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 중점보전종인 댕강나무의 식생 군집 및 환경인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Community of 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 among the Target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in Baekdudaegan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1 no.2, 2022년, pp.201 - 223  

김지동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사업관리실) ,  이혜정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사회적가치성과실) ,  이동혁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기획조정실) ,  변준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보전복원실) ,  박병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보전복원실) ,  허태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보전복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급격한 기후 변화와 지속적인 인간의 개발 압력으로 멸종의 우려에 대한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커다란 생태축인 백두대간 일대에서 출현하는 식물 가운데 중점적으로 보전해야할 식물 300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석회암 지대에 출현하는 댕강나무를 최우선 보전종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식생 군집과 환경인자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단양군, 영월군, 제천시 등 댕강나무 서식지 36개소를 조사지로 설정하고, 조사지 내 출현식물, 식생, 토양과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서 특기할 만한 식물로 꽃꿩의다리, 덕우기름나물, 나도국수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산림식생 군락유형은 4개의 식생유형과 7개의 종군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군집과 환경인자의 CCA 분석결과, 종합설명력 75.2%였으며 댕강나무 서식지의 환경적 특징이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에서 관계성이 있었던 환경인자는 해발고도, 경사, 유기물, 암석 비율, pH, 칼륨, 그리고 나트륨이었다. 조사지 내에서 꽃꿩의다리를 비롯하여 다수의 희귀식물특산식물이 확인되어 이들 집단을 서식지 수준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출현 식물을 토대로 분석된 식생 유형 분류와 CCA 분석에서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집단의 고유성과 특이성이 재차 인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댕강나무 자생지의 실증적 보전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species extinctions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continued anthropogenic impact. We selected 300 species for conservation with emphasis on plants co-occurring in the Baekdudaegan area, which is a large ecological axis of Kore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community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된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보전 가치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류군을 선정하여 <백두대간 중점보전종>이라 명명하고(Appendix 1), 그중 보전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의 식물 군집 및 서식지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2020. The Rare Plant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Arboreta and Gardens Institute. pp. 10-56. 

  2. Braun-Blau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865. (in German). 

  3.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10a.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including Aichi Biodiversity Targets. 

  4.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10b. Global Biodiversity Outlook (GBO-3), i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5.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20. Zero Draft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6.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22. The UN Biodiversity Conference in Kunming/ www.cbd.int/live. 

  7. Choi, B.K. 2014. Actual Vegetation of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 (Scenic Site no. 45) in Danyang-gu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2): 116-123. (in Korean). 

  8.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47(3): 264-288. 

  9. de Wit, H.A., Eldhuset, T.D. and Mulder, J. 2010. Dissolved Al reduces Mg uptake in Norway spruce forest: Results from a long-term field manipulation experiment in Norwa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10): 2072-2082. 

  10.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 Ulmer. Stuttgart. pp. 136. (in German). 

  11. Hazlett, P., Emilson, C., Lawrence, G., Fernandez, I., Ouimet, R. and Bailey, S. 2020. Reversal of forest soil acidification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and eastern Canada: Site and soil factors contributing to recovery. Soil Systems 4(3): 54. 

  12. Hill, M.O. 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pp. 50. 

  13. Hyun, C.W. 2020. Inventory of Endemic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14.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2019.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21-3. https://www.iucnredlist.org. 

  15.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1. Red Data Book of Northern Plants in Korean peninsula.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16. Jeong, J.H., Kim, Koo, K.S.,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 by regions. Journal of Korea Fores Society 91: 694-700. (in Korean). 

  17. Kim, C.-H., Moon, M.-O., Ahn, J.-K., Hwang, I.-C., Lee, S.-H., Choi, S.-S., Lee, J.-H., Bum, H.-M., Kim, C.-G. and Cha, J.-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pp. 112. (in Korean). 

  18. Kim, J.H., Nam, G.H., Lee, S.B., Shin, S.K. and Kim, J.S. 2021. 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limestone areas on the Korean P eninsula. Korean Journal of P lant Taxonomy 51(3): 250-293. (in Korean). 

  19. Kiraide, T.B. 2003. Toxicity factors in acidic forest soils: Attempt to evaluate seperately the toxic effects of excessvie Al 3+ , and H + and insufficient Ca 2+ and Mg 2+ upon root elongation. Soil Science 54(2): 323-333. 

  20. Korea Forest Service (KFS).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Korea. pp. 332.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 Peninsula. Theulmunhwa. Korea. pp. 492. (in Korean). 

  23.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2. The Plants in Limestone Areas. Geobook, Seoul, pp. 141. (in Korean) 

  24.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KPNI). ver.20220128. http://www.nature.go.kr/kpni 

  25. Krauss, J., Alfert, T. and Steffan-Dewenter, I. 2009. Habitat area but not habitat age determines wild bee richness in limestone quarri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6(1): 194-202. 

  2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12. Angiospermen, 2, 666. 

  27. Poschenrieder, C., Gunse, B., Corrales, I. and Barcelo, J. 2008. A glance into aluminum toxicity and resistance in plan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0(1-3): 356-368. 

  28. R Core Team. 2020.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https://www.R-project.org/. 

  29. Ryu, T.B. 2016. Vegetation on limestone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160. (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0.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 5. Vascular Plants. 2020.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p. 128. (in Korean). 

  31. Shim, K.K. and Seo, B.G. 1995. A study on the Korean Native Woody Plants of Trees in the North American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4): 37-62. (in Korean). 

  32. Son, K.N. 2005. Red Data Book of DPR Korea (plant). MAB National Committe of DPR Korea, Botanical Institute, Biological Branch, Academy science, Pyongyang, DPR Korea. pp. 38-49. (in Korean). 

  33. Sun, B.Y. 1999. Taxon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Abelia(Caprifoliacea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p. 51-60. (in Korean). 

  34. UNEP-WCMC and IUCN. 2018. Protected Planet: The Global Database on Protected Areas Management Effectiveness (GD-PAME), July 2018 Version, Cambridge, UK: UNEP WCMC and IUCN. Available at www.protectedplanet.net 

  35. UNEP-WCMC, IUCN and NGS. 2020. Protected Planet Live Report 2020. UNEP-WCMC, IUCN and NGS: Cambridge UK: Gland, Switzerland and Washington, D.C., USA. 

  36. Whittaker, R.H. 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ogical Review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42(2): 207-264. 

  37. Yun, C.W. and Moon, H.S. 2009.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 limestone area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2): 1-8.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