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인자와 용수공급체계를 고려한 가뭄 위험도 평가
Drought risk assessment considering regional socio-economic factors and water supply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8, 2022년, pp.589 - 601  

김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민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스마트시티공학과) ,  최시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이주헌 (중부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김태웅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자연적 현상이지만, 지역의 물리적 및 사회적 요소와 결합되어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각종 용수 공급 및 수요과 연관되어 사회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야기시킨다. 비슷한 심도의 기상학적 가뭄에도 지역의 특성과 용수공급체계에 따라 실제로 발생하는 가뭄 피해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인자와 용수공급체계를 고려하여 가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노출성은 용수공급 과부족량을 나타내는 결합가뭄관리지수(JDMI)를 등급화하여 평가하였다. 취약성은 가뭄에 영향을 받는 10개의 사회·경제적 인자에 엔트로피, PCA 및 GMM를 적용하여 가중평균하여 평가하였다. 대응능력은 지역의 용수능력을 나타내는 인자들을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위험도는 노출성, 취약성 및 대응능력을 통합하여 결정하였다. 용수공급 실패 사상의 발생 가능성을 의미하는 가뭄 노출성을 평가한 결과, 괴산군이 0.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뭄 취약성의 경우, 대전광역시가 0.61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용수공급체계가 고려된 가뭄 대응능력을 평가한 결과, 세종시가 가뭄 대응능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청주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뭄에 대한 위험 및 취약 원인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마련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drought is a natural phenomenon, its damage occurs in combination with regional physical and social factors. Especially, related to the supply and demand of various waters, drought causes great socio-economic damage. Even meteorological droughts occur with similar severity, its impact varie...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8)

  1. Ahmadalipour, A. (2017). Multi-dimensional drought risk assessment based on socio-economic vulnerabilities and hydro-climatological factors. Ph. D. dissertation, Portland State University, Portland, OR, U.S. 

  2. Ahn, S.R., Jeong, J.H., and Kim, S.J. (2016). "Assessing drought threats to agricultural water supplies under climate change by combining the SWAT and MODSIM models for the Geum River basin, South Korea."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61, No. 15, pp. 2740-2753. 

  3. Berhe, F.T., Melesse, A.M., Hailu, D., and Sileshi, Y. (2013). "MODSIM-based water allocation modeling of Awash River Basin, Ethiopia." Catena, Vol. 109, pp. 118-128. 

  4. Blauhut, V., Stahl, K., Stagge, J.H., Tallaksen, L.M., De Stefano, L., and Vogt, J. (2016). "Estimating drought risk across Europe from reported drought impacts, drought indices, and vulnerability factor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20, No. 7, pp. 2779-2800. 

  5. Choi, S.H. (2018). Drought risk index development for drought risk assessmen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Fan, G., Zhang, Y., He, Y., and Wang, K. (2017). "Risk assessment of drought in the Yangtze River Delta based on natural disaster risk theory." Discrete Dynamics in Nature and Society, Vol. 2017, 5682180. 

  7. Kang, M.G., and Lee, G.M. (2012).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for estimating water supply capacities of dams considering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pp. 1131-1141. (in Korean) 

  8. Kim, J.E., Park, J.Y., Lee, J.H., and Kim, T.W. (2019).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drou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ntropy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2, pp. 441-449. (in Korean) 

  9. Kim, J.E., Yu, J.S., Ryu, J.H., and Kim, T.W. (2021). "Assessment of regional drought vulnerability and risk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a Gaussian mixture model." Natural Hazards, Vol. 109, pp. 707-724. 

  10. Lee, J.H., Jun, H.D., Park, M.J., and Jung, J.H. (2011). "Flash flood risk assessment using PROMETHEE and Entropy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3, pp. 151-156. (in Korean) 

  11. Liu, A., and Schisterman, E.F. (2004).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ncyclopedia of biopharmaceutical statistics, Edited by Chow S.C., CPC Press, NY, U.S. 

  12. Park, J.Y., Yoo, J.Y., Lee, M.W., and Kim, T.W. (2012). "Assessment of drought risk in Korea: Focused on data-based drought risk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4, pp. 203-211. (in Korean) 

  13. Qin, Q.X., and Zhang, Y.B. (2018).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 the region." Journal of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Vol. 8, No. 4, pp. 113-124. 

  14. Russell, S., and Norvig, P. (2009).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Prentice Hall, NJ, U.S. 

  15. Sam, A.S., Kumar, R., Kachele, H., and Muller, K. (2017). "Quantifying household vulnerability triggered by drought: Evidence from rural India." Climate and Development, Vol. 9, No. 7, pp. 618-633. 

  16. Vargas, J., and Paneque, P. (2017).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causes of drought vulnerability on the river basin scale." Natural Hazards, Vol. 89, No. 2, pp. 609-621. 

  17. Yu, J.S., Choi, S.J., Kwon, H.H., and Kim, T.W. (2018). "Future water supply risk analysis using a joint drought management index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pp. 1117-1126. (in Korean) 

  18. Yu, J.S., Kim, J.E., Lee, J.H., and Kim, T.W. (2021). "Development of a PCA-based vulnerability and copula-based hazard analysis for assessing regional drought risk."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5, pp. 1901-190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