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Youtube 숏폼 콘텐츠의 편집스타일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Editing Style in YouTube Short-From Content 원문보기

Trans- = 트랜스-, v.13, 2022년, pp.59 - 90  

김미미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변혁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0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를 뜻하는 숏폼 콘텐츠(short-form contents)는 그 콘텐츠의 특성상 짧은 러닝타임으로 틈날 때마다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반으로 MZ세대들 사이에서 최근의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은 물리적으로 짧고, 다채로우며, 그 압축된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전달하기 때문에 롱폼 콘텐츠와 내용과 형식에서 모두 상이점을 보인다. 또한 정보전달성 영상이나, 먹방, 웹예능, 댄스 챌린지 등 오락성을 띤 영상들이 주로 제작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이전처럼 영상전문가의 창작물로서의 전문성을 띠지 않아도 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보급형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소비자가 곧 생산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숏폼 콘텐츠는 롱폼 콘텐츠(long-form contents)와 같은 일반적인 기존의 영상 형태가 아닌 새로운 영상 스타일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본 연구는 그중 편집 스타일의 변화에 집중하여 연구한다. 본 연구는 롱폼 콘텐츠에 대비하여 달라진 숏폼 콘텐츠의 편집 스타일을 '시각적' 측면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 다섯 가지의 특징적 변화를 정리하였다. 프레임의 사용, 밈의 활용, 화면분할, 블루 스크린 그리고 자막의 활용이 그것인데 각각의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최근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숏폼 콘텐츠의 편집 스타일에 대해 파악하고, 그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rt-form content, which means "short video content within 10 minutes," is rapidly emerging as a recent trend among MZ generations based on the fact that it can be viewed whenever there is a short running time, and they are physically short, colorful, and deliver a lot of information in a compresse...

주제어

표/그림 (31)

참고문헌 (20)

  1.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 1996 

  2. 김정호, 「(영화제작을 위한) 영화편집의 이해」, 소도, 2006 

  3. Dancyger Kan, 「영화 편집 : 기술, 역사, 이론, 미학」, 오명훈,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4. 편장완, 한승룡, 「편집을 알면 영화가 보인다 : 현대 할리우드 영화의 편집분석」, 위드커뮤니케이션즈, 2002 

  5. 김현숙, 「스낵 영상의 영상 문법 : 미니멀리즘과 시각 편의성을 기반으로」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18p 

  6. 이윤성, 「텔레비전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영상뉴스 분석 : 구성요소와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0p, 

  7. 김정은, 신현군, 「틱톡, 숏폼 문화 속 춤의 초미학 현상 : Virilio, Baudrillard의 속도의 예술을 중심으로」 ,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2호, 2022, 223-230p 

  8. 김정환, 「디지털 영상편집과 합성 및 특수효과의 현재와 미래」 , 「영화연구」, 제16호, 2001, 131-157p 

  9. 김종국, 「영화편집의 역사, 비판적 검토」 , 「정보디자인학연구」, 제 22권, 2014, 21-30p 

  10. 김지원,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MBC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제 14권」, 제2호, 2013, 103-111p 

  11. 김현숙, 문재철, 「스낵 영상 콘텐츠의 표현 방식」 , 「애니메이션연구 제14권」, 제3호, 2018, 234-249p 

  12. 김현지, 오세림, 조수빈, 「숏폼 콘텐츠 트렌드」 , 「마케팅2020 제54권」, 제7호, 2020, 60-69p 

  13. 문대혁, 「영화 편집의 접근법과 변화에 대한 연구」 , 「남서울대학교논문집」, 제25권, 2019, 47-61p 

  14. 양기문, 정선형, 이상우, 「영상클립의 인기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네이버 TV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2018, 706-718p 

  15. 윤시향, 「에이젠슈타인의 충돌과 비약의 몽타주 - 「전함 포템킨」을 중심으로」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7호, 1999, 246-272p 

  16.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 「인문콘텐츠」, 제 58호, 2020, 121-139p 

  17. 이충직, 「영화의 편집 스타일에 관한 연구」 , 「영화연구」, 제10호, 1995, 140-163p 

  18. 정승은, 「스낵컬처 영상에 관한 연구, 72초 대표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 「씨네포럼」, 제24호, 2016, 75-99p 

  19. 정종원, 「영상편집 시스템의 발전과 향후 전망」 , 「동서언론」, 제9집, 2005, 75-107p 

  20. 최승원, 「시대 변화에 따른 영화영상의 페이스에 대한 고찰 : 영상편집을 중심으로」 , 「애니메이션연구 제15권」, 제2호, 2019, 104-121p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