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Jeollabukdo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7 no.3, 2022년, pp.27 - 42  

조동헌 (아산스마트팩토리마이스터고등학교) ,  김현주 (전라북도교육청 교직원수련원) ,  김민영 (전라북도교육연수원) ,  임상호 (순천향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방교육자치는 지역 주민의 삶에 대한 질을 높이고 지역 특성에 맞도록 교육 실현과 함께 지방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방 교육행정공무원의 중심 역할을 해야 하는 6급 공무원의 역량을 도출하고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을 구안하여 추후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기초 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수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해 교육행정공무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등 20명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은 델파이 1차 조사에서 기초자료의 타당도 평가와 델파이 2차 조사에서 수정 자료의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은 델파이 2차 조사와 델파이 3차 조사에서 수정 자료의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은 조정통합역량을 포함하여 9개의 역량으로 추출되었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은 13개 교과군과 43개 교과목으로 구안할 수 있었다. 그리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과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의 관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교육프로그램의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과 연수 결과물을 실제 교육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l education autonom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to realize education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the competency of level...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30)

  1. 강애선(2017). 지방공무원 장기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 경기도 인재개발원(2012). 핵심리더 역량교육 모의과제 개발. 

  3.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2018). 직급별 R&R기반 핵심역량 및 교육체계화 연구.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4. 국립국어원(2021). 적극행정. https://dic.daum.net/search.do에서 2021.9.13. 자료얻음. 

  5. 김대옥, 금창호(2020). 지방자치단체 무보직 6급 공무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업무특성, 역량, 제도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4(1), 115-133 

  6. 김춘호(2014). 지방공무원 역량평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2 전남교육청 5급 승진심사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나민주 외(2014). 지방교육 자치역량 강화방안 연구: 교육전문직원 및 교육행정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교육연구소. 

  8. 남현주(2014). 기업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대구광역시 공무원교육원(2018). 6급 역량개발 사이버콘텐츠 개발. 

  10. 박경선(2012).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규운(2013).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12. 서재영 외(2016).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요구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3), 159-180. 

  13. 유기웅, 장덕호, 박용호(2012). 국립대학 6/7급 직원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14. 이은상(2015). 기술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종승(2011). 교육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16. 이현우, 임규연(2012). 시도교육청 고급관리자의 역량 모델링에 따른 교육요구분석. 기업교육연구, 14(2), 25-44. 

  17. 이형국, 조동헌(2018).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7(5), 55-78. 

  18. 전라북도교육청(2017).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제도 개선. 

  19. 정규남(2011). 교육행정공무원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교육청 교육행정 5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 조동헌, 이형국, 배성근(2019).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 용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4(1), 190-208. 

  21. 조해순(2020). 지방공무원 심사승진제도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2. 지방행정연수원(2010). 지방공무원 역량모델의 이해 및 활용을 위한 매뉴얼. 

  23. 최상근(2013). IP분석을 통한 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4. 허점수(2011). 교육행정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전라북도교육청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5. Lawshe(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6. Lee, Y(2009). Competencies Needed by Korean HRD Master's Graduates: A Comparison between the ASTD WLP Competency Model and the Korean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1), 107-133. 

  27. OECD(2016). Survey on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Central/Federal Governments of OECD Countrial, deral Governments of OECD Countries, OECD, Paris. 

  28. Sork, T. J. (2001). Needs assessment. In D. H. Poomwassie & A. Poomwassie (Eds.), Fundamentals of adult education : Issues and practices for lifelong learning (101-115). Toronto: Thompson Educational Publishing. 

  29. Wexley, K. N., & Latham, G. P.(1991). Developing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resman. 

  30. Williams, P., & Webb, C.(1994). The Delphi Technique: A Methodological Discus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 180-18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