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인구집단의 정신건강 상담과 우울증 유병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Counseling and Depression Prevalenc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416 - 423  

김상돌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인구집단의 지난 1년간 정신건강 상담 이행 여부와 우울증 현재 유병 여부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연구자료는 질병관리청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3차 연도(2018년) 원시자료로부터 추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 인구 6,238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7.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복합표본 빈도 분석을, 일반적 특성과 지난 1년간 정신건강 상담 이행 여부와의 관련성, 일반적 특성과 우울증 현재 유병 여부와의 관련성, 지난 1년간 정신건강 상담과 우울증 현재 유병과의 관련성 등은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지난 1년간 정신건강 상담 이행 여부는 성별, 결혼상태, 경제활동 여부, 소득수준 등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우울증 현재 유병 여부는 연령 변수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001). 지난 1년간 정신건강 상담을 이행한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우울증 현재 유병의 오즈비가 5.09배(OR, 5.085; p<0.0001)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성인인구집단의 정신건강에 관한 취약한 요인을 예측함으로써 우울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counseling and the current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Data were extracted from raw data of the 7th 3rd year (2018)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4)

  1. 김용구, "우울증의 신경생물학," 대한의사협회지, 제46권, 제9호, pp.783-793, 2003. 

  2. 오현묵, 김서우, 오영택, 손창규, 이진석, "우울증의 병태생리에 관한 동서의학적 비교," Journal of Haehwa Medicine, 제26권, 제1호, pp.11-18, 2017. 

  3. 박준혁, 김기웅, "한국의 우울증 역학에 관한 고찰,"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제54호, 제4권, pp.362-369, 2011. 

  4. 이진규, 선우성문, 최문정, 김동하, 박규민, 고준석, 장성만, "2019년 국내 우울증의 사회경제적 비용 산출,"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제27권, 제3호, pp.237-244, 2021. 

  5. C. Kim, Y. Lee, Y. Eun, S. Heo, and W. Choi, "The medical cost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for depression treatment by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ata," Value in Health, Vol.16, No.3, p.A68, 2013. 

  6. https://www.oecd.org/coronavirus/policy-responses. 

  7.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1448. 

  8. 강승미, 우울증 진단을 위한 정신과 상담과 상담 권고에 대한 태도 : 공적자아인식, 자기효능감, 사회 자본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박현주,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 추세분석,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 D. M. Agostino, Y. T. Wu, C. Daskalopoulou, M. T. Hasan, M. Huisman, and M. Prina, "Global trends in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ffect Disord, Vol.281, pp.235-243, 2021. 

  11. X. Yin, N. Sun, N. Jiang, X. Xu, Y. Gan, J. Zhang, L. Qiu, C. Yang, X. Shi, J. Chang, and Y. Gong,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antenatal depression: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Clin Psychol Rev, Vol.83, p.101932, 2021. 

  12. C. Regehr, M. Carey, S. Wagner, L. E. Alden, N. Buys, W. Corneil, T. Fyfe, A. F. Phillips, E. Krutop, L. Matthews, C. Randall, M. White, and N. White, "Prevalence of PTSD,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in correctional officers: A systematic review," Corrections, Vol.6, No.3, pp.229-241, 2021. 

  13. 공보경, 신정호, 이동욱, "한국의 젊은 성인에서 우울관련 요인: 제7기 3차 연도 국민건강영양조사(2018),"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제11권, 제4호, pp.296-303, 2021. 

  14. J. H. Lee, S. W. Kim, J. H. Joo, N. R. Lee, J. H. Lee, and K. J. Lee, "Comparing risk of depression between day and night/shift workers using the PHQ-9: a study utilizing the 2014, 2016, and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대한직업환경의학지, 제33권, 제4회, pp.1-9, 2021. 

  15.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 

  16.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제7기(2016-2018년), 2018. 

  17. 권요셉, "노인 우울증 환자의 생애 회상기반 상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육, 제10권, 제2호, pp.369-395, 2021. 

  18. 김동건, 임성준, 이영우, "우울증 상담 및 스케줄링 애플리케이션,"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7-8, 2021. 

  19. 김수진, 우울증에 대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효과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0. M. Piccinelli and G.Wilkinson,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Critical review," Br J Psychiatry, Vol.177, pp.486-492, 2000. 

  21. 권영숙, "한국 임금근로자의 우울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4호, pp.1029-1044, 2021. 

  22. 서소영, "고용형태와 우울감,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와의 관계: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대한보건연구," 제47권, 제2호, pp.117-131, 2021. 

  23. 오찬혁, 유병철, 이명진, 강성홍, "청년층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5권, 제2호, pp.27-39, 2021. 

  24. L. R. Sari, L. K. W. Sabra, R. G. Allegra, L. C. Heather, and S. B. Austin, "Social epidemiology of depression and anxiety by gender identity," J Adoles Health, Vol.59, No.2, pp.203-20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