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뉴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Participation Experience Analysis of Newsports Program for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6, 2022년, pp.541 - 556  

강동헌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박지영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은선덕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 프로그램은 주로 병원에서 실시한 물리치료 형태로 치료적 효과에만 집중되어 단조로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실시한 뉴스포츠 프로그램은 대상자별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운동 강도, 난이도의 변형이 가능하고 특수재질로 만든 장비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장애인의 뉴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미와 인식,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뉴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한 뇌졸중 장애인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하위범주(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프로그램 참여 경험, 프로그램 개선 방안)와 10개의 핵심 개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퇴원 이후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뉴스포츠 프로그램은 추후 뇌졸중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 기반 운동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ercise programs conducted for people with stroke disabilities tend to be monotonous as they are mainly focused on therapeutic effects in the form of physical therapy performed in hospitals. However, the news sports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is thought to deform the intensity and difficulty o...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45)

  1. 통계청, 2018년 사망원인통계, 2019. 

  2. G. B. Prange, M. J. A. Jannink, C. G. M. G. Oudshoorn, H. J. Hermens, and M. J. Ijzerman,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3, No.2, pp.171-184, 2009. 

  3. T. Kwok, R. S. Lo, E. Wong, T. W. Kwong, V. Mok, and W. K. Sing,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a 1-year follow-up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7, No.9, pp.1177-1182, 2006. 

  4. S, M. Lee, "The Effects of Interlimb Coordination Training on Motor Function Recove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19, No.3, pp.199-205, 2011. 

  5. 강동헌, 박지영, 은선덕,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뇌졸중 장애인의 뉴스포츠 프로그램과 순환운동 효과 비교: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235-247, 2021. 

  6. J. Lee and A. J. Stone,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for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le Strength, and Walking Capac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Vol.29, No.1, p.104498, 2020. 

  7.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뇌졸중 장애인을 위한 재활체육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연구, 2015. 

  8. 안병태, 박준형, 정지운, "외래 만성 뇌졸중 환자의 순환운동을 통한 중재가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5-40, 2020. 

  9. 양근영, 민혜숙,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인지기능, 우울에 미치는 효과,"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0-62, 2021. 

  10. H. Kosel and I. Frobose, Rehabilitations and behindertensport, Pflaum-Verlag, 1999. 

  11. 강동헌, 박지영, 은선덕, "뇌졸중 장애인을 위한 게임기반의 뉴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78-87, 2021. 

  12. C. Brogardh and J. Lexell, "Effects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uscle-resistance training after stroke," PM&R, Vol.4, No.11, pp.901-907, 2012. 

  13. L. Meigen, T. Tetsuya, H. Kimitaka, H. Yukihiro, and F. Toshiyuki, "Physical fitness in persons with hemiparetic stroke," The Keio journal of medicine, Vol.52, No.4, pp.211-219, 2003. 

  14. D. Kang, J. Park, I. Jeong, and S. D. Eun, "Com paring the effects of multicomponent exercise with or without power training on the cardior espiratory fitness, physical function, and musc ular strength of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 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Sports Me dicine and Physical Fitness, Online Only, 2021. Doi: 10.23736/S0022-4707.21.12306-0. 

  15. D. H. Saunders, M. Sanderson, S. Hayes, L. Johnson, S. Kramer, D. Carter, and G. E. Mead, "Physical fitness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3, p.10, 2020. 

  16. 이자희, 뇌졸중 환자의 좌절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7. 김이순, "뇌졸중환자의 희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27권, 제1호, pp.212-227, 1997. 

  18. 최경숙, 지성애, 함미영, "뇌졸중 회복 경험,"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중앙간호논문집, 제7권, 제1호, pp.1-7, 2003. 

  19. 하주영, 박형숙, 이상주, 전정해, 조호윤, 지영주, "청장년층 뇌졸중환자의 회복 경험,"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42-351, 2010. 

  20. 오수용, 이정섭, "중년남성의 뇌졸중 후 편마비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582-593, 2016. 

  21. 남선영, "뇌졸중 환자의 질병경험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28권, 제2호, pp.479-498, 1998. 

  22. 이영애, "뇌졸중 환자의 재활 경험," 재활간호학회지, 제4권, 제1호, pp.20-30, 2001. 

  23. 이화진, 이명선, "뇌졸중 후 편마비를 가진 중년기 환자의 적응과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6권, 제5호, pp.792-802, 2006. 

  24. 강현임, 이순영, 성명숙, "중년기 뇌졸중 남자환자의 회복과정," 질적연구, 제10권, 제2호, pp.152-165, 2009. 

  25. M. Q. Patton,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1990. 

  26. Y. S. Lincoln,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United States of America: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1985. 

  27. K. S. Kim, "Study on the Development Program for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Differently Abled,"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21, pp.695-704, 2004. 

  28. W. H. Choi, "Developmental Study and Trend of the Disabled Spor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18, pp.675-687, 2002. 

  29. 이형수, 김윤환, "그룹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뇌졸중장애인의 보행기능, 균형지수 및 무릎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제6권, 제4호, pp.15-27, 2018. 

  30. K. Salter, C. Hellings, N. Foley, R. Teasell,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strok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0, No.8, pp.595-602, 2008. 

  31. C. L. Richards, F. Malouin, S. W. Dauphinee, J. I. Williams, J. P. Bouchard, and D. Brunet, "Task-specific physical therapy for optimization of gait recovery in acute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4, No.6, pp.612-620, 1993. 

  32. 문화체육관광부,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 결과보고서, 2021. 

  33. 김미옥, 최정민, 강승원, "중년기 뇌졸중 장애인의 삶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1호, pp.33-58, 2013. 

  34. 구교만, 김일광, "시각장애인의 레저스포츠활동 참여제약이 무력감과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1권, 제4호, pp.201-210, 2012. 

  35. 강동헌, 박지영, 은선덕,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애인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8호, pp.675-690, 2021. 

  36. 송아영, 김수경, "뇌졸중 입원 환자들의 회복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200-207, 2017. 

  37. C. Donaldson, R. Tallis, S. Miller, A. Sunderland, R. Lemon, V. Pomeroy, "Effects of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on upper limb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randomized phase II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Vol.23, No.4, pp.389-397, 2009. 

  38. A. Letombe, C. Cornille, H. Delahaye, A. Khaled, O. Morice, A. Tomaszewski, and N. Olivier, "Early post-stroke physical conditioning in hemiplegic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Annals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Vol.53, No.10, pp.632-642, 2010. 

  39. W. S. Shin, S. W. Lee, Y. W. Lee, S. B. Choi, and C. H. Song,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alanc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23, No.4, pp.639-643, 2011. 

  40. D. Cioncoloni, G. Martini, P. Piu, S. Taddei, M. Acampa, F. Guideri, and R. Mazzocchio, "Predictors of long-term recovery in complex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discharge from the stroke unit," NeuroRehabilitation, Vol.33, No.2, pp.217-223, 2013. 

  41. G. Verheyden, L. Vereeck, S. Truijen, M. Troch, I. Herregodts, C. Lafosse, A. Nieuwboer, W. De Weerdt,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Vol.20, No.5, pp.451-458, 2006. 

  42. 고명숙, 공명자, "집단 거울치료가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과 감각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제10권, 제2호, pp.40-47, 2020. 

  43. 박영례, "파킨슨병 환자의 적극적 삶의 추구과정,"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5호, pp.710-720, 2006. 

  44. M. L. Luoma, L. H. Blomqvist, C. Blomqvist, R. Nikander, M. G. Lilius, and T. Saarto,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survivors participating in a tailored exercise intervention-a qualitative study," Anticancer research, Vol.34, No.3, pp.1193-1199, 2014. 

  45. 양한나, 정진욱, 김연수, "장애인의 수중운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의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45-27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