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구과학 교사의 천체 관측 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arth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6 no.2, 2022년, pp.195 - 211  

엄흥진 (선주고등학교) ,  심현진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5명의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천체 관측 활동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Seidman의 3단계 면담법을 수정하여 개발한 질문지를 제공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의 분석을 거쳐 천체 관측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교사들은 교원양성과정에서 수강한 관측 천문학 실습 강의를 통해 천문학과 관측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 지식을 형성하였고, 교사가 된 이후에는 주로 동료 교사들의 도움을 얻어 실질적으로 천체 관측 활동을 수행하는 요령을 익혔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천체 관측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교사들은 학생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진로에 대한 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고, 따라서 천체 관측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천체 관측 활동은 교사 본인에게도 매우 큰 보람과 만족감을 주는 활동이고, 지구과학 교사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관측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적/외적인 장애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천체 관측 활동을 시도하거나 지속하기 위해서는 내적 장애 요인의 해결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의 연수를 통한 내용적 지원으로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교사 연구회와 같은 동료 집단에서 경험을 공유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meaning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of five earth science teach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providing a questionnaire based on Seidman's three-step process of interview. By analyzing the interview transcrip...

Keyword

참고문헌 (29)

  1. Boo, G., Gil, Y., Sohn, J., & Kim, S. (2013).?Sunspots observation using DSLR and?measuring the differential rotation period.?School Science Journal, 7(3), 182-192. 

  2. Cho, H., Yang, I., Jeong, J., Shin, A., & Sohn, J.?(2008).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students' views about lab-based science?learning. Journal of Korean Elementary?Science Education, 27(2), 117-133. 

  3. Choi, D. (2022). The development of?astronomical observation R&E program?using DSLR for science-gifted student.?School Science Journal, 16(1), 13-28. 

  4. Choi, D., & Ahn, Y. (2021). Development of?design principles for astronomical?obser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authentic inquiry. The Journal of The?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2(6),?752-769. 

  5. Choi, D., & Yoon, M. (2019). The development?of an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program for high school science club?activities: inquiring distances of open?clusters using small telescopes. The?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Society, 40(3), 300-312. 

  6. Colburn, A.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Scope, 23(6), 42-49. 

  7. Corbin, J., Strauss, A., & Strauss, A. (2014).?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Oaks, CA: Sage. 

  8. Creswell, J. (2012). Educational research:?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4th?ed.). Boston, MA: Pearson. 

  9. Eom, H. (2022). A case study of mental model?change through the application of?modeling-based small group activities for?teachers: Focusing on the field of galaxies?and cosmology (Unpublished doctoral?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University, Daegu, Korea. 

  10. Eom, H., & Shim, H. (2019). Measurement of?the rotation period of Jupiter using small?aperture telescope. School Science Journal, 13(2), 119-132. 

  11. Eom, H., Jeong, H., & Shim, H. (2020).?Designing of inquiry program about the?parallax-distance relation for asteroids.?School Science Journal, 14(3), 337-352. 

  12. Furtak, E. (2006). The problem with answers:?An exploration of guided scientific inquiry?teaching. Science Education, 90(3),?453-467. 

  13.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Duquesne University Press. 

  14. Kang, K. (2009). Analysis of difficulties?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Science Education, 29(5), 580-591. 

  15. Kim, H., & Lee, H. (2019). A Phenomenological?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systems thinking-based science teaching?experiences. The Journal of the Korean?Earth Science Society, 40(1), 68-85. 

  16. Ko, M., Kim, E., Heo, J., & Yang, I. (2013).?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inquiry and practice of science?performance assessment. The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Education, 6(2), 124-135. 

  17. Lee, D. (2013).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experiences of school teachers who are on?a sabbatical year. The Journal of Yeolin?Education, 21(2), 1-29. 

  18. Lee, N. (2004). Phenomenology and?Hermeneutics. Seoul: Seoul National?University Press. 

  19. Lee, S., Jhun, Y., Hong, J., Shin, Y., Choi, J., &?Lee, I. (2007). Difficulties experienced by?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Science Education, 26(1), 97-107. 

  20. Lim, S. (2020). Analysis of Teaching Strategies,?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the?Relationship between Inquiry Activities and?Concept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Earth?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Science Education, 39(3), 449-463. 

  21. Lee, Y., Ki, W., Kim, Y., Jeong, W., Yang, S.,?Kang, Y., Ahn, B., Lim, S., Yoon, I., Kim,?J., & Yoon, S. (1997). An Analysis and?survey on the experimental and practical?science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Science Education, 17(4), 435-450. 

  22. Martin, R., Sexton, C., Franklin, T., Gerlovich,?J., & McElroy, D. (2009). Teaching science?for all children: An inquiry approach. Boston, MA: Pearson. 

  23. Merriam, S. (1988). Case Study Research in?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San?Francisco, CA: Jossey-Bass. 

  24. Moote, J. (2019). Investigating the longer-term?impact of the CREST inquiry-based?learning programme on student?self-regulated processes and related?motivations: Views of students and?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49(1), 265-294. 

  25. Park, H. (2013). A study of middle school?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lessons with experiments. Journal of?Science Education, 37(1), 79-86. 

  26.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27. Seidman, I.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28. Sim, J. (2006). Secondary school science?teachers' perceptions about professionality?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experiment. BIOLOGY EDUCATION, 34(1),?27-37. 

  29. Spradley, J. (2016). Participant observation. Salem, WI: Waveland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