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원자력 시설 통합 취약점 분석 프레임워크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of Integrated Vulnerability Analysis of Domestic Nuclear Facilities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22 no.1, 2022년, pp.11 - 17  

신미주 (전남대학교 시스템보안연구센터) ,  윤성수 (전남대학교 시스템보안연구센터) ,  엄익채 (전남대학교 시스템보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우크라이나 대규모 정전 사태를 비롯하여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ICS-CERT 취약점이 작년보다 두 배 이상이 증가하는 등 원자력 시설 등의 산업제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어시스템 운영자는 미국의 ICS-CERT에서 제공하는 산업제어시스템 취약점정보원을 바탕으로 취약점 대응 방안을 수립한다. 그러나 ICS-CERT는 연관된 모든 취약점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국내 제조사 제품에 대한 취약점을 제공하지 않아 이를 국내 제어시스템 보안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S-CERT에서 제공하는 제어시스템 취약점 정보(1,843건)를 기준으로 해당 취약점과 관련된 CVE, CWE, CAPEC, CPE 정보를 통합한 취약점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또한 원자력 시설의 자산을 CPE를 이용하여 식별하고 CVE와 ICS-CERT를 이용하여 취약점을 분석한다. 기존의 방법론으로 취약점 분석 시 임의의 국내 원자력 시설 자산 중 ICS-CERT에는 단 8%의 자산에 대한 취약점 정보를 탐색하였지만, 제안하는 방법론을 이용하면 70% 이상의 자산에 대해 취약점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yber attacks on national infrastructure, including large-scale power outages in Ukraine, have continued in recent years. As a result, ICS-CERT vulnerabilities have doubled compared to last year, and vulnerabilities to industrial control systems are increasing day by day. Most control system operato...

주제어

참고문헌 (12)

  1. NVD,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https://nvd.nist.gov/ Nov. 2021. 

  2. MITRE, "CVE Data Feeds",?https://cve.mitre.org/cve/data_feeds.html Nov. 2021. 

  3. CISA, "ICS-CERT Advisories", https://us-cert.cisa.gov/ics/advisories Nov. 2021. 

  4. KrCERT, "취약점 정보", https://www.krcert.or.kr/data/secInfoList.do Nov. 2021. 

  5. NVD, "Data Feed for Vulnerabilities", https://nvd.nist.gov/vuln/data-feeds Nov. 2021 

  6. NVD, "Official Common Platform Enumeration?(CPE) Dictionary", https://nvd.nist.gov/products/cpe Nov. 2021. 

  7. MITRE, "Common Weakness Enumeration",?https://cwe.mitre.org/ Nov. 2021. 

  8. MITRE, "Common Attack Pattern Enumeration?and Classification", https://capec.mitre.org/?Nov. 2021. 

  9. Tomas, R. J., Chothia, T. P., "Learning from?Vulnerabilities - Categorising, Understanding?and Detecting Weaknesses in Industrial Control?Systems," CyberICPS 2020, SECPRE 2020,?ADIoT 2020: Computer Security, pp. 100~116. 

  10. Kim, S. W., Kim, I. K., and Kwon, K. H., "A?Study on the Cyber Vulnerability Assessment of?the Vital Digital Assets at the Nuclear Facilities,"?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2017, pp. 725~726. 

  11. Kim, M. C., Oh, S. J., and Kang, H. J., "Risk?Scoring System for Software Vulnerability?Using Public Vulnerability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Security & Cryptology 28(6), 2018, pp. 1449~1461. 

  12. Kim, H. H., Yoo, J. H., "A Study on ICS/SCADA System Web Vulnerability," The Jounal?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4(2), 2019,?pp 15~2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