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 탐색
A Research on PBL Implementation Strategy of Faculty Members Selected as a PBL Best Practicer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163 - 169  

금혜진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PBL 수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B대학에서 2017년 1학기, 2학기, 2018년 1학기동안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 6명이 작성한 수업결과 보고서와 사례발표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운영 전략 관련 내용을 귀납적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은 수업운영 시 교실문화, 학습촉진, 평가의 3개 영역과 관련하여 13개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향후 필요한 연구와 지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과 일반교수들의 운영전략에 관한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조직 차원에서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지원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PBL implementation strategies employed by faculty members who have successfully managed PBL class. By adopt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 strategies about PBL implementation in the course result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교수들의 PBL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PBL 수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규명된 PBL 수업운영 전략은 PBL을 처음 도입하거나 PBL 운영의 어려움을 겪는 교수(교사)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뿐 아니라 PBL 수업운영 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특정한 한 대학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대학들과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되 대학의 특성 또는 교수의 전공간에 PBL 수업운영 전략의 차이점을 규명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교수들의 수업결과 보고서와 발표사례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터뷰 또는 수업 관찰을 활용한 보다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PBL 수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한 대학을 선정하여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의 수업결과 보고서와 사례발표회의 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은 수업운영 시 교실문화, 학습촉진, 평가영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운영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 본 연구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연구대상이 되는 교수의 수업결과 보고서 전체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수업의 특징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다음에는 ‘수업성찰’ 부문에서 PBL 수업운영 시 주안점을 둔 전략에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교수들의 PBL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PBL 수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E) 모금 수행을 위해서는 몇 가지 옵션이 주어진다. 첫째, 온라인 모금을 할 것인가. 오프라인 모금을 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교사들은 어떤 전략을 활용하였는가? 의 연구에서 PBL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교사 12명을 인터뷰한 결과, PBL의 성공적 인 조건에 대해 7개 테마 총 53개 전략이 도출되었다[11]. 즉 PBL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교사들은 시간관리, 프로젝트 시작, 자기주도적 문화조성, 그룹관리, 교실밖의 사람들과의 협력, 테크놀로지 활용, 프로젝트 평가영역과 관련한 다양한 전략들을 활용하였다[11]. 현재까지 PBL 수업운영관련 선행연구들은 주로 초중고 교사 대상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국내의 경우 PBL 수업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5,10,11].
PBL의 정의는 무엇인가? PBL은 이미 1918년 Kilpatrick 에서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 고 있다[3-6]. 오랜 역사를 가진 PBL에 대한 정의는 활용되는 교육현장과 학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공통점을 종합하였을 때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을 바탕으로 삶의 맥락과 통합되는 실제적인 내용을 장기간의 학습 수행을 통해 최종 산출물로 구현하는 학습’으로 정의할 수 있다[3-6]. 다양한 연구를 통해 PBL은 교과지식 뿐 아니라 미래역량인 4Cs 역 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교육방법으로 증명됨으로써 대 학교육 혁신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내외 대학은 PBL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5,7-9].
PBL의 교육적 효용성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 확산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PBL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해 인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 교육현장에 PBL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10-12]. 선행연구에 의하면 PBL 수업을 처음 운영하는 교수(교사)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경험을 함으로써 PBL 수업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주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13,14]. 국내 초중고 교육 관련자 5,750명을 대상으로 PBL에 대한 인식도 조사결과에서도 PBL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그 적용에 대한 준비도는 미비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 B. Frey & M. A. Osborne. (2017).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14(C), 254-280. DOI : 10.1016/j.techfore.2016.08.019 

  2. S. Boss. (2013). PBL for 21st century success. Novato: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3. J. H. Lee et al. (2016). A Education Innov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Sejong : KDI. 

  4. M. H. Shin & D. S. Choi. (2019). Project-based learning and learner interaction by web convergency communication typ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35-40. DOI : 10.15207/JKCS.2019.10.2.035 

  5. B. Condliffe et al. (2017). Project-Based Learning A Literature Review. New York : MDRC. 

  6. Y. Oh. (2017). The meaning exploration of project instruction case.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4(1), 5-32. 

  7. M. R. Kim. (2017). Policy Diagnosis and Plan for the Innovation of Higher Education.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8. S. K. Park. (2018). The 4thindustrial revolution and Korean university's role chang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235-242. DOI : 10.22156/CS4SMB.2018.8.1.235 

  9. M. S. Choi. (2018). Convergence study abou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67-74. DOI : 10.22156/CS4SMB.2018.8.6.067 

  10. P. C. Blumenfeld et al. (1991).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369-398. DOI : 10.1207/s15326985ep2603&4_8 

  11. J. R. Mergendoller & J. W. Thomas. (2000). Managing project based learning: principles from the field. Presentation to the 2000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pp. 1-51). New Orleans : AERA. 

  12. J. Y. Kim. (2018). A study on UX design process lecture based on modified PBL(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17-131. DOI : 10.15207/JKCS.2018.9.1.117 

  13. P. A. Ertmer & K. D. Simons. (2006). Jumping the PBL implementation hurdle: supporting the efforts of K-12 teacher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1(1), 40-54. DOI : 10.7771/1541-5015.1005 

  14. S. R. Tamim & M. M. Grant. (2013). Definitions and uses: case study of teachers implementing project-based learning.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7(2), 72-101. DOI : 10.7771/1541-5015.1323 

  15. Y. H. Lee & Y. H. Hang. (2019). Suggestion of RI (IR) -DCA project model and investigation about teachers' awareness about activating the student-centered project.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2), 175-202. DOI : 10.24159/joec.2019.25.2.175 

  16. S. H. Park & P. A. Ertmer. (2008). Examining barriers in technology-enhanced problem-based learning: using a performance support systems approach.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9(4), 631-643. DOI : 10.1111/j.1467-8535.2008.00858.x 

  17. S. A. Gallagher. (1997). Problem-based learning: where did it come from, what does it do, and where is it going?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0, 332-362. DOI : 10.1177/016235329702000402 

  18. C. Ames & J. Archer.(1988). Achievement goal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60-267. DOI : 10.1037//0022-0663.80.3.260 

  19. C. E. Hmelo-Silver. (2004) Problem-based learning: what and how do students 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6(3), 235-266. DOI : 10.1023/B:EDPR.0000034022.16470.f3 

  20. W. C. Parker et al. (2013). Beyond breadth-speed-test: toward deeper knowing and engagement in an advanced placement cours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50(6), 1424-1459. DOI : 10.3102/0002831213504237 

  21. H. J. Keum. (2016). The basic theoretical research for a practice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eaching refle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57-63. DOI : 10.14400/jdc.2016.14.2.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