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위험과 노후준비정도 및 현재생활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stability and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Life and Satisfaction with Current Lif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337 - 343  

이찬호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고령화와 경제여건의 변화 등에 따라 노후준비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본 연구는 소득의 불안정성과 노후준비정도와 현재생활의 만족도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요 변수를 추출하고 이를 설문화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델로 통계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소득위험이 노후준비정도를 매개로하여 현재생활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05하에서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나 현재의 소득위험이 현재생활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령변수와 부양가족 수를 각각 2분하여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현재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선행요건으로 노후준비정도가 상당한 역할을 하고 노후준비를 위해서는 현재 소득의 변동성(위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요인(잠재변수)들 간의 관련성 정도는 연령, 부양가족 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세부적으로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다. 본 분석 결과는 현재 각 개인의 상황 속에서 만족스런 삶을 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횡단면적 분석만을 실시한 한계점을 갖고 있으며 향후에는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ed for preparation for old life has been further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stability and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life and satisfaction of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분석결과는 현재생활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의 관련성을 연령, 부양가족 수 등 인구통계적 상황에 따라 세분화하여 차이를 밝힘으로써 현재 각 개인의 상황 속에서 만족스런 삶을 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소득위험과 노후준비정도 그리고 이에 따른 현재생활의 만족정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삶의만족도 주제는 정보분야[15], 운동분야[16] 등 여러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는 경제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한다. 생활의 만족도는 개인이 자기의 생활에 만족하는 정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주관적인 안녕감에 포괄되는 개념이다[17].
  • 이러한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득위험이 노후준비정도를 매개로하여 현재생활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소득위험이 현재생활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그리고 이들 두 효과를 합한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상황에서 소득의 불안정성과 노후준비정도와 그에 따른 현재 생활의 만족도간의 관련성을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에서의 각 단계별 단편적 분석을 한단계 나아가 통합적으로 실태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각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 중 본 연구에 적용될 변수들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의 만족도의 정의는? 삶의만족도 주제는 정보분야[15], 운동분야[16] 등 여 러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는 경제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한다. 생활의 만족도는 개인이 자기의 생활에 만족하는 정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주 관적인 안녕감에 포괄되는 개념이다[17]. 생활의 질을 객 관적 지표만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서 캠 벨[18]은 객관적 지표로는 생활의 질을 측정하는데 한계 가 있다고 주장하였고 이에 1970년대 이후부터는 주관 적 측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6].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오늘날 신문지상을 통해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을 보여 주는 기사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 때 눈에 띄는 기사들 을 보면, 급증하는 가계부채, 저금리, 디플레이션 우려, 저출산과 고령화, 자영업자의 어려움 등 경제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기사가 많다. 점차 노령인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상기와 같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에 의해 가계소득의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질 것이며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노후를 위한 준비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한 줄로 하면? 따라서 현재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선행요건으 로 노후준비정도가 상당한 역할을 하고 노후준비를 위해 서는 현재 소득의 변동성(위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요인(잠재변수)들 간의 관련성 정도는 연령, 부양가족 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세부적으로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다. 결국 현재생활의 만족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 개별경제주체의 상황에 맞게 노후준비를 충실히 해야함 을 본 분석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E. Y. Chah & E. Y. Choi. (2007). The Effect of Income Uncertainty on Household's Saving.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 4(2), 91-113. 

  2. L. Gusio, T. Jappelli, & D. Terlizzese. (1996). Income Risk, Borrowing Constraints, and Portfolio Choice. American Economic Review, 86(1), 159-172. 

  3. K. E. Dynan. (1993). How Prudent Are Consumer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1(6), 1104-1113. 

  4. V. Dardanoni. (1991). Precautionary Savings under Income Uncertainty: a Cross-Sectional Analysis. Applied Economics, 23, 153-160. 

  5. J. Skinner. (1988). Risky Income, Life Cycle Consumption, and Precautionary Saving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22, 237-255. 

  6. J. S. Seo. (2017). The Effects of Later Life Preparation on th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Centered around Moderation Effects from Soci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ersity, Seoul. 

  7. D. R. Haurin. (1991). Income Variability, Home ownership, and Housing Demand.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1, 60-74. 

  8. J. Robst, R. Deitz & K. McGoldrick. (1999). Income Variability, Uncertainty and Housing Tenure Choice.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29, 219-229. 

  9. Y. R. Lee. & E. C. Chung. (2015). Effects of Income Variability on Housing Tenure Choice: Case of Variability of Household Head's Laber Income. Housing Studies Review, 23(1), 55-78. 

  10. M. S. Kimball. (1993). Standard Risk Aversion. Econometrica, 61(3), 589-611. 

  11. K. H. Shin. & W. Ju. (2002). The Effect of Income Uncertainty on the Accumulation and Consumption of Wealth. Economic Analysis Review, 8(1), 129. 

  12. S. Y. Yoon.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on Successful Aging. Master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Seoul. 

  13. S. M. Im. (2010). A Study of Readiness for Old Ages of White Colors. Master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4. G. R. Han. (2017). The Analysis of the Type of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Middle-aged. Doctoral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Jeonnam. 

  15. S. H. Kim & K. C. Lee. (2019). Analyzing Effects of PC Competence on Life Satisfaction: Emphasis on Mediating Role of Internet Service Us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9), 55-60. 

  16. S. H. An. (2019).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7) , 401-408. 

  17. E. Diener. (1984). Subjective Well-b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3-575. 

  18. A. Campbell. (1976). Subjective Measurement of Well-bing.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3, 117-124. 

  19. K. F. Schuessler & G. A. Fisher. (1985).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1(1), 129-149. 

  20. Z. Gabriel & A. Bowling. (2004).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Ageing & Society, 24(5), 675-691. 

  21. R. D. Tella, R. J. MacCulloch & A. J. Oswald. (2003). The Macroeconomics of Happines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5(4), 809-827. 

  22. P. M. Braum. (1976).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ocation in the Social Structure. Doctoral dissertation, Southern California University, California. 

  23. J. J. Suk. (2019). The Effect of Insecurity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