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기간에 따른 소금 농도별 sauerkraut의 미생물 및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microorganism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erkraut by salt concentration based on the storage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4 no.4, 2022년, pp.437 - 444  

지혜인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다미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양배추에 0.5, 1.0, 1.5, 2.0와 2.5% (w/w)의 천일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sauerkraut의 발효기간(0-7 days)에 따른 품질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Ji와 Kim, 2022) 결과, 가장 적숙기인 발효 4일째의 sauerkraut를 4℃ incubator에 저장하여 소금 농도 및 저장기간(0-28 days)에 따른 품질특성과 미생물 군집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저장기간 동안 0.5-2.5% sauerkraut의 pH 및 염도는 감소하고 총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적숙기 범위를 유지하였다(p<0.001). 0.5-2.5%의 sauerkraut 색도 측정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장 20일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1),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이 저장 20일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01) 외관의 상태가 저장 20일까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0.5-2.5%의 sauerkraut 경도는 색도와 마찬가지로 저장 20일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01) 식감이 저장 20일 이후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저장 20일 이후의 소금 농도에 따른 색도 및 경도의 차이를 보았을 때, 1.5% 이하 sauerkraut가 낮은 황색도와 높은 명도 및 경도를 보여 외관 및 조직감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0.5-2.5%의 sauerkraut의 유산균은 저장 24일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01), 저장 28일까지 7.06 log CFU/mL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소금 농도가 낮을수록 유산균이 높게 유지되었다. 효모는 저장 0일부터 28일까지 유산균과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장균군은 0.5-2.5%의 sauerkaut가 저장 0일에 각각 0.17, 0.13, 0.08, 0.08, 0.04 log CFU/mL로 측정되어 검출되었지만 저장 4일 이후 검출되지 않아 본 연구의 sauerkraut는 저장기간 동안 안전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미생물 군집 결과, 4℃에서 저장한 sauerkraut가 저장 20일까지 품질특성이 우수하였으므로 sauerkraut 발효 후 저장 20일까지 냉장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외관의 품질, 식감과 유산균을 고려할 때, 소금 농도 1.5% 이하의 sauerkraut가 더 우수한 저장 능력을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저염 sauerkraut 제조 및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향후 sauerkraut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바이오제닉아민 함량 분석과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erkraut made by adding 0.5, 1.0, 1.5, 2.0, and 2.5% (w/w) sea salt to cabbag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 and salinity of 0.5-2.5% sauerkraut decreased, while its total acidity increased during stor...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36)

  1. Breidt F, McFeeters RF, Perez-Diaz I, Lee CH. Food Microbiology: fundamentals and frontiers: Fermented vegetables. ASM Press, United States. pp. 841-855 (2012) 

  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Fermented food. Available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B0%9C%ED%9A%A8&ridx19&tot27. Accessed Nov. 09, 2021. 

  3. Ghosh D. Studies on the changes of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arameters of sauerkraut and fermented mix vegetables. Food Res. 5(1): 78-83 (2021) 

  4. Gnanasekharan V, Shewfelt RL, Chinnan MS. Detection of color changes in green vegetables. J. Food Sci. 57: 149-154 (1992) 

  5. Hallmann E, Kazimierczak R, Marszalek K, Drela N, Kiernozek E, Toomik P, Rembialkowska E. The nutritive value of organic and conventional white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 and anti-apoptotic activity i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of sauerkraut juice produced therof. J. Agric. Food Chem. 65: 8171-8183 (2017) 

  6. He J, Li F, Wang Y, Wu H, Yang 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bacterial dynamics during Chinese sauerkraut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curvatus LC-20 under varied salt concentrations reveal its potential in low-salt suan cai production. J. Biosci. Bioeng. 132: 33-40 (2021) 

  7. Jang MS, Moon SW. Effect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on Dongchim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4: 744-751 (1995) 

  8. Ji HI, Kim KH.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Sauerkraut (fermented cabbage). J. Korean Soc. Food Cult. 37: 61-72 (2022) 

  9. Kang SE. Kim MJ. Kim TW. Diversity and role of yeast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Cult. 34: 201-207 (2019) 

  10. Kang KO, Kim WJ, Lim HS. Effect of temperature ans NaCl concent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aik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3: 569-577 (1997) 

  11. Kim GE. Chacteristics & applications of Lactobacillus sp. from Kimchi.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6: 374-380 (2011) 

  12. Ku KH, Kang KO, Kim WJ.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76-482 (1988) 

  13. Kusznierewicz B, Lewandowska J, Kruszyna A, Piasek A, Smiechowska A, Namiesnik J, Bartoszek A.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hite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f. alba) fresh and submitted to culinary processing. J. Food Biochem. 34: 262-285 (2010) 

  14. Kwon DY, Nyakudya E, Jeong YS. Encyclopedia of Agriculture and Food Systems: Fermentation: Food products. Elsevier Academic Press, USA. pp. 113-123 (2014) 

  15. Lavefve L, Marasini D, Carbonero F. Microbial ecology of fermented vegetables and non-alcoholic drinks and current knowledge on their impact on human health. Adv. Food Nutr. Res. 87: 147-185 (2019) 

  16. Lee KH, Cho HY, Pyun YR.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 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ility index. Kor.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1991) 

  17. Lee YH, Rhee HS.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s. Korean J. Soc. Food Sci. 2: 54-58 (1996) 

  18. Liu Z, Li J, Zhou X, Wei B, Xie S, Du T, Xiong T.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community of home-made sauerkraut from three provinces in Southwest China. Arch. Microbiol. 203: 3171-3182 (2021) 

  19. Liu Z, Peng Z, Huang T, Xiao Y, Li J, Xie M, Xiong T.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raditionally homemade paocai and Chinese spicy cabbage. Food Microbiol. 83: 141-149 (2019) 

  20. Majcherczyk J, Surowka K. Effects of onion or caraway on the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during sauerkraut fermentation and refrigerated storage. Food Chem. 298: 125083 (2019) 

  21. Montano A, Sanchez AH, Beato VM, Lopez-Lopez A, de Castro A. Encyclopedia of Food and Health: Pickling. Elsevier Academic Press, USA. pp. 369-374 (2016) 

  22. Moon SW, Park SH, Kang BS, Lee MK.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tarters on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Korean J. Food Nutr. 27: 785-795 (2014) 

  23. Park BH, Choi SH, Cho HS, Kim SD, Jeon ER. Quality changes in Baik-Kimchi (pickled cabbage) added lotus root juic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 320-327 (2010) 

  24. Penas E, Frias J, Gomez R, Vidal-Valverde C. High hydrostatic pressure can improve the microbial quality of sauerkraut during storage. Food Control. 21: 524-528 (2010) 

  25. Penas E, Martinez-Villaluenga C, Pihlava JM, Frias J. Evaluation of refrigerated storage in nitrogen-enriched atmospheres on the microbial quality,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auerkrauts. LWT-Food Sci. Technol. 61: 463-470 (2015) 

  26. Premakumar K, Sahana S, Sabrana MASF.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 on storage ability of sauerkraut. Int. J. Res. Stud. Agric. Sci. 7: 11-16 (2021) 

  27. Romeo L, Lori R, Rollin P, Bramanti P, Mazzon E. Isothiocyanates: An overview of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uman infections. Molecules 23: 624 (2018) 

  28. Tamang JP, Kailasapathy K. Fermented foods and beverages of the world. CRC press, USA. pp. 1-435 (2010) 

  29. Tamang JP, Shin DH, Jung SJ, Chae SW. Functional properties of microorganisms in fermented foods. Front. Microbiol. 7: 578 (2016) 

  30. Thakur P, Panja P, Kabir J, Dhua R. Studies on shelf life of sauerkraut. J. Crop Weed. 16: 204-209 (2020) 

  31.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Available from: https://data.nal.usda.gov/dataset/usda-national-nutrient-database-standard-reference-legacy-release. Accessed Dec. 09, 2021. 

  32. Yang X, Hu W, Xiu Z, Jiang A, Yang X, Saren G, Feng K.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microbial communiti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abolite profile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 of Chinese northeast sauerkraut. J. Appl. Microbiol. 129: 1458-1471 (2020) 

  33. Yang Z, Luo F, Zhong K, Huang C, Yu Z, Peng Z, Gao H. Effect of Bacillus subtilis Y61 inoculation on bacterial community and metabolic profile of sichuan paocai fermentation. LWT-Food Sci. Technol. 137: 110393 (2021) 

  34. You SY, Yang JS, Kim SH, Hwang IM.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with respect to storage conditions. J. Food Qual. 2017: 1-7 (2017) 

  35. Yu KW, Hwang JH.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Nutr. 24: 753-760 (2011) 

  36. Zubaidah E, Susanti I, Yuwono SS, Rahayu AP, Srianta I, Blanc PJ.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cultures in lower salt concentration fermentation on the sauerkraut quality. Food Res. 4: 1038-1044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