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홍보영상 정보성의 한·중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on the Informativity of University Promotional Video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327 - 337  

유췌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이보희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멀티미디어의 다양화 및 급속한 발전으로 대학홍보영상은 대학들이 더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주고 경쟁력을 높이며 신입생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 광고홍보영역에서 대학홍보영상에 관한 연구가 많이 없고, 한국과 중국의 대학홍보영상에 관한 비교연구도 없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2021 QS(World University Rankings) 세계대학평가기관에서 발표한 세계 대학교 순위명단을 참고하여 한국과 중국의 상위 30개 대학의 홍보영상을 분석하고 두 국가 간 어떠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라 한국과 중국의 대학홍보영상은 각 분석유목에서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홍보영상의 차이점을 제시하면서 향후 학교홍보영상의 제작에 참고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diversification and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university promotional videos have become one of the effective means for universities to instill a better brand image,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and attract more new students. There we...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8)

  1. 송화영, 김재훈, 박한우,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학의 신문광고 게재 구조와 메시지 유형: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197-206, 2021. 

  2.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208/110684168/1 

  3. https://www.eol.cn/shuju/uni/202104/t20210409_2094311.shtml 

  4. L. L. Berry, "Cultivating Service Brand Equ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1, pp.128-137, 2000. 

  5. S. Panda, S. C. Pandey, A. Bennett, and X. Tian, "University Brand Image as Competitive Advantage: A Two-Count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Vol.33, No.2, pp.234-251, 2019. 

  6. 백재훈, "대학 간 차별화 된 홍보영상 콘텐츠 개발 연구 -부산지역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7권, 제1호, pp.113-123, 2019. 

  7. H. H. Pham, K. Farrell, H. M. Vu, and Q. H. Vuong, "Using YouTube Videos to Promote Universities: A Content Analysis," The Social Sciences, Vol.15, No.2, pp.83-94, 2020. 

  8. P. Kotler and A. R. Andreasen, Positioning the Organisation: Strategic Marketing for Non-Profit Organisation, Toronto: Prentice Hall, 1996. 

  9. E. Dichter, "What's in an Image,"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2, No.1, pp.75-79, 1985. 

  10. 고경순, "대학의 이미지 형성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고연구, 제13호, pp.37-66, 1991. 

  11. D. Kazoleas, Y. Kim, and M. A. Moffitt, "Institutional Image: A Case Study," Corporate Communication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6, No.4, pp.205-216, 2001. 

  12. T. Jr. Huddleston and M. B. Karr, "Assessing College Image," College and University, Vol.57, No.4, pp.364-370, 1982. 

  13. 이용학, "대학이미지 평가기준의 측정과 포지셔닝 전략," 광고연구, 제59호, pp.159-183, 2003. 

  14. 우석봉, 박은아, "대학광고의 메시지와 표현양식 분석: 2004-2009 신문광고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0권, 제4호, pp.701-722, 2009. 

  15. 최일선, 박정은, 이훈, "홍보 영상물을 통한 메가 이벤트 이미지 분석: 환경 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5권, 제5호, pp.217-235, 2013. 

  16. 백재훈, "대학 홍보에 있어 영상콘텐츠의 활용현황연구: 부산지역 종합대학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15권, 제4호, pp.73-78, 2012. 

  17. 임성택, 유성호, "대학홍보영상의 효율적 제작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D여대 홍보영상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72호, pp.143-154, 2020. 

  18. L. L. Jiang, J. L. Guo, and Y. F. Cheng, "Videos to Promote Universities: From 'Reasoning by Truth' to 'Touching with Heart'," China Higher Education, No,21, pp.51-53, 2016. 

  19. 전종우, "수용자가 인식하는 국내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드라마 만족도와 지상파 채널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제9권, 제3호, pp.1-28, 2014. 

  20. 이찬욱, 이채영,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 제23호, pp.165-190, 2011. 

  21. 박치완, "글로벌시대의 문화,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문화코드, 문화세계화, 지역세계화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제27호, pp.37-72, 2011. 

  22. C. Chang, "How People Tell an Ad Story: Western vs. Asian Styl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2, No.3, pp.235-252, 2012. 

  23. A. D. Fletcher and S. K. Zeigler, "Creative Strategy and Magazine Ad Readership,"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18, No.1, pp.29-33, 1978. 

  24. N. D. Albers-Miller and M. R. Stafford, "An International Analysis of Emotional and Rational Appeals in Services vs Goods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6, No.1, pp.42-57, 1999. 

  25. 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Millenium Edi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2002. 

  26. 이용우, "국내 공공기관 영상광고의 크리에이티브 표현분석 연구 -소구형식과 기법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23권, 제2호, pp.64-72, 2020. 

  27. 김현조, "광고표현기법에서의 기호학적 접근방식 연구 - 국내 TV 광고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125-135, 2006. 

  28. 김지영, 강효순, "텔레비전 광고의 요소와 브랜드선호도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85-193, 2011. 

  29. 백재훈, "대학홍보 매체로서 TV광고의 크리에이티브 비교분석,"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8권, 제1호, pp.83-95, 2009. 

  30. G. Hofstede, "Cultural Dimensions in Management and Planning," Asia Pacific Journal of Management, Vol.1, No.2, pp.81-99, 1984. 

  31.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IL: Beverly of Chicago Press, 1980. 

  32. 정은경, 최지은, 손영우, "광고유형 및 성별에 따른 광고효과와 정서반응 패턴: 스토리텔링, 이미지, 정보전달 광고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15권, 제4호, pp.489-502, 2012. 

  33. V. Melnyk, S. M. J. V. Osselaer, and T. H. A. Bijmolt, "Are Women More Loyal Customers than Men? Gender Differences in Loyalty to Firms and Individual Service Providers," Journal of Marketing, Vol.73, No.4, pp.82-96, 2009. 

  34. A. R. Feinstein and D. V. Cicchetti, "High Agreement but Low Kappa: I. The Problems of Two Paradox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43, No.6, pp.543-549, 1990. 

  35. R. L. Brennan and D. J. Prediger, "Coefficient Kappa: Some Uses, Misuses, and Alternativ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41, No.3, pp.687-699, 1981. 

  36. J. R. Landis and G. G. Koch,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Vol.33, No.1, pp.159-174, 1977. 

  37. B. H. Lee, S. Ryu, and Y. S. Choi, "vlda: An R package for Statistical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Longitudinal Data,"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Vol.28, No.4, pp.369-391, 2021. 

  38. 성이, 김병대, "축제이벤트 연구 경향 비교분석 - 한국.중국을 중심으로 -," 경영과 정보연구, 제40권, 제2호, pp.51-65, 202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