, 김사현, 유야아 아쓰시, 유경숙, 가족인 요양보호사 제도 개선 연구, 보건복지부,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 

  53. 김성일, 정용철,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33호, pp.5-28, 2001. 

  54. 김태현, 김수정, "노인이 지각한 세대 간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6권, 제1호, pp.110-129, 1996. 

  55. 최성재, 장인협,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56. 정순둘, 구미정, "우울 영향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2호, pp.305-324, 2011. 

  57.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개발원, "'우울증', 적극적으로 치료해야할 '질병'입니다,"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7. 

  58. 보건복지부, "08년 7월 1일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7. 

  59. 보건복지부, "오늘부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시작합니다,"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20. 

  60. 보건복지부,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강화하여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7. 

  61. 김승대, 빈성오, "경북일부지역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2호, pp.43-60, 2010. 

  62. M. R. Baron and A. D.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