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적 체험을 기반으로 실버타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lver Town Space Design Based on Visual Experi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5, 2022년, pp.281 - 289  

원사주 (동의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장휘 (동명대학교 복지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사회의 고령화가 점차 심화되면서 실버타운 공간의 노인 돌봄 모델을 바탕으로 노인 돌봄 환경의 질은 점차 모두의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로 노인의 시각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을 연구하고 토론하며, 공간의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해 노인의 특별한 요구에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실버타운에서 노인의 생활 환경에서 시각적 체험 디자인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편안한 환경에서 노년을 즐길 수 있도록 공간의 환경을 최적화한다. 본 연구는 시각 심리학, 환경 심리학, 노인학 그리고 다른 이론으로 기초한다. 관련 문헌 수집과 노인현장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 노인들의 생활 환경의 기능과 전반적인 조합을 연구하고, 환경을 정리한다. 중·장년층의 행동적·시각적 요구를 바탕으로 공간에서의 시각적 연결을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시각적 경험의 관점에서, 환경의 조명, 색상, 그리고 재료들이 연구된다. 이론과 연구·실험의 결합을 통해 노인들은 따뜻한 색채, 고휘도 색채, 기하학적인 문양이 있는 식물을 선호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실버타운 공간에서의 시각적 경험의 디자인 원리와 디자인 방법을 요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ging of our society gradually deepens, the quality of the elderly care environment based on the elderly care model of the Silver Town space is gradually becoming the focus of everyone's attention. This study mainly studies and discusses the visu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8)

  1. L. Chen & X. Q. Zhang. (2021). A Probe on Quantitative Evaluation of Indoor Color and Lighting Environment of Apartment for the Aged Based on Analysis of EEG Signal. Furniture & Interior Design, (9), 102-107. DOI : 10.16771/j.cn43-1247/ts.2021.09.020 

  2. J. J. Zhang, T. J. Zhang & H. Wang. (2018). Light Environment Design of Nursing Home Based on Visu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t Science and Technology, 31(09), 188. 

  3. J. S. Lee & H. W. Lee. (2015). A Study on Influence of the Stress in a Color Temperature and Controllable Illuminance Environment on Human Body.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9(2), 125-134. DOI : 10.17289/jkscs.29.2.201505.125 

  4. J. S. Lee, J. S. Ryu & H. W. Lee. (2016), An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on the Effect of Lighting Colors on the Brain Wave Response.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30(2), 111-120. DOI : 10.17289/jkscs.30.2.201605.111 

  5. F. Li & S. P. Qi. (2014). Research on the space environment based on the behavioral psychology of the elderly. Art and Design, (1), 66-68. DOI : CNKI:SUN:YSLL.0.2014-Z1-022 

  6. Y. F. Gong & J. M. Yu. (2019). Indoor space environment design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Taking Jinzhou comprehensive service center for the elderly as an example. Housing Science, 39(01), 21-24. DOI : CNKI:SUN:ZZKJ.0.2019-01-007 

  7. Y. D. Chen, L. X. Hao & Z. Cui. (2014). Study on the Human Factors of Lighting in Neutral Color Living Room. China Illuminating Engineering Journal, 25(04), 29-34. DOI : 10.3969/j.issn.1004-440X.2014.04.006 

  8. Y. D. Chen, L. X. Hao & Z. Cui. (2015). Study on the Human Factors of Lighting in Different Color-Tone Living Room. China Illuminating Engineering Journal, 26(04), 40-44. DOI : 10.3969/j.issn.1004-440X.2015.04.007 

  9. L. Shan. (2019). Analysis on interior space design strategies of elderly apartments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Furniture & Interior Design, (12), 104-105. DOI : CNKI:SUN:JJZS.0.2019-12-034 

  10. H. Geng & R. M. Song. (2020).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color in the interior design of maker space. Furniture & Interior Design, (07), 108-109. DOI : CNKI:SUN:JJZS.0.2020-07-030 

  11. W. Y. Gong, X. L. Guo & J. W. Zou. (2020). Research on prefabricated apartments for the elderly and interior design. Furniture & Interior Design, (09), 112-115. DOI : 10.16771/j.cn43-1247/ts.2020.09.024 

  12. S. Yan, C. X. Wang & J. G. Deng. (2020). Research and application of interior desig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oncept of humanization. Furniture & Interior Design, (11), 114-116. DOI : 10.16771/j.cn43-1247/ts.2020.11.027 

  13. Z. Cui, Y. D. Chen & L. X. Hao. (2016). A dynamic review of the research on healthy light environment in living spac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hina Illuminating Engineering Journal, 27(5), 21-26. DOI : 10.3969/j.issn.1004-440X.2016.05.004 

  14. N. Yang. (2015). Design Exploration of elderly care community - design ideas for the characteristic positioning of "exclusive, leisure and home" of Wuhan Hezhong Younian community. China Housing Facilities, (1), 74-83. DOI : CNKI:SUN:ZZSS.0.2015-01-009 

  15. B. Y. Liu & T. Zhang. (2010). Landscape spatial sequence organization based on visual perception. Chinese Landscape Architecture, (10), 31. DOI : 10.3969/j.issn.1000-6664.2010.11.018 

  16. Y. R. Zhang, C. M. Zhou & T. Zhou. (2020). Functional adaptability design of furniture in self-care apartment for the elderly. Furniture, 41(05), 41-45. DOI : CNKI:SUN:JIJU.0.2020-05-011 

  17. N. S. Kim. (2014). A Study on Burnout of Workers for Elderly Welfare in Korea and Japan, The Japanese Modern Association Of Korea, (45), 471-488. DOI : 10.16979/jmak..45.201408.471 

  18. S. H. Cho & K. M. Jang. (2005).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and Preferred Color Scheme of the Aged for Interior Color Desig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1), 147-1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