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싱글 라이프'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이 비혼 의지와 여가활동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 Life' Media Contents Viewing on Singlehood Culture and Leisure Lifestyl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235 - 246  

나은경 (국민대학교 미디어광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확산과 비혼의 증가라는 사회 트렌드의 요인으로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싱글 라이프'를 보여주는 관찰 리얼리티 및 유튜브 브이로그 콘텐츠의 증가는 1인 가구 확산이라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미 주류가 된 1인 가구들은 미디어 이용을 통해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의지를 공고히 할 수도 있다. "라이프스타일 변형적 리얼리티 콘텐츠" 관점에 따르면, 근래의 리얼리티 영상 콘텐츠는 단순히 오락과 재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의 현실 삶의 방식을 변화시킬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최근 '욜로(YOLO)'에서 '갓생'으로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인구 사회학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그 원인을 설명해온 가운데, 1인 가구 시청자들에게 '싱글 라이프' 관련 미디어 콘텐츠가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미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결과, '싱글 라이프'를 보여주는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유튜브 브이로그의 이용이 많을수록 수용자의 동일시와 비혼 의지가 높았으며, 현재 중심적인 라이프스타일과 미래지향적인 라이프스타일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최근 경향이 청년층의 삶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recent 'single life' media contents on the spread of singlehood culture for Korean youth. Extant research on the changing trends across present-centered vs. future-oriented lifestyles had focused mainly on demographic or sociological factors. "Lifestyle transformi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청년층의 비혼의지와 여가활동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2016년 전후로 등장한 욜로, 소확행, 워라밸 유행으로부터[4], 갓생(God-生), 소확성, 파이어족에 이르기 까지[7]I8][10], 청년층 1인 가구가 일과 생활의 균형, 일과 여가의 조화 등 사회적 이슈와 융합되는 현상에서'싱글 라이프'를 다룬 미디어 콘텐츠 이용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기존 연구들은 1인 가구 및비혼 증가 현상에 대해 결혼에 대한 이미지나 가치관의 변화, 그에 따른 결혼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일반화된 사실을 살핀 의의가 있지만, 최근에 늘 어난, 적극적으로 결혼을 하지 않으려는 주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3]. 이에 본 연구는 양적,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결혼할 의향이 없는 남녀의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이용 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 특히 2016년 전후로 등장한 욜로, 소확행, 워라밸 유행으로부터[4], 갓생(God-生), 소확성, 파이어족에 이르기 까지[7]I8][10], 청년층 1인 가구가 일과 생활의 균형, 일과 여가의 조화 등 사회적 이슈와 융합되는 현상에서'싱글 라이프'를 다룬 미디어 콘텐츠 이용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 콘텐츠가, 대중매체 영역에서는 '싱글 라이프'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1인 가구 관찰 리얼리티의 이용, 온라인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을 보여주는 유튜브 브이로그의 이용인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현상이 가져올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021. 

  2. 우민희, 이명진, 최샛별,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제16권, 제1호, pp.201-231, 2015. 

  3. 이정하, 박정윤, 윤나나,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3권, 제2호, pp.183-214, 2017. 

  4. 남윤주, 남승규, "신뢰가 소확행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3호, pp.841-850, 2019. 

  5. 박노일, 정지연, 김정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뉴스미디어 이용 및 사회참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6권, 제2호, pp.95-116, 2018. 

  6. 김난도, 이준영, 전미영, 이향은, 김서영, 최지혜, 트렌드 코리아 2017: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7 전망, 미래의창, 2016. 

  7.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344 

  8.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1/article_no/10351/ac/r_best 

  9. 최인수, 윤덕환, 채선애, 송으뜸, 이진아, 2022 트렌드 모니터: 대중을 읽고 기획하는 힘, 시크릿하우스, 2021. 

  1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64649 

  1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61935 

  12. 산업경제분석,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문화서비스 지출행태 및 트렌드 변화," 월간 KIET 산업경제. pp.30-37, 2015. 

  13. 송혜림, "청년 1인 가구의 여가생활과 여가의 의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24권, 제4호, pp.21-37, 2020. 

  14. 서성연, 강인, "성, 연령, 결혼이미지가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미래사회, 제10권, 제1호, pp.65-81, 2019. 

  15. 조은영, "방송 영상 콘텐츠 정보 이용 행위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2호, pp.190-218, 2017. 

  16. 이혜선, 백영민, "라이프스타일은 누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인구통계학적 집단별 라이프스타일이 방송클립영상 시청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5권, 제3호, pp.115-160, 2018. 

  17. M., Tsay-Vogel and K. M. Krakowiak, "Inspirational reality TV: The prosocial effects of lifestyle transforming reality programs on elevation and altruism,"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60, No.4, pp.567-586, 2016. 

  18. 김명진,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매체성 고찰," 한국방송학보, 제34권, 제5호, pp.40-77, 2020. 

  19. 윤지영, 유지윤, "유튜브 브이로그 이용 동기 및 이용자 특성이 이용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189-201, 2020. 

  20. 설진아, "인기 유튜브 채널의 장르 유형과 채널 인기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9권, 제1호, pp.49-86, 2021. 

  21. 백진주, 백선기, "1인 가구 현상, 미디어 재현, 문화적 함의: TV 드라마 에 대한 기호학과 담론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5-77, 2018. 

  22. 손성우, 태지호, "또 하나의 가족, 미디어와 타자의 욕망: 1인 가구의 계보학과 정체성," 기호학 연구, 제60권, pp.7-32, 2019. 

  23. S. E. Mazzeo, S. E. Trace, K. S. Mitchell, and R. W. Gow, "Effects of a reality TV cosmetic surgery makeover program on eating disordered attitudes and behaviors," Eating Behaviors, Vol.8, pp.390-397, 2007. 

  24. 조준상, 은혜정,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연구: 의사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플로우 그리고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3권, pp.556-590, 2013. 

  25. N. A. Kadar and T. Parvee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ality TV shows on life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ciences, Vol.9, No.8, pp.52-61, 2019. 

  26. 나은경, "미디어 팬덤의 심리학: 아무나 팬을 가진 시대, 숭배에서 친밀감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1호, pp.139-169, 2020. 

  27. 양희수, 현은정, "문화예술 분야에서 '욜로(YOLO)' 의 활용 및 확산: 신문기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매핑 사례연구," 문화와 융합, 제40권, 제1호, pp.29-66, 2018. 

  28. 김경식, 이루지,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424-433, 2011. 

  29. 송학준, 박혜미, "소확행 여행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육하원칙에 따른 개념정리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2권, 제6호, pp.449-468, 2020. 

  30. 조승행, "혼족의 여가활동 동기와 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제53권, pp.69-78, 2018. 

  31. 김영국, 남장현, 장동석, "싱글족의 SNS 활동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개인가치 추구의 관계," 지역산업연구, 제39권, 제4호, pp.169-190, 2016. 

  32. 곽비송, 김영하, "싱글족의 소비가치, 편의점 PB상품 선택속성, 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32권, 제11호, pp.267-282, 2020. 

  33. 전주언, 이은미, 최한나, "충동적 경험소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시간 경과에 따른 행복감의 망각," 대한경영학회지, 제32권, 제8호, pp.1311-1330, 2019. 

  34.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230151300016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