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한말 사회변혁과 식량사정
The social changes and food situati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5 no.2, 2022년, pp.203 - 217  

이철호 (고려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hanges on the food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Kingdom (1800-1910) was analysed by using old literatures and the records of the Westerners visited Korea during the period. The late period of Joseon can be designated the most poor and...

주제어

참고문헌 (25)

  1. Allen HN. Things Korean. Fleming H. Revell Co., New York. pp.119 (1908) 

  2. Bird I. (Mrs. Bishop). Korea and Her Neighbours, A Narrative of the Travel with an Account of the Vicissitudes and Position of the Country. John Murray, London. pp.305 (1905) 

  3. Carles WR. Life in Corea. Macmillan and Co., New York (1888) 

  4. Cavendish AED. Korea and the Sacred White Mountain. George Philip & Son, London. pp.23 (1894) 

  5. Drake HB. Korea of the Japanese. William Clowes and Sons, London. pp.45 (1930) 

  6. Gale JS. Korea in Transition. Laymen's Missionary Movement, New York. pp.9 (1909) 

  7. Gilmore GW. Korea from its Capital: with a Chapter on Mission.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Philadelphia. pp.199 (1892) 

  8. Hamel H. An Account of the Shipwreck of a Dutch Vessel on the Coast of the Isle of Quelpaert,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Corea. Translated out of French (Published in Netherland in 1668, Translated by Minutoli into French in 1670), Smithsonian Institution (1668) 

  9. Hulbert HB. The Passing of Korea. Doubleday, Page & Company, New York (1906) 

  10. Kontis V, Bennett JE, Mathers CD, Li G, Foreman K and Ezzari E.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zed countries: Predi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s. The Lancet (2017) 

  11. Lowell P.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Ticknor and Company, Boston (1886) 

  12. M'Loed J. Voyage, of His Majesty's Ship along the Coast of Corea to the Island of Lewchew with an Account of Her Subsequent Shipwreck. 2nd Edition. John Murray, London. pp.42 (1818) 

  13. Oppert E. A Forbidden Land: Voyage to the Korea, with the Account of Its Geography, History, Productions, and Commercial Capabilities. G.P. Putnam's Sons, New York. pp.163 (1880) 

  14. Savage-Landor H.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William Heinemann, London. pp.146 (1895) 

  15. Underwood LH. 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or Life in Korea. American Tract Society, Boston (1904) 

  16.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pp.252, 275 (1978) 

  17. 김재호. 대체로 무해한 한국사. 생각의 힘. pp.106 (2016) 

  18. 문갑순. 한국 천주교 순교 성지를 찾아서. 도서출판 프리뷰. pp.205 (2021) 

  19. 문수재. 19세기 말엽 한국인의 식생활 양상과 체위에 관한 생태학적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22(3): 194-208 (1989) 

  20. 이기열, 이기원, 박영심, 박태선, 김은경, 장미라.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I). 신광출판사, pp.21 (1998) 

  21. 이남택 등 10인. 사실로 본 한국 근현대사. 장병 정신교육 발전 연구위원회. 도서출판 황금알 (2005) 

  22. 이성우.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1981) 

  23. 이철호. 한국식품사연구. 도서출판 식안연 (2021) 

  24. 이철호, 주용재, 안기옥, 류시생. 지난 일세기 동안의 한국인 식습관의 변화와 보건영양상태의 추이 분석. 한국식문화학회지, 33(4): 397-406 (1988) 

  25. 한국식품산업협회. 국민과 함께 걸어온 식품산업 반세기. 한국식품산업협회 50년사. 경성문화사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