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지역별 지하수위 변동 요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Hydraulic Factor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by Region in Jeju Island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2 no.2, 2022년, pp.257 - 270  

정지호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박재성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고은희 (제주연구원 제주지하수연구센터) ,  박원배 (제주연구원 제주지하수연구센터) ,  정진아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전역에 대해 발생하고 있는 지하수위 저하 현상의 원인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지하수위, 강수, 지하수 이용량 시계열 자료 및 토지 이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지하수위 저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반응표면 분석법 및 민감도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역별 강수 및 지하수 이용량 변화가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화하였으며, 획득된 영향력 지도 및 다양한 공간통계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하수위 하강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별 지하수량 관리를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서부지역의 지하수위 하강률이 동부지역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부지역은 지하수 이용량이 지하수위 변동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부지역의 경우,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강수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지하수위 저하율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강수량 대비 지하수 이용량의 증가율이 서부지역에 비하여 빠르게 발생하고 있고, 동부지역의 넓은 기저 지하수대 형성 양상 및 해수 침투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점에서 미루어 보았을 때, 지하수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의 절대량은 줄어들었음에도 염수압으로 인하여 지하수위 저하가 크지 않은 것처럼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종합하였을 때, 서부지역에 대한 지하수량 관리를 위해서는 강수 및 지하수 이용량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동부지역은 이 외 광역적인 수리학적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요소(해수면 변동, 염수-담수 경계 위치, 등)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부 및 서부지역의 지하수위의 변동 특징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 지하수량 관리를 위해 각 지역에 최적화된 관리 방안이 제시 및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hydraulic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creasing groundwater levels across Jeju island. Time-series data for groundwater level,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usage and information on land use were acquired,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m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caus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별 지하수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 및 인위적 원인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하 수위, 강수, 지하수 이용량 시계열 자료 및 토지 이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 자료와 지하수위 변동 패턴 간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제주 전역의 지하수위 하강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별 지하수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 및 인위적 원인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하 수위, 강수, 지하수 이용량 시계열 자료 및 토지 이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 자료와 지하수위 변동 패턴 간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제주 전역의 지하수위 하강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 및 민감도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및 다양한 제주지역에 대한 공간통계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하 수위 하강 원인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ng, S.W., Chung, I.M., Kim, M.G., 2020,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impact of future groundwater exploitation on coastal groundwater resources in northeastern Jeju Island, South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79, 498. 

  2. Choi, H., Lee, J.Y., 2012, Changes of groundwater conditions on Jeju volcanic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f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7, 647-661. 

  3. Jeju Province, 2018,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in Jeju Province 2018-2022. 

  4. Jeju Regional Office of Meteorology, 2019, Report on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s in Jeju Province, ISBN: 11-1360169-000054-14, 22-29. 

  5. Jung, W.Y., Yang, S.K., 2009, Simulation on runoff of rivers in Jeju Islan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18, 1045-10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G., Lee, K.K., Park, K.S., Hwang, D.W., Yang, H.S., 2003, Larg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from a volcanic island,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 

  7. Kim, J., 2021, Current statu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water infrastructure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5, 497-5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K., Shin, J., Koh, E., Koh, G., Lee, K., 2009, Sea level rise around Jeju Island due to global warming and movement of groundwater/seawater interface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4, 68-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3, Intermediate report on the re-evalu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of Jeju Province, 28-46. 

  10. Lee, J.Y., Lee, G.S., Song, S.H., 2007, An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nitoring wells in Jei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925-935. 

  11. Lee, S., Kang, T., 2020, The effects of external shocks on tourism-related industries and their economic impacts on Jeju island, The Studies in Regional Development (SRD), 53, 77-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Final report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and analysis technology for saline/freshwater interface characteristics, 1-2. 

  13. Song, S.H., Choi, K.J., 2012, An appropriat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of Jeju Island with climate change (I),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7, 62-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ong, S.H., Choi, K.J., Kim, J.S., 2013, Evalu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time-series data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2, 609-6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ong, S.H., Lee, B.S., Choi, K.J., Kim, J.S., Kim, G.P., 2014, Evaluation of drought effect on groundwater system using groundwater level data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 637-6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Yang, S.K., 2007, River manage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of Jeju island, River & Culture, Korea River Association, 3, 104-1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