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PBL을 적용한 수업혁신
Instructional Innovation Using e-PB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5, 2022년, pp.241 - 249  

권혁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PBL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교육대학교의 전공 선택 교과목의 한 학기 수업활동 중 4주 분량의 활동을 체계적 설계 절차에 따라 e-PBL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e-PBL 운영 기간 동안 참여 수강생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수강생들은 초기의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으로 e-PBL 활동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e-PBL 활동 경험에 대하여 만족스러워했다. 참여 수강생들은 e-PBL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주인의식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고, 팀 구성원들과의 빈번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PBL을 활용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혁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e-PBL 적용 수업을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e-PBL의 교육적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e-PBL which means an expansion of availability of PBL using technolog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 major selective subject was redesigned systematically so that e-PBL activities could be implemented for 4-weeks during the entire s...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0)

  1.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2016. 

  2. H. Lee, N. Kim, H. Kim, B. Kim, & M. Kim,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ing Innovation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28, No.1, pp. 219-248, 2020. 

  3. T. Kim, Y. Woo, & J. Lee, "Support plans (and strategies) for teaching innovation to raise talents with creativity-convergence," KICE Research Report, 2016. 

  4. J. Hwang, "Analysi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 Experiences on the Class of Capstone Design applied PBL,"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6, No.1, pp. 25-50, 2022. 

  5. H. Kim, & I. Kang,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tegories of Learning Outcom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PBL: A Case study of PBL Class in University," Studies on Educational Methods, Vol. 25, No.2, pp. 403-427, 2013. 

  6. H. Choo, & I. Kang,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Learner Centered PBL(LC PBL) Model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1, No.4, pp. 419-448, 2011. 

  7. J. Na, & H. Chung, "Development of a PB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20, No. 3, pp. 111-140, 2012. 

  8. J. Choi, & K. Jang, "Teaching with PBL," Hakjisa, Seoul, 2015. 

  9. Y. Cho, "Theory and Practice of PBL."Hakjisa, Seoul, 2006. 

  10. B. B. Levin, "Energigin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Fevelopmen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2001. 

  11. S. Kwon, E. Woo, H. Kwon, &. J. Lee, "Inquiry of Educational Technology(4th ed.)," Yangseowon, Seoul, 2015. 

  12. M. Kim, & H. Kwon,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1 Attitudes of the Middle and High Class Students, Joum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ol. 12, No. 2, pp. 171-193, 2009. 

  13. K. Park, "Exploration of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PBL) to the Class and the Solu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5, No. 1, pp. 81-102, 2012. 

  14. H. S. Barrows,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Bringing Problem-Based Learning to Higher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eries, No. 68 (pp. 3-11), Jossey-Bass, San Francisco, 1996. 

  15. R. Delisle,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1997. 

  16. L. Torp, & S. M. Sage, "Problem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2nd ed.),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2002. 

  17. H. Lee, "The Effect of PBL Utilizing a Wiki of Virtual Space on Geography Learning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Vol. 54, No. 4, pp. 49-63. 2015. 

  18. E. Park, "The Christian Perspective on PBL and the Application of PBL in the University Course Using YouTube," Information on Christian Education, N. 35, pp. 116-139, 2012. 

  19. M. J. Rosenberg,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McGrow-Hill, NY, 2000. 

  20. S. Kwon, J. Lee, S. Han, & S. Bang, "A Study on Utilization of e-learning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 Focus on Contents Sharing among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6, No. 1, pp. 9-32,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