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인 빈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근로여부별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Income Maintenance Influencing Elderly Poverty : Focusing on Comparing Working Status Group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9, 2022년, pp.689 - 699  

권혁창 (경상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장성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노인 빈곤 영향요인에 관해 근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7차~16차 자료를 바탕으로 패널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경제, 건강변수를 통제하더라도, 노후소득보장제도 중 국민연금 수급액과 특수직역 연금 수급액은 노인 빈곤과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기초연금 수급액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액은 노인 빈곤과 긍정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이 근로를 하는 경우 탈빈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빈곤완화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초연금제도의 재구축이 필요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노인일자리 정책과의 결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전반적인 노인빈곤을 완화하기 위해 기초연금, 퇴직연금을 포함한 다층노후소득보장체제의 재구축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overty in the elderly under the income maintenance, focusing on labor. Accordingly, a Panel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7th to 16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if dem...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제도가 성숙하지 못한 한국적 상황 속에서 65세 이상 75세 미만 초기고령층의 노후소득보장제도와 노인빈곤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노후소득보장제도가 노인의 빈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근로유무별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노후소득보장제도 요인은 무엇인가?”를 주된 연구질문으로 설정한다.
  • 2022년 20대 대통령선거과정에서 공적 연금개혁이 다시 중요한 정책 이슈로 등장했으며, 최근 3월 대통령으로 당선된 윤석열은 기초연금을 10만원 인상하여 매월 40만원을 지급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노후소득보장제도와 노인 빈곤 간의 관계를 주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건복지부, "노인층(65세 이상) 연금수급률 47%, 연간수급액 710만원으로 나타나," 보도자료(211229), 2021. 

  2.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사, 2021. 

  3. 보건복지부,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21. 

  4. 손병돈, "한국 노후 소득보장제도의 소득보장효과 분석: 최저생활보장과 적용대상의 포괄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7-28, 2012. 

  5. 김환준,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 분석,"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3호, pp.5-28, 2017. 

  6. 석상훈, 김헌수,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생애근로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5권, 제3호, pp.99-124, 2012. 

  7. 장현주, "공적연금제도의 노후빈곤 완화효과: 국민연금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3권, 제4호, pp.265-286, 2013. 

  8. 황명진, "독거노인빈곤 결정요인 연구: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분석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51-358, 2016. 

  9. 박미영,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노인빈곤 결정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7호, pp.63-69, 2018. 

  10. 최현수, 류연규. "우리나라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3권, 제3호, pp.143-160, 2003. 

  11. 홍백의, "우리나라 노인 빈곤의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4호, pp.275-290, 2005. 

  12. 최옥금,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1호, pp.5-25, 2007. 

  13. 유경근, 곽종형, "대도시 노인빈곤층 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경영연구, 제1권, 제1호, pp.91-107, 2014. 

  14. 이주미, 김태완,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 및 자산빈곤 실태와 정책방안."보건복지포럼, 제6호, pp.64-73, 2014. 

  15. 최희경, "빈곤 여성 노인의 생애와 빈곤 형성 분석. 노인복지연구,"제27권, pp.147-174, 2005. 

  16. R. V. Burkhauser and T. M. Smeeding, Social Security Reform: A Budget Neutral Approach to Reducing Older, Women's Disproportional Risk of Poverty, 1994. 

  17. 채구묵, "빈곤진입 영향요인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2호, pp.293-317, 2015. 

  18. 신혜리, 남승희, 이다미,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17-138, 2014. 

  19. 홍경준, "빈곤에 대한 동태적 분석: 빈곤주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24권, pp.187-210, 2004. 

  20. 이상진, 김윤정. "노인의 빈곤지위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및 사회적 건강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8권, 제12호, pp.771-779, 2018. 

  21. 함재봉, 손경희,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빈곤과 노인복지정책: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22권, 제3호, pp.135-151, 2020. 

  22. 백은령, 노승현. "장애노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3호, pp.81-108, 2012. 

  23. 국민연금공단, 2020년 제33호 국민연금통계연보, 국민연금연구원, 2020. 

  24. 김상호, "기초연금, 국민연금 및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7권, 제4호, pp.41-64, 2021. 

  25. 유병남, 정영득, "사학연금 수급자의 기초연금 선택적용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eachers' Pension, 제5권, pp.137-190, 2020. 

  26. 여유진, 김미곤, 김문길, 정재훈, 홍경준, 송치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재산의 소득환 산제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7. 권문일, "국민연금제도의 빈곤 완화 기대효과," 사회복지정책, 제18권, pp.291-315, 2004. 

  28. 김대철, "국민연금제도의 노후빈곤 완화 효과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3호, pp.251-275, 2007. 

  29. 백화종, 강성호, "연금제도 성숙시점에서의 노인빈곤율 추정과 국민연금의 빈곤 개선효과,"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4호, pp.247-272, 2011. 

  30. 오신휘, 정창률, "국민연금 개혁에 따른 공적연금의 노후소득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중기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1호, pp.1-22, 2012. 

  31. 우해봉, 한정림,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4호, pp.161-185, 2015. 

  32. 석상훈,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감소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0권, pp.335-352, 2010. 

  33. 강성호, 최옥금, "기초노령연금의 탈빈곤 효과 및 계층별 소득보장 효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제17권, 제2호, pp.43-71, 2010. 

  34. 석재은, 신동균, 이기주, "기초연금 도입의 정책효과와 젠더불평등 개선," 페미니즘 연구, 제15권, 제2호, pp.205-236, 2015. 

  35. 임완섭, "기초연금의 빈곤 감소효과 분석," 보건복지포럼, 제6호, 2016. 

  36. 김연명, 한신실, "빈곤완화 효과를 통해서 본 기초연금의 정책목표 설정," 한국사회정책, 제24권, 제4호, pp.89-112, 2017. 

  37.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 에 미치는 효과," 비판사회정책, 제54권, 제1호, pp.120-159, 2017. 

  38. 남상호, "기초연금 지급액 확대가 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20권, 제1호, pp.143-177, 2018. 

  39. 이채정, 탁현우, "기초연금 도입이 노인가구의 빈곤격차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2권, 제2호, pp.25-52, 2018. 

  40. 허수정, 박희란, "기초연금 제도 변화에 따른 빈곤감소 및 소득불평등 정도 완화에 대한 효과성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9권, 제3호, pp.179-200, 2018. 

  41. 박명호, 박대근, "기초연금제도가 소득분배 및 빈곤에 미치는 효과: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한 분석," 재정학연구, 제12권, 제2호, pp.41-63, 2019. 

  42. 김안나,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267-274, 2021. 

  43. 권혁창, 조혜정,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상태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2호, pp.160-191, 2019. 

  44. 김교성, 김성욱, 이정면, 노혜진. "빈곤의 측정과 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9권, pp.297-320, 2008. 

  45. 김혜진, "고령층의 국민연금 수급과 경제활동참여 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3호, pp.193-213, 2018. 

  46. 권혁창, 박주완. "국민연금 수급과 고령자 노동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4호, pp.1-21, 2017. 

  47. 민인식, 최필선, STATA 패널데이터분석, 파주: 지필미디어, 2019. 

  48. 권혁창,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과 고령자 노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지역별 비교," 사회복지정책, 제48권, 제1호, pp.39-62, 2021. 

  49. 관계부처합동,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2021~2023), 세종: 관계부처합동, 2020. 

  50. 이태진, 이원진, 오욱찬, 김성아, 여유진, 구인회, 김미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효과 분석-시행20년의 변화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