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y Related to Disaster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3 no.3, 2022년, pp.215 - 240  

이연옥 (부산대학교 BK21 생활밀착형정보서비스 전문인력교육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들의 인지도는 과반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지역사회 재난 발생 시 관련 역할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며, 역할의 유익성에 대한 평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재난 관련 도서관의 세부 역할 중 이재민을 위한 심리 정서적 지원, 재난 지원 기관과의 협력, 재난 대피소 및 보호소 역할, 재난 관련 정보서비스, 주민의 재난 경험 아카이빙, 아웃리치서비스, 지역사회 지원 등의 순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재난으로 스트레스 및 상처를 받은 지역주민을 위해 심리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도서관역할의 필요성과 유익성 측면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사서직급과 소속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 개발 및 이행을 위한 주요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related to disast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librarian. The survey is composed of 34 questions, including the questions asking librarians' perceptions about the ro...

주제어

참고문헌 (28)

  1. Bae, Kyung Jae & Chung, Dahee (2021). Analysis of manuals and mission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1), 231-249. 

  2. Kim, Sungwon (2020).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library service in the situation of infectious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2), 247-267. 

  3. Kim, Po-Ok (2006).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ountermeasure plan for the disaster protection in public 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4), 85-110. UCI: G704-000226.2006.40.4.011 

  4. Lee, Jung-Soo, Kim, Tae-Kyung, Kim, Bo-Il, & Chung, Jae-Hee (2016). Development of a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77-100. DOI: 10.4275/KSLIS.2016.50.2.077 

  5. Lee, Sangbaek (2019). The study of key elements to establish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1), 101-119. DOI: 10.14699/kbiblia.2019.30.1.101 

  6. Lee, Yeon-Ok (2010). A study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es of North Americ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51-76. DOI: 10.16981/kliss.41.1.201003.51 

  7. Noh, Younghee & Chang, Rosa (2020).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about the response to the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7(3), 203-219. DOI: 10.3743/KOSIM.2020.37.3.203 

  8. Noh, Younghee, Kang, Pil Soo, & Kim, Yoon-Jeong (2020). A study on the activation measures of library's online services to overcome COVID-19.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4), 185-210. DOI: 10.16981/kliss.51.4.202012.185 

  9. Noh, Younghee & Ro, Ji-Yoon (2020).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as evacuation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2), 55-77. DOI: 10.16981/kliss.51.2.202006.55 

  10. Park, Tae-Yeon & Oh, Hyo-Jung (2020). A study on library service in the Post-COVID Era through issues on medi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3), 251-279. DOI: 10.16981/kliss.51.3.202009.251 

  11. Seoul Public Library Association & Gyeonggi Librarians Association (2020). Considering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a disaster situation. Proceedings of the 2020 National Library Conference Librarian Relay Discussion. 

  12. Alajmi, B. (2016). When the Nation is in crisis: libraries respond. Library Management, 37(8/9), 465-481. 

  13. Bishop, B. & Veil, S. (2013). Public libraries as post-crisis information hubs. Public Library Quarterly, 32(1), 33-45. DOI: 10.1080/01616846.2013.760390 

  14. Echezona, R. (2007). The role of libraries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conflict resolution, peace, promotion and reconciliation. African Journal of Library, Archives and Information Science, 17(2), 143-152. 

  15. Featherstone, R., Lyon, B., & Ruffin, A. (2008). Library roles in disaster response: an oral history project by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6(4), 343-350. 

  16. FEMA (2020). COVID-19 Best Practice Information: Library Support for Communities. Available: https://www.fema.gov/sites/default/files/2020-07/fema_covid_bp_library-support.pdf 

  17. Green, S. & Teper, T. (2006). The importance of disaster planning for the small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Quarterly, 25(3-4), 47-59. 

  18. Harris, R., Wathen, N., & Chan, D. (2005). Public library responses to a consumer health inquiry in a public health crisis: the SARS experience in Ontario.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5(2), 147-154. 

  19. Hayes, L. (2002). Coping, view 1: programs laudable. American Libraries, 33(8), 33-37. 

  20. Jaeger, T., Langa, L., McClure, C., & Bertot, J. (2006). The 2004 and 2005 gulf coast hurricanes: evolving roles and lessons learned for public libraries in disaster preparedness and community services. Public Library Quarterly, 25(3-4), 199-214. 

  21. Shera, J. H. (1970). Sociological Foundations of Librarianship. New York: Asia Pub. House. 

  22. Khan, M. (2012). Disaster Response and Planning for Libraries (3rd ed.).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3. LeBoeuf, M. (2006). Disaster strike, public libraries prevail: the impact of Hurricanes Katrina and Rita on Louisiana Public Libraries. Louisiana Libraries, 68(4), 3-7. 

  24. Stewart, A. (2014). When disaster strikes: opportunities for community and institutional renewal at Elliot Lake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Quarterly, 33(4), 304-329. 

  25. Wall, K. (2006). Lessons learned from Katrina: what really matters in a disaster. Public Library Quarterly, 25(3-4), 189-198. 

  26. Wang, T. & Lund, B. (2020). Announc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United States' public libraries during the 2020 COVID-19 pandemic. Public Library Quarterly, 39(4), 283-294. 

  27. Zach, L. (2011). What do I do in an emergency?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providing information during times of crisis. Science & Technology Libraries, 30(4), 404-413. 

  28. Zach, L. & Mcknight, M. (2010). Special services in special times: responding to changed information needs during and after community-based disasters. Public Libraries, 49(2), 3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