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9, 2022년, pp.412 - 425  

이슬기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이희경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1명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식행동의 치료에 있어 자기자비의 실제적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binge eating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To validify this hypothesis, 441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measured self-compassion, negative affect, negative urg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자기자비는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폭식행동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폭식과 관련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초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련성을 밝히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두 변인 사이의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그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폭식 행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이 순차적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보다 명확히 검증하기 위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를 반영하는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보다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그동안의 연구에서 폭식행동의 위험요인으로 밝혀진 부정정서 및 부정 긴급성을 매개요인으로써 고려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자기자비는 부정정서로 유발된 충동적 행동 경향성을 낮춤으로써 폭식행동을 낮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자기자비는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폭식행동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폭식과 관련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초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련성을 밝히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두 변인 사이의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그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폭식 행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건강보험통계연보, 2021.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3. 강중근, 김영완, 배상민, 김율리, "신경성 폭식증 환자에서의 신체적 이상," 신경정신의학, 제52권, 제5호, pp.365-371, 2013. 

  4. E. Stice, J. D. Killen, C. Hayward, and C. B.Taylor, "Age of Onset for Binge Eating and Purging During Late Adolescence: A 4-Year Survival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7, No.4, pp.671-675, 1998. 

  5. C. M. Deaver, R. G. Miltenberger, J. Smyth, A. Meidinger, and R. Crosby, "An evaluation of affect and binge eating," Behavior Modification, Vol.27, pp.578-599, 2003. 

  6. J. M. Lavender, L. M. Utzinger, L. Cao, S. A. Wonderlich, S. G. Engel, J. E. Mitchell, and R. D. Crosby,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negative affect, binge eating, and purg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women with bulimia nervos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25, pp.381-386, 2016. 

  7. 고혜민,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지지,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 R. Warren, E. Smeets, and K. D. Neff, "Self-criticism and self-compassion: Risk and resilience for psychopathology," Current Psychiatry, Vol.15, No.12, pp.18-32, 2016. 

  9. T. D. Braun, C. L. Park, and A. Gorin, "Self-compassion, body image, and disordered eat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BODY IMAGE, Vol.17, pp.117-131, 2016. 

  10. P. Gilbert, Compassion focused therapy: The CBT distinctive features series, New York: Routledge, 2010. 

  11. K. D. Neff,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Vol.2, No.2, pp.85-102, 2003. 

  12. K. D. Nef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Vol.2, No.3, pp.223-250, 2003. 

  13. 오정화, 다이어트 중인 여자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4. 소주원, 여대생의 거부민감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15. 박초롱, 조용래, "폭식 경향이 있는 젊은 여자 성인들 에 대한 자기자비 함양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치료, 제20권, 제1호, pp.1-26, 2020. 

  16. 이신혜, 조용래, "자기 자비 부족이 여자 청소년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제: 신체 불만족, 섭식 절제 및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4권, 제1호, pp.103-121, 2014. 

  17. W. S. Agras and C. F. Telch, "The effects of caloric deprivation and negative affect on binge eating in obese binge-eating disordered women," Behavior Therapy, Vol.29, No.3, pp.491-503, 1998. 

  18. L. Serpell, R. Amey, and S. K. Kamboj, "The role of self-compassion and self-criticism in binge eating behaviour," Appetite, Vol.144. pp.1-10, 2020. 

  19. 이수진, 장혜인, "부정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이 고위험 여자대학생의 신경성 폭식 증상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38권, 제1호, pp.13-28, 2019. 

  20. M. A. Cyders and G. T. Smith, "Emotion-based dispositions to rash action: Positive and negative urgency," Psychological Bulletin, Vol.34, No.6, pp.807-828, 2008. 

  21. M. D. Anestis, E. A. Selby, and T. E. Joiner, "The role of urgency in maladaptive behavio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5, No.12, pp.3018-3029, 2007. 

  22. 전주리, 정서조급성과 폭식행동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3. 임선영, 부정 긴급성,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곤란이폭식과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차원적 충동성 이론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4. S. E. Racine, P. K. Keel, S. A. Burt, C. L. Sisk, M. Neale, S. Boker, and K. L. Klump,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dysregulated eating: Etiologic associations and the role of negative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22, No.2, pp.433-444, 2013. 

  25. N. T. Van Dam, S. C. Sheppard, P. Forsyth, and M. Earleywine, "Self-compassion is a better predictor than mindfulness of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 Vol.25, No.1, pp.123-130, 2011. 

  26. 오혜진, 최희철, "비합리적 신념, 자기자비, 우울의 단기 종단적 상호관계," 상담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3-39, 2018. 

  27. 박채연,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慈悲)의 매개 효과," 한국명상학회지, 제9권, 제1호, pp.35-55, 2019. 

  28. 문은주, 최해연,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1호, pp.1-16, 2015. 

  29. 조용래, 노상선, "자기자비 대 주의분산 처치와 특질 자기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3호, pp.707-726, 2011. 

  30. M. R. Leary, E. B. Tate, A. B. Allen, and J. Hancock,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5, pp.887-904, 2007. 

  31. K. D. Neff,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 be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5, No.1, pp.1-12, 2011. 

  32. P. Gilbert and S. Procter,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Vol.13, No.6, pp.353-379, 2006. 

  33. K. D. Neff, Y. Hseih, and K. Dejitthirat,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Self and Identity, Vol.4, No.3, pp.263-287, 2005. 

  34. 박세란, 이훈진,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3호, pp.583-611, 2015. 

  35. S. C. Hayes, K. G. Wilson, E. V. Gifford, R. Bissett, M. Piasecki, S. V. Batten, M. Byrd, and J. Gregg, "A preliminary trial of twelve-step facilitation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with poly substance-abusing methadone-maintained opiate addicts," Behavior Therapy, Vol.35, No.4, pp.667-688, 2004. 

  36. 박나혜, 자기초점적주의와 폭식행동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고성인, 신체불만족이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 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8. E. Stice, "A prospective test of the dual-pathway model of bulimic pathology: Mediating effects of dieting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0, No.1, pp.124-135, 2001. 

  39. D. Watson, L. A. Clark, and A. Telleg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No.6, pp.1063-1070, 1988. 

  40. C. P. Herman and J. Polivy, "A boundary model for the regulation of eating," Research Publications-Association for Research in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62, pp.141-156, 1984. 

  41. T. F. Heatherton and R. F. Baumeister,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10, No.1, pp.86-108, 1991. 

  42. J. R. Fox and K. Froom, "Eating disorders: A basic emotion perspective,"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Vol.16, No.4, pp.328-335, 2009. 

  43. P. Gilbert and S. Procter,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Vol.13, No.6, pp.353-379, 2006. 

  44. G. R. Leon, P. K. Keel, K. L. Klump, and J. A. Fulkerson, "The future of risk factor research in understanding the etiology of eating disorders," Psychopharmacology Bulletin, Vol.33, No.3, pp.405-411, 1997. 

  45. E. Stice, D. Akutagawa, A. Gaggar, and W. S. Agras, "Negative affect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dieting and binge ea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27, No.2, pp.218-229, 2000. 

  46. S. Fischer, K. G. Anderson, and G. T. Smith, "Coping with distress by eating or drinking: Role of trait urgency and expectancie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Vol.18, No.3, pp.269-274, 2004. 

  47. L. Claes, W. Vandereycken, and H. Vertommen, "Impulsivity-related traits in eating disorder pati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9, No.4, pp.739-749, 2005. 

  48. K. A. Karyadi and K. M. King, "Urgency and negative emotions: Evidence for moderation on negative alcohol consequenc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1, No.5, pp.635-640, 2011. 

  49. 변지애, 이주영, "긍정 및 부정 정서가 남녀 고등학생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다차원적 충동성 (UPPS-P)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5권, 제4호, pp.784-796, 2016. 

  50. M. A. Cyders and A. Coskunpinar, "Depression, impulsivity and health-related disability: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45, pp.679-682, 2011. 

  51. K. Davis-Becker, C. Peterson, and S. Fischer, "The relationship of trait negative urgency and negative affect to disordered eating in men and wom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6, pp.9-14, 2014. 

  52. R. D. Pang, L. Farrahi, S. Glazier, S. Sussman, and A. M. Leventhal, "Depressive symptoms, negative urgency and substance use initiation in adolescent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Vol.144, pp.225-230, 2014. 

  53. J. M. Lavender, D. Green, M. D. Anestis, M. T. Tull, and K. L. Gratz, "Negative affect, negative urgency, thought suppression, and bulimic symptoms: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in a sample at-risk for bulimic symptoms,"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Vol.23, No.3, pp.246-250, 2015. 

  54. 이수진, 장혜인, "부적응적 완벽주의, 부정정서, 부정적 긴급성이 여자 대학생의 신경성 폭식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6권, 제2호, pp.192-205, 2017. 

  55. M. A. Cyders and G. T. Smith, "Mood-based rash action and its components: Positive and negative urgenc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No.4, pp.839-850, 2007. 

  56. M. M. Linehan,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1993. 

  57. 박우리, 부정 정서조급성과 고통 감내력이 섭식통제 상실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8.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4호, pp.1023-1044, 2008. 

  59.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4호, pp.935-946, 2003. 

  60. S. P. Whiteside and D. R. Lynam, "The Five Factor Model and Impulsivity: Using a structural model of personality to understand impulsiv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4, pp.669-689, 2001. 

  61. 임선영, 이영호,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3권, 제1호, pp.51-71, 2014. 

  62. M. C. Smith and M. H. Thel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 for bulimia,"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Vol.52, No.5, p.863, 1984. 

  63. M. H. Thelen, J. Farmer, S. Wonderlich, and M. Smith, "A revision of the Bulimia Test: The BULIT-R," Psychological Assessment, Vol.3, No.1, pp.119-124, 1991. 

  64. 윤화영, 여대생의 폭식행동, 우울 및 귀인 양식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65.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The Gildford Press, 2011. 

  66.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6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68. M. Mantzio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ry and Impulsivity in Military Recruits: The Role of Mindfulness and Self? compassion as Potential Mediators," Stress and Health, Vol.30, No.5, pp.397-404, 2014. 

  69. R. F. Baumeister, E. Bratslavsky, M. Muraven, and D. M. Tice, "Ego depletion: Is the active self a limited resour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No.5, pp.1252-1265, 1998. 

  70. K. A. Loth, A. B. Goldschmidt, S. A. Wonderlich, J. M. Lavender, D. Neumark-Sztainer, and K. D. Vohs, "Could the resource depletion model of self-control help the field to better understand momentary processes that lead to binge ea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49, No.11, pp.998-1001, 2016. 

  71. 문하솜, 이수진, 장혜인, "신경성 폭식증 고위험 여자대학생의 신경성 폭식증 증상과 우울 증상 간 종단적 상호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40권, 제3호, pp.45-257, 2021. 

  72. E. Stice and W. S. Agras, "Subtyping bulimic women along dietary restraint and negative affect dimens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7, No.4, pp.460-469, 1999. 

  73. 이미현, 채규만, "부정적 정서와 폭식행동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제12권, 제2호, pp.129-144, 2012. 

  74.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75.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21세기사, 2015. 

  76. 양민정,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우울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7. M. K. Nock, "self-injury,"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6, pp.339-363, 2010. 

  78. R. H. Morley,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Impulsivity Provoked by a Reduction in Self-Esteem," CURRENT PSYCHOLOGY, Vol.38, No.6, pp.1662-1667, 2017. 

  79. R. S. Landis, D. J. Beal, and P. E. Tesluk,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forming composite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 Vol.3, pp.186-207, 2000. 

  80.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 Mplus 예제와 함께, 학지사, 2016. 

  81.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