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on Creative Self-Efficac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5 no.5, 2022년, pp.3 - 11  

신종호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and factor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students who took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was improved, and th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김영채(2020). 창의, 인성, 봉사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사고개발, 6(2), 1-24. 

  2. 김영채(2017). 일상의 창의력,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까?. 사고개발, 13(3), 1-23. 

  3. 민춘기(2019). 대학생 창의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 및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3(4), 121-142. 

  4. 박금주(2021).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2021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77-80. 

  5. 박원우 외(2010). 적정 표본크기(sample size) 결정을 위한 제언. 노사관계연구, 21, 51-85. 

  6. 이경화.김은경.유경훈(2012). 대학생의 제 변인에 따른 창의적 능력 비교. 창의력교육연구, 12(1), 29-47. 

  7. 임철일.김영전.김동호(2012). 공과대학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인식. 공학교육연구, 15(2), 30-37. 

  8. 정미선(2021a). 창의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8(1), 245-265. 

  9. 정미선(2021b). 창의역량 개발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CPS 모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42(1), 79-104. 

  10. 최민지(2020). 예술창작활동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차이와 변화 연구: 성별과 소속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8(1), 141-154. 

  11. 최민지(2018).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예술창작활동의 속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65-194. 

  12. 최민지(2017). 예술창작활동이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2), 165-990. 

  13. 하유경.조한익(2016). 대학생용 창의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3(1), 55-78. 

  14.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Co. 

  15. Byrge, C., & Tang, C.(2015). Embodied creativity training: Effects on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duction.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16, 51-61. 

  16. Carmeli, A., & Schaubroeck, J.(2007). The influence of leaders' and other referents' normative expectations on individual involvement in creative work. Leadership Quarterly, 18, 35-4. 

  17. Chen, G., Gully, S. M., & Eden, D.(2001).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4, 62-83. 

  18. Choi, J. N.(2004). Individual and contextual predictors of creative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process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2), 187-199. 

  19. Farmer, S. M., Tierney, P., & Kung-McIntyre, K.(2003). Employee creativity in taiwan: An application of role identity theo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 618-630 

  20. Haase, J. et al.(2018).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different creativity measuremen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30(1), 1-16. 

  21. Karwowski, M.(2014). Creative mindsets: Measurement, correlates, consequence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8, 62-70. 

  22. Mathisen, G. E., & Bronnick, K. S.(2009). Creative self-efficacy: An interven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1), 21-29. 

  23. Meinel, M. et al.(2019). Exploring the effects of creativity training on creative perform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3(4), 546-558. 

  24. Sawilowsky, S. S. & Blair, R. C.(1992). A more realistic look at the robustness and type II error properties of the t test to departures from population normality. Psychological Bulletin, 111, 352-360. 

  25. Starkey, E. M. et al.(2017). Dissecting creativity: How dissection virtuality, analogical distance, and product complexity impact creativity and self-efficacy. In J.S. Gero (Ed.), Design computing and cognition '16 (pp. 59-77). Cham: Springer International. 

  26. Tierney, P., & Farmer, S. M.(2002). Creative self-efficacy: Its potential antecedents and relationship to creativ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6), 1137-11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