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집중력이 척추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지강도에 의해 조절된 스마트폰 과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ttention on spinal health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moderated by cognitive strength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9 no.3, 2022년, pp.29 - 47  

이진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상우 (대한개인실습물리치료학회) ,  이병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spinal health of adolescents and to find out how cognitive strength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All subjects measured a...

주제어

참고문헌 (52)

  1. 금창민.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proneness)'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2. 김명준. 안정화 운동이 퇴행성디스크 환자의 요부 위치감각 인지력과 불안정 및 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05. 

  3. 김성현.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성인여성의 목 기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2018. 

  4. 김세진, 김교헌. 인터넷 중독 개선을 위한 인지적 접근: 조절실패와 갈망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3;18(3):421-46. 

  5. 김수한, 김고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목뼈 각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4;9(2):141-49. 

  6. 김양곤, 강민혁, 김지원 등.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목뼈 및 허리뼈의 굽힘각도와 목뼈의 재현오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3;20(1):10-7. 

  7. 김지연, 박은지, 유지민 등. 두부전방전위자세에서 두 개척추각과 자세변화에 따른 폐활량의 차이.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44-51. 

  8. 박명섭. 스마트시대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청소년 성의식과 성엳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17. 

  9. 박지선. 청소년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2. 

  10. 신호경, 이민석, 김흥국.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 실증연구-스마트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011;18(3):50-68. 

  11. 안정애, 방현수. 목운동방법이 앞머리자세의 목각도와 주위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9;26(3):57-69. 

  12. 이미희, 이승현. 한방음악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불안과 분노표현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7:30(3):133-41. 

  13. 이수진, 문혁준.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013;22(6):587-98. 

  14. 이양진, 박동천, 김원득 등. 만성 상부승모근 통증 환자의 하부승모근에 적용한 테이핑이 상부승모근 긴장도, 통증, 목뼈 가동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1;28(1):46-33. 

  15. 이용숙. 휴대폰 사용중독이 청소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부통증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2013. 

  16. 이진영.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및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2016. 

  17. 임수현. 동작관찰훈련을 병향한 오타고 운동이 노인의 균형, 보행 및 뇌활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2014. 

  18. 정은혜, 이소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017;28(3):119-46. 

  19. 조영철, 박형규, 장문선 등. 스마트폰 중독 경향집단의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대한주의 편향: 비교맹시 과제를 활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016;28(1):25-43. 

  20. 조현옥.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충동선 및 지각된 스트레스의 차이[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2. 

  21. 조힘찬, 김민지, 김보림 등. 수동적 어깨뼈정렬운동과 유지이완기법이 대학생의 머리척추각(C1~C7)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9;26(2):38-45. 

  22. 황윤태, 박래준. 만성 요통환자에서 부하에 따른 척추기립근 수축 개시시간과 요부 굴곡 각도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2008;12(2):47-62. 

  23. Chiu TT, Hui-Chan CW, Cheing G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ENS and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Clin Rehabil. 2005;19(8):850-60. 

  24. Choliz M. Mobile phone addiction: A point of issue. Addiction. 2010;105(2):373-74. 

  25. Davis RA.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 Human Behav. 2001;17(2):187-195. 

  26. Demirci K, Akgonul M, Akpinar A.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 Behav Addict. 2015;4(2):85-92. 

  27. Dennis JP, Vander Wal JS.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 Thera Res. 2010;34(3):241-53. 

  28. Diamond LM, Aspinwall LG. Emotion regulation across the life span: An integrative perspective emphasizing self-regulation, positive affect, and dyadic processes. Motiv Emot. 2003;27(2):125-56. 

  29. Diamonte M, Ricchiuto G.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i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 2006;58(4):357-63. 

  30. Dimitriadis SI, Laskaris NA, Simos PG, et al. Altered temporal correlations in resting-state connectivity fluctuations i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detected via MEG. Neuroimage. 2013;83:307-17. 

  31. Dolan KJ, Green A. Lumbar spine reposition sense: the effect of a 'slouched'posture. Man Ther. 2006;11(3): 202-7. 

  32. Greig AM, Straker LM, Briggs AM. Cervical erector spinae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in children using different information technologies. Physiotherapy. 2005;91(2):119-26. 

  33. Gross JJ, John OP.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 Per Soc Psychol. 2003;85(2):348. 

  34. Halsband U, Ito N, Tanji J, et al. The of premotor cortex and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in the temporal control of movement in man. Brain. 1993;116(1):243-66. 

  35. Hayes AF.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015;50:1-22. 

  36. Hayes AF, Matthas J. Computational procedures for probing interactions in OLS and logistic regression: SPSS and SAS implementations. Behav Res Methods. 2009;41(3):924-36. 

  37. Hayes A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3. 

  38. Jang JS, Lee SH, Min JH, et al. Surgical treatment of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due to sagittal imbalance. Spine(phila pa 1976). 2007:32:3081-87. 

  39. Khoury JM, De Freitas AAC, Roque MAV, et al..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a new tool for the screening of smartphone addiction. PLoS One. 2017:12(5). 

  40. Kwon M, Kim DJ, Cho H, et al.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 version for adolescents. PLos One. 2013:8(12);e83558. 

  41. Lee U, Lee J, Ko M, et al. Hooked on smartphones: an exploratory study on smartphone overuse among college students.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14:2327-36. 

  42. MacDougall JD, Wenger HA, Green HJ. Physiologica ltesting of the high-performance athlete: Champaign, Ill.: Human Kinetics Books; 1991. 

  4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Results of a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2018. 

  44. Oulasvirta A, Rattenbury T, Ma L, et al. Habit make smartphone use more pervasive. Pers Ubiquitous Comput 2012;16:105-14. 

  45. Park JH, Cho CB, Song JH, et al. T1 slope and cervical sagittal alignment on cervical CT radiographs of asymptomatic persons. J Korean Neurosurg Soc. 2013:53(6):356-9 

  46. Shin Ga, Zhu X. User discomfort, work posture and muscle activity while using a touchscreen in a desktop PC setting. Ergonomics. 2011;54(8):733-44. 

  47. Silva AG, Punt TD, Sharples P, et al. Head posture and neck pain of chronic nontraumatic origin: a comparison between patients and pain-free persons. Arch Phys Med Rehabil. 2009; 90(4):669-74. 

  48. Straker L, Coleman J, Skoss R, et al. A comparison of posture and muscle activity during tablet computer, desktop computer and paper use by young children. Ergonomics. 2008;51(4):540-55. 

  49. Szeto GP, Lee R. An ergonomic evaluation comparing desktop, notebook, and subnotebook computers. AArch Phys Med Rehabil. 2002;83(4):527-32. 

  50. Tiffany ST, Conklin CA. A 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alcohol craving and compulsive alcohol use. Addiction. 2000;95(8s2):145-53. 

  51. Witkiewitz K, Marlatt GA, Walker D. Mindfulness-based relapse prevention for alcohol and substance use disorders. J Cogn Psychother. 2005;19(3):211. 

  52. Zhang MW, Ho RC. Tapping onto the Potential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Psycho-Edu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in Addictions. Front Psychiatry. 2016;7: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