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계열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청라 국제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itigation Plan of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Using Landsat Time Series Imagery - Focusing on Cheongna International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5 no.3, 2022년, pp.1 - 16  

백선욱 (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김동현 (인하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구본엽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솔루션센터) ,  정윤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척사업을 통해 개발된 지역은 농지 및 도심지 개발 등과 같은 용지 공급 측면에서 경제적 효용가치가 크지만, 내륙에 위치하는 대도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초지 면적이 적고 건물이 밀집되어 있다는 특성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간척사업을 통해 개발된 지역에서는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도시 열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간척사업을 통해 개발된 청라 국제도시는 도시 열섬 현상이 심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사업 이후 농경지 기간(2001-2008년), 개발정비 기간(2009-2013년), 인공초지조성 기간(2014-2020년)으로 분류하여 청라 국제도시의 도시 열섬 현상을 평가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토지 피복도와 시계열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청라 국제도시에서 시가화 지역과 초지/산림지역의 지표면 온도 차이를 산정하였다. 시가화 지역과 초지/산림지역의 지표면 온도 차이는 농경지 기간 동안 최대 +1.05℃로 산출되었고, 개발정비 기간 동안 최대 +3.60℃로 산출되었으며, 인공초지 조성 기간 동안 최대 +2.51℃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척사업이 진행된 청라 국제도시에서 시가화 지역 면적이 증가할 때 도시 열섬 현상이 증가되며, 인공초지 면적이 증가할 때 도시 열섬 현상이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도시계획에 있어 도시 열섬 현상 문제를 파악하고 저감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eas developed through land reclamation projects have huge economic advantages in terms of supplying lands that can be used for farmlands, urban areas and etc., however have relatively small areas of grasslands and densely located buildings compared to inland cities. Hence, an urban heat island is ...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32)

  1. Ahn, J.S., J.D. Hwang, M.H. Park and Y.S. Suh. 2012. Estimation of urban heat island potential based on land cover type in Busan using Landsat-7 ETM+ and AWS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 65-77 (안지숙, 황재동, 박명희, 서영상. 2012. Landsat-7 ETM+ 영상과 AWS 자료를 이용한 부산의 토지피복에 따른 여름철 도시열 섬포텐셜 산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 65-77). 

  2. Cho, H.S., Y.J. Jung and M.J. Choi. 2014. Effects of the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2(2):27-43 (조희선, 정유진, 최막중. 2014. 도시공간특성이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22(2):27-43). 

  3. Je, M.H. and S.H. Jung. 2018.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alysis by landuse typ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1):1-12 (제민희, 정승현. 2018. 토지이용 유형별 도시열섬강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1):1-12). 

  4. Jee, J.B., B.Y. Kim, I.S. Zo, K.T. Lee and Y.J. Choi. 2016. Retrieval of land surface temperature based on high resolution landsat 8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171-183 (지준범, 김부요, 조일성, 이규태, 최영진. 2016. 고해상도 Landsat 8 위성자료기반의 지표면 온도 산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2):171-183). 

  5. Jo, H.K. and T.W. Ahn. 1999.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4):23-28 (조현길, 안태원. 1999. 도시녹지에 의한 미기후개선의 기능. 한국조경학회지 27(4):23-28). 

  6. Jo, M.H., K.J. Lee, W.S. Kim. 2001.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urban surface temperature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GI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1):57-66 (조명희, 이광재, 김운수. 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57-66). 

  7. Jung, G.S., S. Koo, and H.H. Yoo. 2011. Temperature change analysis for land use zoning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9(2):55-61 (정길섭, 구슬, 유환희. 2011. Landsat위성영상에 의한 용도지역 온도변화분석. 대한공간정보학회지 19(2):55-61). 

  8. Karnieli, A., N. Agam, R.T. Pinker, M. Anderson, M.L. Imhoff, G.G. Gutman, N. Panov and A. Goldberg. 2010. Use of 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for drought assessment: merits and limitations. Journal of Climate 23(3):618-633. 

  9. Kim, G.H., Y.G. Lee, J.H. Kim, H.W. Choi and B.J. Kim. 2018. Analysis of the cooling effects in urban green areas using the Landsat 8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167-178 (김근회, 이영곤, 김재환, 최희욱, 김백조. 2018. Landsat 8 위성자료를 이용한 도심녹지 냉각효과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4(2):167-178). 

  10. Kim, H.O. and J.M. Yeom. 2012.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2):203-214 (김현옥, 염종민. 2012.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2):203-214). 

  11. Kim, J.S., D.K. Lee, S.Y. Sung, S.G. Jeong and J.H. Park. 2015. Study of vulnerable district characteristics on urban heat island according to land use using normalized index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residential district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5):59-72 (김준식, 이동근, 성선용, 정승규, 박종훈. 2015. 정규화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열섬 취약지특성분석 - 대구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국토계획 50(5):59-72). 

  12. Kim, K., H.S. Kim, Y.H. Kwon, I.S. Park and Y.-J. Choung. 2022. Analysis of changes i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ree planting campaign to reduce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5(1):16-27(김경훈, 김형수, 권용하, 박인선, 정윤재. 2022.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나무심기운동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 분석-구미시를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1):16-27). 

  13. Kim, M.K., S.P. Kim, N.H. Kim and H.G. Sohn. 2014. Urbanization and urban heat island analysis using LANDSAT imagery: Sejong city as 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3):1033-1041 (김미경, 김상필, 김남훈, 손홍규. 2014.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화와 열섬현상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34(3):1033-1041). 

  14. Kim, S.B., G.H. Kim and J.H. Cho. 2001.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and potential mitigation strategies. Journal of Nakdong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6:63-89 (김수봉, 김기호, 조진희. 2001. 도시열섬현상의 원인과 대책. 환경과학논집 6:63-89). 

  15. Kim, S.B., E.H. Jung and G.H. Kim. 2006. Analysis of street trees and heat island mosaic in Jung-gu, Daegu.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5(4): 325-332 (김수봉, 정응호, 김기호. 2006.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 모자이크 현황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5(4):325-332). 

  16. Kim, T.H., W.H. Lee and Y.K. Han. 2018. Analysis of thermal heat island potential by urbanization using Landsat-8 timeseries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6(4): 305-316 (김태헌, 이원희, 한유경. 2018. Landsat-8 시계열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심지 확장에 따른 열섬포텐셜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36(4):305-316). 

  17. Kim, Y.J., D.H. Kang and K.H. Ahn. 2011.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island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s in Seoul, and alternative urban design approaches for their improvement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3):5 -14 (김용진, 강동화, 안건혁. 2011.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3):5-14). 

  18. Kong, H.Y., S.H. Kim and H.G. Cho. 2016. Effect of land use on urban thermal environments in Incheon,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4):315- 321 (공학양, 김석현, 조형진. 2016. 인천시에서 토지이용이 도시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4):315-321). 

  19. Lee, K.G. and W.H. Hong. 2008. A study on the urban heat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and alleviation pl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 (9):253-260 (이강국, 홍원화. 2008. 도시 열환경 유형 분석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4(9):253-260). 

  20. Lee, S.I., C.S. Lee, J.G. Cho and Y.S. Choi. 2003. Mapping of land cover map using satellite imagery data -Focusing 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and cover map (Level II)-.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Conference 2003:629-636 

  21. Lee, W.S., S.G. Jung, K.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142-15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 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22. Oh, K.S. and J.J. Hong.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6(1):47-63 (오규식, 홍재주. 2005. 도시 열환경 유형 분석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6(1):47-63). 

  23. Oh, K.Y., M.J. Lee and W.Y. No.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system -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y ministry of environment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105-118 (오관영, 이명진, 노우영. 2016. 세분류 토지피복도 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32(2):105-118). 

  24. Park, J.H., J.S. Kim and S.I. Na. 2006.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at Cheongju region using landsat images in summer d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5):39-48 (박종화, 김진수, 나상일. 2006.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여름철 청주지역의 토지피복과 지표면온도와의 관계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48(5):39-48). 

  25. Park, J.J., C.Y. Ku and B.S. Kim. 2007. Improvement of the level-2 land cover map with satellite imag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5(1):67-80 (박정재, 구자용, 김병선. 2007. 위성영상을 이용한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제작과정 개선. 한국 GIS 학회지 15(1):67-80). 

  26. Park, J.K. 2010. Change detection of vegetation using Landsat image - Focused on Daejeo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8(2):239-246 (박준규. 2010.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식생의 변화 탐지-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지 28(2):239-246). 

  27. Park, K.H. and S.G. Jung. 1999. Analysis on urban heat island effects for the metropolitan green spac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35-45 (박경훈, 정성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35-45). 

  28. Quan, H.C. and B.G. Lee. 2009.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ST and NDVI using Landsat TM images on the city area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7(4): 39-44 (권혁춘, 이병걸. 2009.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제주도 도심지역 지표면 온도분포와 식생지수의 상관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4):39-44). 

  29. So, Y.Y., S.J. Lee, S.W. Choi and S.J. Lee. 2020. Construction of NCAM-LAMP precipitation and soil moisture database to support landslide predi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2(3):152-163 (소윤영, 이수정, 최성원, 이승재. 2020. 산사태 예측을 위한 NCAMLAMP 강수 및 토양수분 DB 구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2(3):152-163). 

  30. Suh, E.C. 2007. A study on the mitigation policies for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7(2):17-23 (서응철. 2007.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제도개선.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7(2):17-23). 

  31. Yoon, M.H. and T.M. Ahn. 2009. An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o visualize the effects of urban green areas on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46-53 (윤민호, 안동만. 2009.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3):46-53). 

  32. Yun, H.C., M.G. Kim and K.Y. Jung. 2013. Analysis of temperature change by forest growth for mitigation of the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1(2):143-150 (윤희천, 김민규, 정갑용. 2013.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녹지증가에 따른 온도변화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31(2):143-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