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 초등학생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Child Sex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2, 2010년, pp.285 - 294  

임연진 (동서울대학 아동보육과) ,  이은경 (동서울대학 아동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were 122 1st 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eachers rated each child using the Emotion Regulation Scale (Lee, 1997) and School Adjustment Scale (Ch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에서의 성차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또한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이 학교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교적응이 정서조절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에 의해 어떻게 설명되는지 조사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생태적 전이’라 불리는 초등학교 1학년은 학교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시기이며, 이 때 부적응을 경험하게 되면 이후의 청소년기, 성인기까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을 다루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정서조절보다는 정서조절을 포함하는 구인인 정서지능과 학교적응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에서의 성차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또한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이 학교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교적응이 정서조절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에 의해 어떻게 설명되는지 조사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이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정서조절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이 학교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기에 앞서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점수의 평균은 3.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이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정서조절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이 학교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천 소재 1개 공립 초등학교 1학년 중 4개 학급 아동들을 대상으로 담임교사가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에 대해 평정하도록 하였다. 1학년 담임교사 4명에게 총 1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124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가운데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22부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 타인조절 영역은 ‘친한 친구가 슬퍼하고 있을 때 위로할 줄 안다’, ‘선생님이 화가 나 있을 때, 자신의 행동을 조심할 줄 안다’ 같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을 통합하여 정서조절이라는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이 척도는 교사가 대상 아동을 각 문항별로 ‘전혀 아니다’에서 ‘아주 그렇다’까지 1점에서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능한 점수의 범위는 17점에서 85점까지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려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적응은 성에 따른 차이가 있다. 즉 여아는 남아에 비해 정서조절을 잘하며, 교사적응을 제외한 학교 적응을 잘하는 경향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이란 무엇인가? 적응이란 개인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개념으로 개인이 대인관계나 사회적 규준과 질서 등에 있어 적절하고 조화로운 행동을 하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고 자신이 만족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개인의 생리적·심리적 욕구를 저해하는 여려 환경적인 장애요인을 극복해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민영순, 1995).
교육적 상황에서 적응의 개념은 무엇인가? 교육적 상황에서 적응의 개념은 학생들이 교과활동, 특별활동, 기타 행사활동 등에서 자기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감을 느끼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며, 교사 및 학생들과 관계가 잘 조화되어 만족스러운 상태에 있을 때로 정의 된다(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학교적응과 관련된 또 다른 정의를 살펴보면, 정미영 (2007)은 아동이 학교생활을 하며 접하게 되는 여러 교과활동이나 학내생활에서의 환경을 아동 자신의 욕구에 맞게 변화시키거나 자신이 변화되어 바람직하게 수용되고, 교사 및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가 만족스럽게 유지되는 것을 학교적응이라고 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생활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의 차이는 무엇인가? 초등학교에서의 생활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과 많은 차이가 있다. 환경적 차이, 또래 및 교사 간의 관계에서의 차이, 교육과정의 차이, 일과 운영의 차이, 규율의 차이가 그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이라는 과제를 부여하게 된다(지성애, 정대현,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은화. (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조절능력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지흔. (2003).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학사전 편찬위원회. (1965). 교육학사전. 

  4. 권성은. (2003). 초등 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업 성취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2(2), 163-176. 

  5. 김경회, 황혜정. (1999). 교사의 평정에 의한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141-156. 

  6. 김용래. (1993). 학업성취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민영순. (1995). 가정환경 및 학급 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지숙. (2008).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 능력, 어머니의 양육 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배숙진. (1998). 청소년에게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브론펜브르너, 유리. (1979). 인간발달 생태학. 이영 옮김(1992). 인간발달 생태학. 서울: 교육과학사. 

  1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12. 오희옥, 오선영, 김영희. (2007). 유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력. 대한가정학회지, 45(2), 1-22. 

  13. 유윤희. (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윤종옥. (1997). 가정의 가정환경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지원. (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병래. (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윤미. (2007). 부모의 정서표현 및 아동의 정서조절과 아동의 학교적응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인학, 최성열. (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 아동교육, 18(4), 47-56. 

  19. 이진숙. (2004).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 관계, 교사 및 또래 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33-357. 

  20.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0-124. 

  21. 임정순. (1993).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대현, 지성애. (2006).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1), 207-227. 

  23. 정미영. (2007).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주현정. (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지성애, 정대현. (2006).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7(1), 1-15. 

  26. 차유림. (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영자. (2008).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옥희, 김용미. (2008).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 차이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7(2), 275-285. 

  29. Calkins, S. D. (1994). Origin and outcom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In N. A. Fox(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 53-7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vol. 59, nos. 2-3, serial no. 2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Cole, P. M., Michel, M., & Teti, L.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N. A. Fox(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 53-7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vol. 59, nos. 2-3, serial no. 2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32. Saarni, C. (1990). Emotional intelligence: How emotions and relations become integrated. In Tompson, R.A.(E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pp. 115-182). Linc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3.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58-211. 

  34.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35. Thompson, R. A. (1994). Emotional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pp. 25-5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 59, nos. 2-3).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