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한 진해만 해역의 저서건강도 평가
The macrobenthic community health was assessed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BPI) in Jinhae Bay, south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40 no.4, 2022년, pp.510 - 524  

서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최진우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초록

2011년 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진해만에 23개 정점을 선정하여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건강도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거제도 북쪽과 칠천도 부근의 정점을 제외한 모든 진해만 해역에서 저서동물군집의 건강도가 4~5등급으로 매우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산만과 고성만, 통영만의 일부 정점들에서는 기회종이 속한 4그룹의 비중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서환경이 오염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진해만에서는 마산만, 행암만, 통영만, 고현만에서 여름철 hypoxia 현상으로 인해 무생물 상태를 보였고, 종료 후 기회종이 대량 가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hypoxia 후 기회종이 가입되지 않은 일부 정점들이 관찰되었고, 이로 인해 저서건강도가 과대평가되는 현상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의 저서건강도는 경기만의 시화호, 부산항만 등 다른 특별관리해역들에 비해서도 매우 낮게 나타나 심각하게 오염된 저서환경임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assessment of the benthic community health of Jinhae Bay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 macrobenthic fauna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from 23 different sites between February, 2011 and November, 2012. The macrobenthic community health status was classified as "Poor" or "Very Poor"...

주제어

참고문헌 (27)

  1. Choi JW, JY Seo, CH Lee, TK Ryu, CG Sung, GM Han and S?Hyun. 2005.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communities during winter and summer in the Masan?Bay special management area, southern coast of Korea.?Ocean Polar Res. 27:381-395. https://doi.org/10.4217/OPR.2005.27.4.381 

  2. Choi JW, OH Yu and WJ Lee. 2003. The summer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8:14-28. 

  3.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UK. p. 144. 

  4. KORDI. 1994.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Benthic Faunal Communities.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Ansan, Korea. p. 167. 

  5. KORDI. 1995.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Benthic Faunal Communities.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Ansan, Korea. p. 49. 

  6. Lee JH, BS Koh and HS Park. 1997.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macroinfaunal compositions?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J. Korean Fish. Soc.?30:771-781. 

  7. Lee JH, JY Park, HG Lee, HS Park and D KIM. 2003.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Shihwa Lake by using the Benthic?Pollution Index. Ocean Polar Res. 25:183-200. https://doi.org/10.4217/OPR.2003.25.2.183 

  8. Lee YW, MO Park, SG Kim, SS Kim, B Khang, J Choi, D Lee?and SH Lee. 2021. Major controlling factors affecting spatiotemporal variation in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in the eutrophic Masan Bay of Korea. Reg. Stud. Mar. Sci.?16:101908. https://doi.org/10.1016/j.rsma.2021.101908 

  9. Lim HS, RJ Diaz, JS Hong and LC Schaffner. 2006. Hypoxia and?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Mar.?Poll. Bull. 52:1517-1526.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6.05.013 

  10. Lim KH and HC Shin. 2005.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northern Jinhae Bay.?Korean J. Environ. Biol. 23:238-249. 

  11. Lim KH, HC Shin, SM Yoon and CH Koh. 2007. Assessment of?benthic environ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analysis in Jinhae Bay, Korea. The Sea 12:9-23. 

  12. Lim HS and JS Hong. 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Chinhae Bay, Korea. 3.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Soc. 30:175-187. 

  1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3:36-71. 

  14. Muxika I, A Borja and J Bald. 2007. Using historical data, expert?judgement and multivariate analysis in assessing reference?conditions and benthic ecological status, according to the?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 Poll. Bull. 55:16-29.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6.05.025 

  15. Park HS and SK Yi. 2002. Assessment of benthic environment?conditions of oyster and mussel farms based on macrobenthos in Jinhae bay.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5:68-75. 

  16. Paik SG and SG Yun. 2000.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3:572-580. 

  17.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 Biol. 13:131-144. 

  18.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229-311. 

  19. Seo JY, HS Lim and JW Choi. 2014. Threshold value of Benthic?Pollution Index (BPI) for a muddy healthy benthic faunal?community and its application to Jinhae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Sci. J. 49:313-328. https://doi.org/10.1007/s12601-014-0030-9 

  20. Seo JY, HS Lim and JW Choi. 2015.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Jinhae Bay, Korea.?Ocean Polar Res. 37:295-315. https://doi.org/10.4217/OPR.2015.37.4.295 

  21. Seo JY, SH Park, HS Lim, M Chang and JW Choi. 2009. The?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during summer?in the Incheon and Busan Harbors, Korea. Korean J. Environ.?Biol. 27:6-19. 

  22. Seo JY, SM An, DI Lim and JW Choi. 2017. Seasonal variations in?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benthic fauna and their?health statys in an estuarine bay, Gwangyang Bay in Korea.?Ocean Sci. J. 52: 367-385. https://doi.org/10.1007/s12601-017-0038-z 

  23. Shannon CE and W Wea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IL. p. 177. 

  24. Warwick RM. 2008. Abundance biomass comparison method.?pp. 11-15. In: Encyclopedia of Ecology. Elsevier B.V. Amsterdam. 

  25. Warwick RM, KR Clarke and PJ Somerfield. 2008. k-Dominance?curves. pp. 441-443. In: Encyclopedia of Ecology. Elsevier?B.V. Amsterdam. 

  26. Warwick RM, KR Clark and PJ Somerfield. 2010. Exploring the?marine biotic index (AMBI): variations on a theme by Angel?Borja. Mar. Poll. Bull. 60:554-559.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9.11.009 

  27. Word JQ. 1978. The Infaunal Trophic Index. Southern California?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 Annual Report. Costa Mesa,?CA. pp. 19-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