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과 후 음악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긍정적 대인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Music Activities on School Adaptation: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6, 2022년, pp.354 - 368  

송민교 (국립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  최진오 (국립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음악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정서지능, 학교적응, 자아 탄력성, 긍정적 대인관계, 우울의 수준과 관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 및 경남지역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중 방과 후 음악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379명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 368명 총 74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t-test와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음악활동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긍정적 대인관계, 학교적응의 수준은 높고 우울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여 집단이 비참여 집단에 비해 [정서지능→자아탄력성], [정서지능→긍정적 대인관계], [정서지능→우울], [정서지능→학교적응], [자아탄력성→학교적응]의 경로에 있어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방과 후 음악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는 정서지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긍정적 대인관계, 우울이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방과 후 음악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정서지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 변인만이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and relationships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adaptation, self-resilience,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music act...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77)

  1. 김수정, 곽금주, "초등 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간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3권, 제2호, pp.19-37, 2010. 

  2. 김은주, 초등학생이 갖는 학교생활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 하민정, 상담실 내담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 접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이혜영, 이정화, 김미숙, 장가람, 김재경,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II),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J. D. Mayer and P.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pp.185-211, 1990. 

  6. 권성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업성취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2권, 제2호, pp.163-176, 2003. 

  7. 차성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박남예, 악기를 배우는 아이는 왜 공부도 잘할까?, 서울: 아주좋은날, 2013. 

  9. 조아영, 음악 활동이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분석,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0. 김현주,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학생 관계와 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 적응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제22권, 제1호, pp.49-71, 2015. 

  11. 방수산,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박미화, 박현진,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제3권, 제1호, pp.1-16, 2014. 

  13. 임효진, 이지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에 의해 조절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제53권, pp.1-33, 2015. 

  14. 강승희, "중학생의 부모애착, 우울,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제58권, 제3호, pp.1-2, 2010. 

  15. 이수경, "음악 감상 중재와 리듬연주 중재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7권, 제2호, pp.54-73, 2005. 

  16. 윤보미, 지역 연계 음악교육으로서 '방과 후 음악 활동'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7. 민영순, 교육심리학, 서울: 문음사, 1977. 

  18. 장호성,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19. R. E. Radocy, "Personal perspectives on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Vol.46, No.3, pp.342-350, 1998. 

  20. 김정화,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 음악놀이치료, 서울: 창지사, 1995. 

  21. 정옥분, 정순화, 임정하,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학지사, 2007. 

  22. 곽윤정,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3. 최보라, 남.여 아동의 정서지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4. 박명주,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5. 박현진, 양혜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1호, pp.257-278, 2013. 

  26. 김희정,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격강점 및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7. 권지현,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학년의 조절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8. J. Block and J. H.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13, pp.39-101, 1980. 

  29. 임경희,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제9권, 제2호, pp.217-233, 2010. 

  30. 유승은, 박부진,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1호, pp.67-88, 2010. 

  31. 이선영,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2. 이수현, 최해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 자아탄력성, 시험불안 및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2호, pp.321-337, 2007. 

  33. 김혜숙, "고정관념 및 편견과 인간 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제9권, pp.83-101, 2002. 

  34. 정호경,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5. 조진희, 놀이를 이용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이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6. 배미정, 조한익, "내현적 자기애 성향, 자존감,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련성 연구," 상담학연구, 제15권, 제6호, pp.2417-2435, 2014. 

  37. 이지혜, "청소년의 자기자비가 학교행복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pp.699-720, 2018. 

  38. 차란희, 노안영,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3호, pp.1325-1345, 2020. 

  39. R. Wicks-Nelson and A. C. Israel,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Prentice Hall/Pearson Education, 2003. 

  40. 임은정, 학령기 아동의 불안 및 우울과 친구관계 특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1. 유재은,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2. 장신재, 양혜원, "부모-자녀관계, 우울 및 공격성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5-29, 2007. 

  43. 우수경, 김기예, "청소년의 성, 학교급, 시험불안 및 우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2권, 제2호, pp.165-195, 2013. 

  44. 고한나, 음악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5. 천애영, 음악감상이 초등학교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6. J. G. Roederer, Introduction to the physics and psychophysics of music, N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47. 조경애, 집단음악심리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8. 임미소,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구조화된 가야금 중심의 합주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9. 김은혜, 고등학교 합창단 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국 고교 합창 경연대회 입상 학교들을 대상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0. 주진이, 초등학교 학교 합창부 활동이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1. 이정은, 국악상담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 음악교육과정 중 국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2. 이광자, 소리선(禪) 시조창(唱)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3. 장인숙, 집단음악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저소득층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 및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4. 양혜연, 양성은, "부모의 인성지향적 지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4권, 제2호, pp.83-99, 2013. 

  55. 조미소, 정서지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56. 김정미, 김춘경, "아동의 정서지능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 애착유형별 차이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325-350, 2018. 

  57. E. J. Austin, D. Farrelly, C. Black, and H. Moore, "Emotional intelligence, Machiavellianism and emotional manipulation: Does EI have a dark sid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No.1, pp.179-189, 2007. 

  58. 정문경,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스트레스의 조절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제34권, pp.199-224, 2014. 

  59. 유아라,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불안, 우울 및 분노에 미치는 영향: 부정 정서강도의 조절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60. 고연정,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1. 문용린, "인성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사대논총, 제59권, pp.31-98, 1999. 

  62. 신재한, "'교과통합적 성격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pp.59-77, 2007. 

  63.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64. 유성경, 심혜원,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4호, pp.189-206, 2002. 

  65.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66. 김광일, 원호택, 이정호, 김광윤,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 정상인의 반응 특성," 신경정신의학, 제17권, 제4호, pp.449-458, 1978. 

  67. 조성희, 김희수,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355-376, 2016. 

  68. 홍세희, 정송,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제21권, pp.1-24, 2014. 

  69.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2017. 

  7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71. 최한나, "영상매체를 이용한 음악치료가 정서부적응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 연구, 제28권, 제2호, pp.195-213, 2012. 

  72. 원초롱, "음악 활동을 통한 발달장애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pp.429-453, 2021. 

  73. 송효주, 권경숙, "음악 감상을 통한 신체활동이 종일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제8권, 제1호, pp.143-162, 2013. 

  74. 류은주, 신은경,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동아인문학, 제53권, pp.353-382, 2020. 

  75. 차지연, 문지영, "우울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한국예술연구, 제11호, pp.193-224, 2015. 

  76. 강명숙, 최보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293-314, 2021. 

  77. F. Juffer, G. J. J. Stams, and M. H. van IJzendoorn, "Adop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go resiliency, ego control, and sociometric statu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45, No.4, pp.697-706, 200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