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노인의 가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Effects of Family Function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7, 2022년, pp.307 - 317  

이종운 (유원대학교) ,  허만세 (계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령노인들의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2019년 7월1일부터 2019년 7월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총 296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행하였고, 매개 변수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령노인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령노인의 가족기능과 우울 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July 1, 2019 to July 31, 2019, and 296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70세 이상 고령노인들의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의 두 요인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 인구학적 변수를 통제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실질적으로 노인의 우울을 감소 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고령노인들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우울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령노인들의 기능저하 부분을 고려하여 조사원이 보조하는 방식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고령.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김유진, 임승현, 남인수,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354-364, 2015. 

  2. 강은나, 김재호, 황남희, 김현정, 손동기, 배혜원, 은퇴전환기 중고령자의 일.여가 현황과 여가증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3. 장수지, 김수영, "부산지역 거주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 및 자기방임 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2호, pp.245-273, 2017. 

  4. 전미애, 김정현, "노인 우울 관련 변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8권, pp.75-97, 2013. 

  5. 노원석, "노인학대상담," 개신논집, 제15권, pp.103-122, 2015. 

  6. 김성은,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 강현욱,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 2012 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2, pp.995-1009. 2016. 

  8. 류한소, 이민아, "사회적 교류와 노인의 인지기능: 연령에 따른 차이," 한국인구학, 제42권, 제4호, pp.65-89, 2019. 

  9. K. Rothermund and J. Brandtstadter, "Age stereotypes and self-views in later life: Evaluating rival assum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7, No.6, pp.549-554, 2003. 

  10. 이현주,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노인복지연구, 제61호, pp.91-318, 2013. 

  11.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서제희, 정연, 이용주, 김창오, 김광준, 김소윤, 석희태, 홍성민, 왕승혜, 장민선, 카와쿠보히로시, 송은솔, 차미란, 배정은, 이동현, 백상숙, 양지현, 이지연, 백승주,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2. 박애란, 정경숙,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호, 제3권, pp.212-221, 2017. 

  13. 박지원, 반금옥, "Circumplex Model 에 근거한 취약가구 노인의 가족기능과 성공적 노화,"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39-249, 2010. 

  14. 최성실,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이준상, 김향아,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7-36, 2017. 

  16. 서희숙, 정인숙,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9, 2010. 

  17. 강동훈, "초고령 노인의 우울 궤적 예측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79권, pp.1-26, 2021. 

  18. 정우진, 상호제공적 가족내 지지와 가족외 지지가 은퇴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9.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0-300, 2013. 

  20. 강유진, "노년기 역할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및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47-258, 2020. 

  21. 최미영, 이승은, 박현식,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취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9권, pp.9-29, 2015. 

  22. 홍경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3. 박지영,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257-270, 2014. 

  24. A. Bandur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4, No.3, pp.359-373, 1986. 

  25.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629-643, 2009. 

  26. P. E. Davis-Kean, L. R. Huesmann, J. Jager, W. A. Collins, J. E. Bates, and J. E. Lansford, "Changes in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and behaviors acros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79, No.5, pp.1257-1269, 2008. 

  27. R. H. Fortinsky, K. Kercher, and C. J. Burant, "Measurement and correlates of family caregiver self-efficacy for managing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Vol.6, No.2, pp.153-160, 2002. 

  28. 송인한, 권세원, 김현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건강증진행동이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9호, pp.97-123, 2013. 

  29. 전미숙, 김현옥,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72-280, 2011. 

  30. H. M. Smith and N. E. Betz, "An examination of efficacy and esteem pathways to depression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9, No.4, p.438, 2002. 

  31. 제갈다나, 박재연,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측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2호, pp.413-444, 2017. 

  32. 정정화, 노인의 가족기능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3. 신근영,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관 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4. 최성희, 한명숙, "현대사회의 姑婦간의 가족문화 연구-며느리와 동거하는 시부모의 갈등,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59호, pp.391-415, 2011. 

  35. 김규엽,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6. S. Sethi, R. Kumar, and S. Gupta, "Antibiotic production by microbes isolated from soil,"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Research, Vol.4, No.8, p.2967. 2013. 

  37. J. A. Yesavage, "The use of self-rating depression scales in the elderly," In L. W. Poon, T. Crook, K. L. Davis, C. Eisdorfer, B. J. Gurland, A. W. Kaszniak, & L. W. Thompson (Eds.), Handbook for clinical memory assessment of older adults (pp.213-217),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86. 

  38.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2호, pp.298-306, 1996. 

  39. 임지숙, 한국 노인들의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 탐색과 삶의 만족 및 우울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0. D. H. Olson, J. Portner, and Y. Lave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CES III),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1985. 

  41. 김윤희, 의미요법에 기반으로 한 집단음악치료가 일노인복지관 노인의 우울과 고독감, 죽음불안,삶의 의미와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2.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호, p.191, 1977. 

  43. 서홍란, 김희년, "농촌지역 초고령 홀몸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64호, pp.137-163, 2014. 

  44. 김양이, 이연숙,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4호, pp.217-238, 2017. 

  45. 김우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 변화,"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3권, 제11호, pp.549-559, 2015. 

  46. 오영은, 농촌 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7. 최경원, 전경숙, "농촌노인의 허약상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4호, pp.380-38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