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 이전 신종감염병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국내 간호학 분야 2000~2019년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Trend Analysis of Studi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before COVID-19: Focusing on Published Papers from 2000 to 2019 in the Field of Nursing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7 no.1, 2022년, pp.9 - 22  

홍은주 (창원문성대학교 간호학과.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정애리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by comparing and analyzing studi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EID) in the field of nursing published in Korea since 2000 and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to identify overall themes and trends. Methods: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3)

  1. 정진원. 신종감염병 관리 현안과 대처방안-의료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HIRA 정책동향. 2020;14(2):14-20. 

  2.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et]. 2021[cited 2021 August 8].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 

  3. 질병관리청. 2021[cited 2021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NA0012&icdgrpCd01 

  4.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21[Cited 2021 September 2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9015&efYd20200609#0000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21[Cited 2021 September 22].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lsLinkProc.do?lsNm%EA%B0%90%EC%97%BC%EB%B3%91%EC%9D%98+%EC%98%88%EB%B0%A9+%EB%B0%8F+%EA%B4%80%EB%A6%A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chrClsCd010202&mode20&ancYnChk0 

  6. 홍은주.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교육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융합정보논문지. 2020;10(5):60-74.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5.060 

  7. WHO and ICN, 2009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Geneva, Switzerland. 

  8. 이영란, 이명하, 박숙경.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2013;9(4):511-520. 

  9. Jennings-sanders A, Frisch N, Wing 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2005;3:80-85. https://doi.org/10.1016/j.dmr.2005.04.001 

  10. 양난영, 신경림. 국내 보완.대체 치료 간호학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2003;15(2):226-235. 

  11. 허영림. 코칭 관련 국내 간호중재연구 동향분석. 인문사회 21. 2018;9(3):645-660. https://doi.org/10.22143/HSS21.9.3.48 

  12. 배가령, 조주희. 간호사 주도의 암 재발 두려움 중재 프로그램 동향분석. 종양간호연구. 2020;20(1):20-27. https://doi.org/10.5388/aon.2020.20.1.20 

  13. 허은주, 정면숙. 의료 및 간호 서비스마케팅 국내 연구동향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8;24(4):352-363.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352 

  14. 최현주.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9;25(5):510-525.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5.510 

  15. 김윤희, 김효연. 국내 액션러닝기반 간호교육 동향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8;24(1):73-84.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73 

  16. 김윤민, 박현영. 국내 학부과정 간호교육에서의 교수학습방법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16(3):945-966. 

  17. 김선미, 서명희, 정석희, 김희선, 김윤이. 국내 병원 간호사의 리더십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9;25(5):404-423.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5.404 

  18. 이은연, 손경희. 간호학에서 직무 스트레스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5;6(3):87-95. https://doi.org/10.15207/JKCS.2015.6.3.087 

  19. 오은영, 강경화, 김광점, 민흥기. 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지. 2018;23(1):16-27. 

  20. 최정실, 김영지.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의미연결망분석과 토픽모델링 중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9;28(4):221-229. https://doi.org/10.5807/kjohn.2019.28.4.221 

  21. 임경희, 박경민. 산업간호학회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산업간호학회지. 2001;10(2):142-152. 

  22. 최명애, 정재심, 임경춘, 김주현, 김금순, 권정순, 등. "임상간호연구" 학술지 게재논문[1995-2008년]의 연구동향 분석. 임상간호연구. 2010;16(2):95-105. 

  23. 이인숙, 김윤아, 최경원, 진영란. 지역사회간호학 관련 논문 연구동향 분석-학회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12(1):288-298. 

  24. 이옥철. 재난 관련 국내 간호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4;28(3):432-44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432 

  25. 김채봉, 황성완. 구글트렌드를 이용한 감염병 관심 동향 2004-2017년. 의료경영학연구. 2020;14(1):39-46. https://doi.org/10.18014/hsmr.2020.14.1.39 

  26. 변진이, 김혜진. 국내 방문간호 연구동향 분석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2019;9(11):71-80.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1.071 

  27. 감염병 포털. https://www.kdca.go.kr/ 

  28. 최재욱, 김경희, 조용민, 김상후. 한국 메르스 감염의 역학현황과 공중보건학적 대응 조치 방향.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58(6):487-497. https://doi.org/10.5124/jkma.2015.58.6.487 

  29. 김윤희, 김효연. 국내 액션러닝기반 간호교육 동향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8;24(1):73-84.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73 

  30. 장애리, 안민희. 코로나 19 이후 국내 간호학부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1;22(10):676-685. https://doi.org/10.5762/KAIS.2021.22.10.676 

  31. Lam SKK, Kwong EWY, Hung MSY, Pang SMC, Chiang VCL. Nurses' preparedness for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 literature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of qualitative eviden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8;27(7-8):e1244-e1255. https://doi.org/10.1111/jocn.14210 

  32. Loke AY, Guo C, Molassiotis A.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the past 20 years (2000-2019): A systematic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2021;99:104809. https://doi.org/10.1016/j.nedt.2021.104809 

  33. Grochtdreis T, de Jong N, Harenberg N, Gorres S, Schroder-Back P. Nurses' roles, knowledge and experience in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and emergency response: A literature review. South Eastern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SEEJPH), 2016. https://doi.org/10.4119/seejph-184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