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위기지역의 산업구조 및 경쟁력 변화: 군산시를 사례로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Crisis Region: Focusing on Gunsan City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5 no.3, 2022년, pp.299 - 319  

송주연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초록

2010년 이후 한국에서는 주력업종의 침체가 지역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쳐 지역적 위기로 번지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쇠퇴로 위기에 놓인 군산시를 대상으로 지역의 산업구조와 제조업 경쟁력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결과, 군산시의 산업구조는 2010년 이후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는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한 고용방출이 타 산업으로 흡수되었기 때문이며, 제조업 내에서는 주력산업의 위기를 대체할 수 있는 업종이 부재했다. 군산시 제조업 중 기반산업들의 특화도는 점차 약화되고 있고, 입지경쟁력 마저 약화되면서 제조업의 성장률 시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군산시가 제조업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이 지역의 산업구조적인 특성 변화를 면밀히 검토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10, there have been phenomena that the recession of key industries has spreaded into a regional crisis, affecting the overall regional econom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has been changed in Gunsan,...

주제어

참고문헌 (57)

  1. 김대중, 2016, 지역산업분석, 서울: 대영문화사. 

  2. 김상호, 2010, "지역산업의 구조적 분석을 통한 지역경쟁력 검증: 충청남도 사례(1998~2008)," 한국정책연구 10(1), pp.137-153. 

  3. 김상호, 2014, "비교적 관점에서 지역산업구조의 변이.할당분석: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3), pp.481-501. 

  4. 김선명.송창식, 2017, "지방산업도시의 경제성장 영향요인 연구: 산업집중도와 산업다양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pp.1-45. 

  5. 김영정.소순열.이정덕.이성호, 2006, 근대 항구도시 군산의 형성과 변화: 공간, 경제, 문화, 경기: 한울. 

  6. 김용환.김강호.김정일, 2020, 군산시 고용위기지역 운영성과 및 평가, 호원대학교. 

  7. 김원용.김은정.소순열.이성호.이정덕, 2020, 근대의 창 군산 100년을 보다, 전북: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8. 김종일, 2006, "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고용문제," 한국경제의 분석 12(2), pp.1-57. 

  9. 김지수, 2020, "지역산업역량에 따른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유형 분석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pp.39-49. 

  10. 김지황, 2014, "제조업 경쟁력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중소기업금융연구 겨울, pp.75-97. 

  11. 남기환, 2020, 지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재생 방안: 군산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국토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12. 남종석, 2019, "한국 산업생태계의 구조적 특징과 위기," 진보평론 79, pp.13-49. 

  13. 류수열.최기홍.고승환.윤성민, 2014,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129-146. 

  14. 류승한.조성철.서연미.박소영, 2020, 산업위기지역 실태분석 및 활성화 대책, 국토연구원. 

  15. 박소영.김동근.권규상.정은진.민범식.송아현.박소현, 2019, 산업위기지역의 종합적 도시재생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6. 박원석.이철우, 2005, "영남지역의 특화산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4), pp.463-475. 

  17. 박재운, 2011, "산업연관지표를 이용한 조립가공업의 구조변화지수 추이 분석," 입법과 정책 3(2), pp.1-24. 

  18. 방준호, 2021, 실직도시, 서울: 부키(주). 

  19. 손정원, 2006, "개발국가의 공간적 차원에 관한 연구: 1970년대 한국의 경험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25, pp.41-79. 

  20. 신동호, 2017,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70-83. 

  21. 신진숙, 2019, "조선산업을 통해 본 산업도시의 정동 정치: 정동적 도시론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54(2), pp.177-198. 

  22. 양인선.안성진.김영순, 2015, "경남 서비스산업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31, pp.5-26. 

  23. 원구환.신원부, 2005, "도시산업구조 변화와 성장률시차 분석,"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pp.325-342. 

  24. 우정석.이승철, 2018, "거제시 조선산업에 대한 지역경제의 잠김 효과," 국토지리학회지 52(4), pp.567-580. 

  25. 유동훈, 2019, 고용위기지역 산업의 일자리 이동, 한국노동연구원, 고용.노동브리프 제90호. 

  26. 윤성민.고승환.김기호, 2013, 주력산업의 존재 유무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부산지역과 여타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부산본부. 

  27. 윤재호, 2019a, "군산 현대조선소 폐쇄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해양비즈니스 43, pp.147-166. 

  28. 윤재호, 2019b, "GM 군산 공장 폐쇄의 지역 간 경제 효과 분석," 물류학회지 29(5), pp.49-60. 

  29. 이강진, 2020a, 군산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연장, 의의 및 향후 정책 방향, 전북연구원, ISSUE BRIEFING 225. 

  30. 이강진, 2020b, 군산 산업.고용위기 2년, 일자리 변화의 진단과 전망, 전북연구원, ISSUE BRIEFING 217. 

  31. 이건우, 2021, "구조변화지수를 통해 본 한국 산업의 특징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pp.43-54. 

  32. 이두희.김송년.유이선.김지수, 2019, 지역산업위기 유형분석과 위기대응방안 및 산업전환전략, 산업연구원. 

  33. 이상호, 2018, "지역의 고용위기와 회복력, 그리고 지역 리더쉽: 조선업 고용위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고용학회 학술대회, pp.311-338. 

  34. 이시균.강민정.황규성.김혜원.김유선.진숙경.이원희.김기민, 2020, 중장기 인력수급 변동 요인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pp.107-179. 

  35. 이영면, 2019, "글로벌 기업의 해외공장 폐쇄와 윤리적 의사결정: 한국GM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리경영연구 19(1), pp.71-95. 

  36. 이정현.이희연, 2017, "지식기반산업 창업기업의 고용창출 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37-157. 

  37. 이종호.장후은, 2019,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추진 동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46-257. 

  38. 이한득, 2016, 한국의 산업구조 변화 속도 줄고 집중도는 증가, LGERI 리포트. 

  39. 장철순.서태성.류승한.김진범.이윤석, 2014, 산업도시의 진단 및 지속적 발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40. 전북일보, 2016년 11월 1일, 현대重 군산조선소 폐쇄수순 밟나. 

  41. 전지혜.이철우,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91-303. 

  42. 정성훈,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37-245. 

  43. 정호진, 2018, "한국 동남권 주력.선도산업의 경쟁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30(1), pp.247-259. 

  44. 정흥준.박성국.박용철.조성재.황현일, 2018, 한국지엠의 구조조정과 고용대책, 한국노동연구원. 

  45. 조선일보, 2022년 3월 8일, '군산조선소 재가동' 반갑긴 하지만.... 

  46. 조성철, 2019, "한국 산업도시의 위기 진단과 회복력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국제컨퍼런스, pp.1-22. 

  47. 진동영.김의준, 2021, "주력산업의 위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53(2), pp.149-173. 

  48. 최막중.김영재, 2018, "발전국가의 산업단지와 산업도시 형성 요인과 효과: 마산 수출자유지역과 창원 기계공업기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3(5), pp.5-20. 

  49. 프레시안, 2016년 5월 8일, 지난 15년, 한국 조선업에는 무슨 일이 있었나. 

  50. 한민수.김혁황.최혜린.박단비.김지수, 2019, 다국적기업 철수의 영향과 정책대응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1. 황경인, 2021, "한국 제조업 경쟁력, 코로나19 경제위기의 버팀목," i-KIET 산업경제이슈 108, pp.1-12. 

  52. 황현일, 2017, "글로벌 생산의 위계적 통합과 한국지엠의 구조조정," 경제와사회 113, pp.173-204. 

  53. Coe, N. M., Hess, M., Yeung, H. W. C., Dicken, P. and Henderson, J., 2004, "Globalizing' regional development: a global production networks perspective,"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9(4), pp.468-484. 

  54. Engstrand, A. K., and Stam, E., 2002, "Embeddedness and economic transformation of manufacturing: a comparative research of two regions,"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23(3), pp.357-388. 

  55. Grabher, G., 1993, The weakness of strong ties; the lock-in of regional development in Ruhr area, in Gernot Grabher (ed.), The Embedded Firm: On the Socioeconomics of Industrial Networks, London: Routledge, pp.255-277. 

  56. Lilien, David M., 1982, "Sectoral shifts and cyclical unemploymen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0(4), pp.777-793. 

  57. Yeung, H. W. C., 2009,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competitive dynamic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 East Asian perspective," Regional Studies 43(3), pp.325-3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