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산 발효식품 산업 발전
The history of the fermented fisheries industry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5 no.3, 2022년, pp.284 - 300  

송호수 (영산대학교 조리예술학부) ,  김상무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igenous fermented foods have played a vital role in human history, and continue to offer a multitude of diverse sens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rthenware relic, the fermented fisheries products might be consumed in Korean peninsula from Paleolithic period. The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주제어

참고문헌 (75)

  1. 곽명국, 김호준, 송영선, 공창숙, 서영완. 젓갈 미생물 Bacillus idriensis에서 분리된 Diketopiperazines 및 합성유도체들의 항산화 활성. 한국화학학회지 59: 545-550 (2015) 

  2. 권순성, 김수진, 신혜영, 신일식. 고추냉이무(Armoracia rusticana)에서 추출한 Isothiocyanates (ITCs) 함유 Microcapsule의 명란젓갈 유통기한 연장효과. 한국수산과학회지 52: 349-357 (2019) 

  3. 김소라, 한대원, 임미진, 조순영. 오징어(Todarodes paxificus) 식해 제조시 고춧가루 및 마늘의 발효 최적 첨가량 최적 공정 개발. 한국수산과학회지, 45: 640-647 (2012) 

  4. 권령원, 신명철, 황선웅, 김동환, 이상호, 박진효, 김정균. 유자청을 이용한 고부가 저염멍게젓갈의 제조 및 품질특성. 수산해양교육연구 33(4): 1013-1026 (2021) 

  5. 구재근, 유정희, 박권삼, 김선영. 백합식해 발효 중 생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한국수산과학회지 42: 569-573 (2009) 

  6. 김민태, 손은심, 이애리, 김태환, 박성준. 마늘 첨가량에 따른 무지개 송어두 액젓의 품질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0): 247-254 (2021) 

  7. 김상무. 젓갈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 식품과학과 산업. 53(2), 200-214 (2020) 

  8. 김영명. 젓갈류 산업의 현황과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141: 16-33 (2008) 

  9. 김영명, 김동수. 한국의 젓갈.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0) 

  10. 김우재, 김상무. 발효촉진제로 속성 발효한 까나리 어간장의 화학 및 미생물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5: 447-454 (2003) 

  11. 김재곤, 김경휘, 김민선, 이명현, 김근아, 황인기, 윤성식. 유산균 첨가가 양념젓갈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 Curr. Top. Lact. Acid Bact. Probiotics 7(1): 23-29 (2021) 

  12. 김재현, 류기형, 안현주, 이경행, 이현자. 시판 멸치젓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0: 837-842 (2000) 

  13. 김풍호, 김민지, 김지혜, 이지선, 김기현, 김현정, 전유진, 허민수, 김진수. 멍게(Halocynthia roretzi) 식해 및 조미 멍게의 영양 및 생리활성특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7: 1-11 (2014) 

  14. 남기호, 장미순, 박희연, 곽원주. Thermophilic bacillus로 제조한 속성 도루묵(Arctoscopus japoncus) 액젓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8: 674-680 (2015) 

  15. 문선영, 박은진, 주홍구. 마우스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의 성숙과 사이 토카인 생산에 대한 젓갈 분리균의 효과 연구. 대한수의학회지 54: 139-146 (2014) 

  16. 문유경, 박금순. 키토산 첨가 멸치식해의 품질특성.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2: 221-227 (2017) 

  17. 문채윤, 허문수. 한국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Probiotics의 특징 및 Synbiotics 항균활성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49(4): 552-558 (2021) 

  18. 박우정, 이승환, 이형재. 동해안 특산 수산발효식품에서 분리된 균주의 항균 및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 산업식품공학 21: 88-92 (2017) 

  19. 박종혁, 김상무. 천연숙성 멸치액젓 peptide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7): 1120-1125 (2003) 

  20. 박종혁, 유상권, 김영명, 김동수. Bacillus subtilis JM3 Protease로 제조한 멸치액젓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 600-605 (2006) 

  21. 박혜인, 윤슬기, 장준호, 변지영, 윤복근. 젓갈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LU70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및 글루텐 분해능. 한국식품과학회지 54(2): 203-208 (2022) 

  22. 배만종, 김수정, 조민석, 엄영빈, 배명인. 길경을 첨가한 영덕밥식해의 발효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1: 350-356 (2014) 

  23. 신동민, 김희대, 구재근, 박권삼. 백합(Meretrix meretrix) 식해에서 분리한 Pediococcus pentosaceus SH-10에 의한 병원성 세균의 억제 기작. 한국수산과학회지 45: 600-605 (2012) 

  24. 신명철 권령원 황선웅 김혜정 김동환 이상호 박진효, 김정균. 매실추출물을 이용한 고부가 저염멍게젓갈의 제조 및 품질특성. 수산해양교육연구 33(5): 1065-1079 (2021) 

  25. 심길보, 박큰바위, 윤나영, 안병규, 인정진, 한형구, 이우진. 젓갈류의 원료에 따른 세균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수산과학회지 54(6): 1045-1051 (2021) 

  26. 심길보, 한형구, 안병규, 이우진, 인정진, 송호수. 원료에 따른 젓갈류의 이화학적 성분 및 Biogenic Amine류의 함량 비교. 한국수산과학회지 54(6): 835-840 (2021) 

  27. 양재훈, 이나영. 보리를 이용한 오징어 식해의 초고압처리에 의한 품질 특성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8(3): 336-343 (2021) 

  28. 엄인선, 박권삼. 시판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액젓의 biogenic amines 함량. 한국수산과학회지 48: 883-887 (2015) 

  29. 엄인선, 서정길, 김희대, 박권삼. 국내산 시판 멸치(Engraulis japonicas) 액젓의 품질평가. 한국수산과학회지 51: 667-672 (2018) 

  30. 윤종영, 황근택.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Weissella confusa 균주와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3: 883-889 (2016) 

  31. 윤효선, 박한설, 이미연, 신정규, 조형용. 시판 액젓 및 간장으로부터 짠맛 증진 물질의 생산 가능성 연구. 산업식품공학 19: 139-147 (2015) 

  32. 이강호, 조호성, 이동호, 김민기. 조영제, 서재수, 김동수,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연구-6,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II). 한국수산과학회지 26(4): 330-339 (1993) 

  33. 이경국, 김상무. 저식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품질변화 및 최적 유통기한 설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 687-694 (2012) 

  34. 이계호. 젓갈등속(等屬)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미생물학적 (微生物學的) 및 효소학적(酵素學的) 연구(硏究). 한국농화학회지 11: 1-27 (1969) 

  35. 이명해, 장윤희, 정인학. 양파 첨가 멸치(Engraulis japonicus)액젓의 발효특성. 한국수산과학회지 54(5): 714-723 (2021) 

  36. 이명해, 정인학, 정석태, 장연희. 누룩의 protease 활성이 멸치액젓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53(3): 356-353 (2021) 

  37. 이상수, 김상무, 신일식. 멸치액젓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JM-3의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5(4): 684-689 (2003) 

  38. 이종갑, 최위경. 멸치 젓갈 숙성에 따른 미생물상의 변화에 대하여. 한국수산학회지 7: 105-114 (1974) 

  39. 이철호, 조태숙, 임무현, 강주희, 양한철. 가자미식해에 관한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11: 53-58 (1983) 

  40. 이철호. 동북아 발효문화의 기원에 관한 고찰. 식품과학과 산업. 53: 134-147 (2020) 

  41. 이현진, 오광수. 발효주정 첨가 오만둥이(Styela plicata) 양념젓갈의 제조 및 품질. 한국수산과학회지 54(6): 841-838 (2021) 

  42. 임은서, 김영목, 이은우. 멸치 젓갈로부터 분리된 젖산세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 및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48: 306-316 (2016) 

  43. 장지현. 한국전래 발효식품사 연구. 수학사 (1989) 

  44. 전재호, 김현대, 이홍수, 류병호. 멸치 젓갈로부터 γ-Aminobutyric acid(GABA)를 생성하는 Lactobacillus 속의 분리.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7: 72-79 (2004) 

  45. 전준영, 임영선, 이미향, 김병목, 정인학. Soybean koji와 Rice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액젓의 상온 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변화. 한국수산과학회지 49: 101-108 (2016) 

  46. 젓갈 제조업체 현황. https://blog.naver.com/pdj9125/100016798854. (2005) 

  47. 정승용, 이응호. 새우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9: 79-110 (1976) 

  48. 정용진, 서지형, 박난영. 속성 까나리 액젓의 제조 및 품질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86-89 (2005) 

  49. 조원일, 김상무. 저식염 오징어 식해의 생리활성 및 유통기한 설정. 한국식품과학회지 44: 61-68 (2012) 

  50. 조원일, 송산훈. 활성탄을 이용한 멸치액젓의 탈색공정 및 품질특성. 산업식품공학 22: 35-42 (2018) 

  51. 조현솔, 김태하, 홍선미. 유산균 발효에 의한 흰점박이꽃무지 염장소스제조 및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9): 497-504 (2021) 

  52. 차용준, 이조은, 정은경, 김훈, 이정석. 전통 명태식해의 기능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 559-565 (2002) 

  53. 차용준, 정수열, 하재호, 정인철, 이응호.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3. 저염정어리젓의 미생물상의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16: 211-215 (1983) 

  54. 최준봉, 천희순, 정명수, 조원일. 글리신을 활용한 저염 오징어 및 명란 젓갈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 한국식품과학회지 51: 114-119 (2019) 

  55. 최청, 이희덕, 최희진, 손준호, 김성, 손규목, 차원섭. 경상도 전통마른 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기능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3: 345-352 (2001) 

  56. 한인화, 장효주. 저염 조개젓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밀가루풀 첨가의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32(2): 85-92 (2022) 

  57. 허성호. 젓갈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표준화에 관한 고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0: 885-891 (1996) 

  58. 허진선, 김종복, 조순영, 손기호, 최종원. Scopolamine으로 유발한 치매유도 쥐에 대한 저염 오징어(Todorodes pacificus) 젓갈의 인지 및 기억손상의 개선효과. 한국수산과학회지 47: 195-203 (2014) 

  59. 홍원준, 김상무. 천연식물추출물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품질특성, 유통기한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721-729 (2013) 

  60. 황영숙, 이현진, 황석민, 오광수. 발효주정 첨가 저염 미더덕(Styela clava) 양념젓갈의 제조 및 품질. 한국수산과학회지 54(1); 1-8 (2021) 

  61. 황지영, 장종수, 류대규, 김경태, 허만규, 엄성환. 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추출물 첨가 명란젓의 품질 특성. 한국수산과학회지 52: 193-198 (2019) 

  62. Jeong D.W., Jung G., Lee J.H. Cultivable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of Saeu-jeotgal, a Korean high-salt-fermented seafood, during ripening.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93-302 (2016) 

  63. Kim B.K., Kim Y.H., Lee H.H., Cho Y.J., Kim D.S., Oh S.M., Shim K.B.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of salt-fermented fish sauces produced in Korea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J. Fish. Mar. Sci. Edu. 23: 607-614 (2011) 

  64. Kim H.J., Kim M.J., Turner T.L., Kim B.S., Song K.M., Yi S.H., Lee M.K. Pyrosequencing analysis of microbiota reveals that lactic acid bacteria are dominant in Korean flat fish fermented food, gajamisikhae. Biosci. Biotechnol. Biochem. 78: 1611-1618 (2014) 

  65. Kim J., Baik S.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with high cinnamoyl esterase activity isolated from jeot-gal, a high-salt fermented seafood. Ann. Microbiol. 69: 407-417 (2019) 

  66. Kim J.A., Yao Z., Kim H.J., Kim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acterial communities of meongge (Halocynthia roretzi) jeotgal prepared with 3 different types of salts. J. Microbiol. Biotechnol. 29: 527-537 (2019) 

  67. Opari S. Low sodium intake-cardiovascular health benefit or risk? N. Engl. J. Med. 371: 677-679 (2014) 

  68. Park M.S., Song N.E., Baik S.H., Pae H.O., Park S.H.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i isolated from Jeotgal, a salted fermented seafood, inhibits the development of 2,4-dinitroflu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 in mice. Exp. Ther. Med. 14: 635-641 (2017) 

  69. Park J.E., Oh S.H., Cha Y.S. Lactobacillus plantarum LG42 isolated from gajami sik-hae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 Biomed Res. Int. https://doi.org/10.1155/2013/460927. 1-7 (2013). 

  70. Park J.E., Oh S.H., Cha Y.S. Lactobacillus plantarum LG42 isolated from gajami sik-hae decreases body and fat pad weights in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Microbiol. 116: 145-156 (2014) 

  71. Perumal V., Yao Z., Kim J.A., Kim H.J., Kim J.H.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 BacBS2, produced by Bacillus velezensis BS2 isolated from meongge jeotgal. J. Microbiol. Biotechnol. 29: 1033-1042 (2019) 

  72. Song E.J., Lee E.S., Park S.L., Choi H.J., Roh S.W., Nam Y.D.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in three types of the fermented seafood, jeotgal, produced in South Korea. Biosci. Biotechnol. Biochem. 82: 1444-1454 (2018) 

  73. Sundararaman A., Srinivasan S., Lee J.H., Lee S.S. Virgibacillus jeotgal sp. nov. isolated from Myeolchi-jeotgal, a traditional Korean high-salt-fermented anchovy. Int. J. Syst. Evol. Microbiol. 67: 158-163 (2017) 

  74.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 sodium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2012) 

  75. Yao Z., Kim J.A., Kim J.H.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secreted by Bacillus velezensis BS2 isolated from sea squirt jeotgal. J. Microbiol. Biotechnol. 29: 347-356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