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의 불안정성과 부동산가격변동에 대한 태도 및 부동산보유비중 조정의향 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stability and Psychological Condition of Real Estate Price Changes and Willingness to Adjust Real Estate Holding Ratio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199 - 205  

이찬호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부동산 특히 주택과 관련한 많은 정부정책이 발표됨에 따라 주택시장에서의 가격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득의 불안정성과 부동산가격변동에 대한 심리상태와 부동산보유비중의 조정의향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정부정책의 실효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요 변수를 추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소득의 불안정성은 부동산가격변동에 대한 태도에 음(-)의 영향을, 부동산보유비율조정의향에는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부동산가격변동에 대한 태도가 부동산보유비율조정의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연령대와 부양가족 수를 각각 2분하여 집단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부동산보유비중 의사결정은 연령대가 높은집단과 부양가족수가 많은집단에서 소득불안정성과 부동산가격변화에 대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아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분석 결과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 수립방향 설정과 각 가계의 부동산 관련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횡단면분석만을 실시한 한계점을 갖고 있으며 향후에는 시계열적 변화와 지역간 인식의 차이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any government policies have been announced today regarding real estate, especially housing, interest in prices in the housing marke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i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income instability,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주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소득의 불안정성과 주택 등 자산수준간의 1차적 관련성에 추가적으로 부동산가격변동에 대한 심리상태를 추가한 세 변수 간에 연결된 직접 및 간접적 관련성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없었으므로 여기에서 본 연구는 차별적 의미를 가진다.
  • 찾아보았다. 본 분석은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관심의 초점을 두므로 그 의미해석 역시 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득의 불안정성과 부동산 가격 변동에 대한 태도 그리고 부동산보유비중 조정의향 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반면 정부의 입장에서도 국민들의 경제와 주거 등 부동산과 관련된 정책 수립과 정책 시행시 예상되는 결과에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가격에 초점을 두는 정책이 부동산보유비중을 조정하도록 유도하는데 실효성이 있을지 여부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목적을 가진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상황에서 소득의 불안정성과 부동산가격변동에 대한 심리상태와 부동산 보유비중의 조정의향 간의 관련성을 실태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각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 중 본 연구에 적용될 변수들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 Y. Chah & E. Y. Choi, (2007), The Effect of Income Uncertainty on Household's Saving,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 4(2), 91-113. 

  2. D. R. Haurin, (1991), Income Variability, Homeownership, and Housing Demand,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vol. 1, 60-74. 

  3. Y. M. Fu, (1995), Uncertainty, liquidity, and housing choices,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Vol. 25, 223-236. 

  4. J. Robst, R. Deitz & M. M. Kim, (1999), Income variability, uncertainty and housing tenure choice,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29, 219-229. 

  5. D. S. Luis, (2005), Labor income uncertainty, skewness and homeownership: A panel data study for Germany and Spain, Journal of Urban Economics, 58, 156-176. 

  6. Y. R. Lee, (2015), Effects of Income Variability on Housing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Ph. 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18. 

  7. S. W. Kim, (2009), Demand for Risky Assets with Uncertain Labor Income : A Pannel Study, Economic Analysis, 15(4), 82-117. 

  8. K. H. Shin & W. Ju, (2002), The Effect of Income Uncertainty on the Accumulation and Consumption of Wealth, Economic Analysis, 8(1), 100-134. 

  9. R. B. Barsky, M. S. Kimball, F. T. Juster & M. D. Shapiro, (1995), Preference Parameter and Behavioral Heterogeneity : An Experimental Approach in the Health and Retire Surve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5213. 

  10. V. L. Bajtelsmit & A. Bernasek, (2001), Risk Preferences and Investment Decisions of Older Americans, Public Affairs at AARP. 

  11. C. D. Carroll, (2002), Portfolios of the Rich, in Guiso, L., Haliassos, M. & Japelli, T. eds Household Portfolios, MIT Press, Cambridge, MA. 

  12. S. S. Jeong,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ice Fluctuations Reflecting Expectation and Exogenous Market Psychology,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30. 

  13. C. Himmelberg, C. Mayer & T. Sinai, (2005), Assessing high house prices: Bubbles, fundamentals and mis-perception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9(4), 67-92. 

  14. L. Lambertini, C. Mendicino & M. T. Punzi, (2013), Expectation-Driven Cycles in the Housing Market: Evidence from Survey Data, Joumal of Financial Stability, 9, 518-529. 

  15. D. Kahneman & A. Tversky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1. 

  16. E. L. Glaeser, J. Gyourko & A. Saizb, (2008), Housing Supply and Housing Bubbl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64(2), 198-217. 

  17. M. Huang, (2014), Bubble-like Housing Boom-Bust Cycles: Evidence from the Predictive Power of House Expectations, The Quarterly Finance, 54, 2-16. 

  18. J. I. Ahn, (2012), A Study on Korean Households Behavior toward Real Estate, Ph. 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1-12. 

  19. M. A. Flavin & T. Yomashita, (2002), Owner-occupied Housing and the Composition of the Household Portfolio, American Economic Review, 92. 

  20. J. Banks & S. Tanner, (2002), Household Portfolios in the United Kingdom, in Guiso, L., Haliassos, M. & Japelli, T. eds Household Portfolios, MIT Press, Cambridge, MA. 

  21. J. F. Cocco, (2004), Portfolio Choice in the Presence of Housing, Review of Financial Studies, 18. 

  22. B. Eli, A. Skiba & K. H. Johnson, (2017), Housing Ownership Decision Making in the Framework of Household Portfolio Choice, Journal of Real Estate Research, 39(2), 263-287. 

  23. O. Y. Kim, (2011),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Real Estate Assets, Ph. 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4. H. M. Kim & Y. I. Lee, (2018), The Effect of Housing Assets on the Composition of the Household Portfolio,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 15(3), 43-62. 

  25. H. J. Lee & S. S. Koh, (2018), The Effect of Housing Finance Regulation on Mortgage Loan of Non-banking Sector,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24(1), 5-22. 

  26. E. C. Chung, (2017), A Dynamic Analysis of Housing Tenure Decisions, Housing Studies Review, 25(4), 181-209. 

  27. D. R. Haurin & H. L. Gill, (1985), Effects of Income Variability on the Demand for Owner-occupied Housing, Journal of Urban Economics, 22. 

  28. A. Caplin, S. Chan, C. Freeman & J. Tracy, (1997), Housing Partnerships: A New Approach to Markets at Crossroads, MIT Press, Cambridge. 

  29. D. S. Luis. (2005),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abor Income Uncertainty and Homeownership: Risk-aversion vs Credit Constraints,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14. 

  30. H. Bloemen, (2007), The Impact of Wealth on Job Exit Rates of Elderly Workers, TI Discussion Paper, 2007-00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