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stronomical Field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on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2, 2022년, pp.263 - 272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과 과제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문분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B 대학교 영재원 부설의 초등과학영재반 심화과정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영재반의 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능력과 과제 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총 12차시의 교육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실험처치의 사전과 사후에서 각각 공간지각능력 검사와 과제집착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양적분석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분야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천문분야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과제집착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과제집착력 향상보다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었다.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선발은 지능, 창의성, 과제집착력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였으므로 보다 나은 잠재된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교육프로그램(IEP)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영재교육에서 보다 심층적인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영재의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in the field of astronomy that can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in the advanced course in the e...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32)

  1. 김소영, 변정호, 이일선, 권용주(2013). 과학영재 판별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과제집착력 측정도구 개발. 생물교육, 41(3), 421-434. 

  2. 김형욱, 정소진, 정소리, 문성윤(2018).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연구, 12(1), 37-48. 

  3. 남승인(2003). 수학 퍼즐을 이용한 영재학습 자료의 개발-공간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7, 97-114. 

  4. 문지영, 배진호, 소금현(2014). 과흥분성 조절 전략을 적용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제 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3(3), 536-548. 

  5. 박기수, 유미현(2013).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7(6), 821-829. 

  6. 박미진, 이용섭(2011). 과학영재학생의 학습동기와 과제집착력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4), 961-977. 

  7. 박성선(2012).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8. 신명렬, 이용섭(2011a). 과학영재 학생을 위한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천문학적 공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4), 993-1009. 

  9. 신명렬, 이용섭(2011b). 천문영역의 효과적인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천문학적 공간개념 및 천문학에 대한 태도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9(2), 177-185. 

  10. 신명렬, 이용섭(2013). UCC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4(1), 271-290. 

  11. 유아미, 염시창(2016). 초등학교 수학.과학영재 판별용 과제집착력 검사 개발. 교육연구, 39, 43-60. 

  12. 유주미, 최선영(2018).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취 동기와 과제집착력 비교. 생물교육, 46(3), 390-397. 

  13. 이경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미, 성승민, 장낙한, 여상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9(3), 307-320. 

  15. 이봉우, 심규철, 김희백(2017)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에 관한 과학 교육자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7-24. 

  16. 이용섭, 김순식(2012). 과학기반 STEAM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97-306. 

  17. 이용섭, 신명렬(2013). UCC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4(1), 271-290. 

  18. 장재철, 박경애, 최도영(2018).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활용한 과학 영재 대상 해수면 온도 산출 R&E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2(1), 113-126. 

  19. 장정은, 김성원(2014).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 수준 측정을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57-666. 

  20. 장정은, 정윤숙, 최양희, 김성원(2013).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16. 

  21. 전경필, 강호감(2016). 초등과학영재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교육, 27(4), 165-190. 

  22. 조석희(2000). 영재교육 중장기 종합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 2000~12, 3-30. 

  23. 최미연(2004).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서 남녀 차의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Anderson, J. R. (1993).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2, 261-295. 

  25. Gallagher, J. J. (2002). Society's role in educating gifted students: The role of public policy. Senior Scholars Serie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47. 

  26.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7. Gazzaniga, M. S. (1983). Right Hemisphere language following brain bisection: A twenty year perspective. The American Psychologist, 38, 525-537. 

  28.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29. Han, K. S. (2007).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A look at the ISEP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8(3), 450-463. 

  30. Lubinski, D., & Benbow, C. P. (2006).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after 35 years: Uncovering antecedent for the development of math-science expertis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 316-345. 

  31. Plucker, J. A., Callahan, C. M., & Tomchin, E. M. (1996). Wherefore art thou, multiple intelligences? Alternative assessments for identifying talent in ethnically diverse and low income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0, 81-91. 

  32.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