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Non Face to Face Real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7 no.4 = no.54, 2021년, pp.722 - 732  

박진찬 (Department of Fire & Social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백민호 (Department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펜데믹으로 인해 모든 교육기관은 전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에 소방공무원에게도 비대면교육을 적용하여 소방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중앙소방학교가 소방공무원에게 실시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방향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려한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위한 의식조사'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심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교수자 혹은 교육운영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특성에 맞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전용노트북을 제공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교육 참여에 어려움 없는 교육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방공무원 교육훈련 특성상 장비 활용이 필요한 교육훈련의 경우에는 각 소방서에 교육 장비를 배치하여 비대면 실습교육 장소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교육은 이론교육으로 대처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비대면 실시간 실습교육이 가능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한다. 그러한 비대면 실습교육이 가능해지기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대면교육을 적절하게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다섯째, 비대면 교육은컴퓨터 화면의 불빛과 전자파로 인하여 눈의 피로도가 높고 시간이 흐를수록 집중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의견으로 보아 적절한 수업시간과 휴식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시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일방적인 지식전달을 하는 교육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육을 운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 원격교육 기술적인 문제는 사전시스템 점검을 통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ue to the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 pendemics,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quired to provide full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fire officials were required to provide fire-fighting education by applying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실시간 소방교육을 받는 소방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K.A. (2008).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evaluation standards of distance graduate school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6, No. 2, pp. 77-106. 

  2. Gilles, C. (1993). We Make an Idea: Cycles of Meaning in Literature Discussion Groups. Exploring the Potential of Talk in Learning Communities, Portsmouth, Heinemann, NH, pp. 199-218. 

  3. Hong, S., Jung, I. (2011). "The distance learner competencies: A three-phased empirical approach."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59, No. 1, pp. 21-42. 

  4. KDCA "COVID-19" (2020). http://ncov.mohw.go.kr/. 

  5. Kim, K.W. (2020). "Analysis of domestic education trends after COVID-19: Focusing on non-face-to-face education."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Information Services Technology, Vol. 9, No. 4, pp. 377-390. 

  6. Lee, S.I. (2021). http://m.snstimes.kr/view.asp?intNum37547&ASection001001. 

  7. Mandernach, B.J., Donnelli, E., Daileyhebert, A. (2006). "Learner attribute research juxtaposed with online instructor experience: Predictors ofsuccessin the accelerated, online classroom." Journal of Educators Online, Vol. 3, No. 2, pp. 1-17. 

  8. Ministry of Education (2020). Ministry of Education's News Material on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Academic Programs in Response to Corona 19. Korea. 

  9.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NFSA) (2020). Public Document about Preparedness Against COVID 19 for Student. Korea. 

  10. Park, J.C., Beck, M.H. (2021). "Study on Survey of Improvement of Non Face to Face Education focused on Professor of Disaster Management Field in COVID-19."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3, pp. 640-654. 

  11. Park, S.Y. (2012). "Teaching strategy in discussional lectur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6, No. 4, pp. 237-262. 

  12. Yamagatalynch, L.C. (2014). "Blending onlin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learning."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 15, pp. 189-2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